d라이브러리
"생각"(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DGIST 뇌·인지과학전공 - 뇌질환 비밀 풀 열쇠 ‘세포의 성벽’ 인지질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있던 서 교수는 세포막에 있는 인지질이 이상 신호전달의 또 다른 원인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다양한 세포막 인지질 중에서도 ‘PIP2’라는 인지질에 주목했다. 2002년 그는 실험을 통해 PIP2를 제거하자 칼륨 통로가 잘 열리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했고, 인지질이 칼륨 통로가 열린 상태를 ... ...
- 인문학을 사랑한 수학자 게오르디 윌리엄슨 호주 시드니대 교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위해 군을 ‘벡터 공간’의 대칭과 연결지어 연구하지요. 벡터 공간을 빌딩이라고 생각하면 빌딩을 이루는 ‘빌딩 블록’을 잘 이해해야 군을 벡터 공간으로 표현할 수 있어요. 표현론은 이런 빌딩 블록을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죠. 예를 들어 볼게요. 빛이 프리즘을 통과하면 단일 파장을 ... ...
- [스타쌤의 수학 공부꿀팁] 부평동중학교 김정란 선생님, 새 가족이 생기는 수학 시간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찾아내는 것처럼 수학도 사실만으로 답을 유추해 내야한다. 사실에 근거해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추론은 수학뿐 아니라 어떤 일을 하든지 중요하다. “학생들에게 농담 반, 진담 반으로 늘 수학 공부로 추론 능력을 갖추면 사이비 종교나 다단계 같은 비합리적인 일에 빠질 일은 없다고 말해요 ... ...
- Part 1. 그림으로 보는 리만 가설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여겨 소수를 모든 수의 근원으로 여겼습니다. 만물이 물과 불, 흙, 공기로 창조됐다고 생각한 그들의 세계관을 수로 확장해 소수를 중심에 둔 것이지요. ‘소수 건축가’ 오일러와 ‘소수 탐험가’ 가우스 18세기에 이르자 스위스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소수를 찾는 ‘마법의 공식’을 ... ...
- Part 3. 변신 3- 누가 돼지를 둔하다고 했나 감각적인 돼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알린다면, 사람들이 동물도 각각 자신만의 성격이나 재능을 가지고 있다고 이해할 거라 생각했어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거의 매일 가축 동물을 먹으면서도 그들이 어떤 동물인지, 어떤 환경에서 자라는지엔 관심이 없으니까요. Q 색깔 선정도 픽카소가 직접 하나요? 돼지는 우리와 다르게 색깔을 ... ...
- ‘메이드 인 코리아’ 75t급 액체로켓엔진 대한민국을 들어 올렸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각종 밸브들로 나눌 수 있다. 용어들이 생소할 수 있으니 친숙한 자동차 엔진에 대입해 생각을 해보자. 자동차 엔진이 작동하기 위해서는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펌프(로켓의 터보펌프)가 작동해야 한다. 연료펌프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전기를 공급해야 하는데, 이는 엔진에 벨트로 연결된 ... ...
- 서울 선덕고 김지명 군 “ㄱㄴㄷ 문제는 개념 충실히 익혀야 안 틀려요”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수능에서 만점을 받았다는 사실조차 제대로 실감이 안 나 대학에서 뭘 할지 미처 생각해보지 못했다”며 “다만 그동안 관심이 있었던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배워보고 싶다”고 말했다 ... ...
- [나의 미국 유학 일기] ‘다양함’ 가득한 스탠퍼드대에 끌리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MIT는 합격, 하버드대는 불합격이었다. 지원하기 전에는 당연히 스탠퍼드대에 가야겠다고 생각했지만, 막상 MIT에 합격하고 나니 ‘행복한 고민’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4월 말, 스탠퍼드대 합격자 캠프 전에 MIT를 먼저 방문했다. 비록 날씨는 추웠지만, 보스턴에 있는 MIT는 도착하자마자 편안한 ... ...
- [나의 영국 유학 일기] 성적만 들고 임페리얼칼리지(ICL)에 지원하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선택했느냐”고 물었다. 공부에 욕심을 가진 뒤에는 당연히 미국 대학을 생각하던 때도 있었다. 하지만 미국 대학 원서에는 수상 내역을 적는 칸이 따로 있다는 사실을 알고 나서부터 미국이라는 선택지는 아예 지워버렸다. 수상 실적이 전혀 없었기 때문이다. 나는 중·고등학생 시절, 꿈이나 ... ...
- [수학뉴스] 수학이 본 ‘대박 영화’는?수학동아 l2019년 01호
- 기준은 무엇인가요? 수백 만 명 이상의 관객을 끌어들였거나 상을 많이 받은 영화라고 생각할 거예요. 그런데 이런 영화만 성공하는 건 아닙니다. 사람들이 오랫동안 등장인물의 옷과 대사를 흉내 내고 특정 장면을 패러디하는 영화도 있죠. 이런 영화를 ‘문화적 파급력이 크다’고 하는데요. 이런 ... ...
이전2892902912922932942952962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