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인테리어 돕는 수학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챘겠지만 2차원 도면은 평면 좌표로 나타낼 수 있어요. 격자에 도면이 그려져 있다고 생각하면 격자의 교차점을 순서쌍으로 읽어낼 수 있어요. 이 2차원 평면 도면의 좌표에 높이에 해당하는 z축을 더하면 평면 도면을 입체 도면으로 변환시킬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원래 평면 좌표에 있는 점 (1, 1)을 ( ... ...
- Part 4. 좁은 공간도 문제 없다! 가구 옮기기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복도에서 소파를 돌리는 상황을 생각했을 때 전화기 모양의 소파가 최적이라고 생각한 거죠. 하지만 헤머슬리가 계산한 값보다 더 큰 값이 1992년에 나왔어요. 조셉 거버라는 미국 수학자가 가장 큰 값이 2.2195라는 결과를 제시한 거죠. 하지만 아직 이 값이 최댓값인지 아닌지 몰라요. 더 큰 면적을 ... ...
- [수학체험실] 블록으로 만드는 프랙털 세상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만들어보자. ● 프랙털 그리기 자신이 만든 시어핀스키 카펫을 보며 프랙털을 생각해 보자. 1 프랙털이란 무엇인지 친구들과 이야기해 보자. 2 자연현상에서 프랙털 구조를 갖는 것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3 프랙털을 그려보자. 사각형의 모눈 그림에서 자를 이용해 사각형의 각 변을 ... ...
- [QUIZ KING & POSTECH] 신입 회원 모집 대작전수학동아 l2019년 02호
- 개강 시기가 다른 학교보다 빠르면 싫을 것 같지만, 학생들은 대부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어요. 여름방학이 길어 인턴쉽 참여, 연구 활동 참여에 충분히 시간을 쓸 수 있고, 미국, 유럽 대학도 비슷한 학기 제도를 운영하기 때문에 교환학생 같은 국제교류활동에서 시기를 맞추기 편하거든요. ... ...
- [전지적 수학 시점] 마인크래프트, 논리로 만드는 전기 회로수학동아 l2019년 02호
- 현실 뺨치는 그래픽과 흥미진진한 스토리, 몸이 절로 들썩이는 액션을 갖춘 게임이라고 생각했다면 오산입니다. 게임에 접속하면 캐릭터를 비롯해 눈에 보이는 건 모두 그래픽이 깨진 것 마냥 각이 졌고, 움직임도 부자연스럽습니다. 게임 세계의 모든 것이 네모난 블록으로 만들어져 ‘디지털 ... ...
- [SW 진로 체험] 수학, 금융을 꽃 피우다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쉽지만, 다른 부분에서 장점이 있는 것 같아요. 수학을 전공하면 논리적으로 순서에 맞게 생각하는 습관이 생겨서 그런지 머릿속에 알고리듬을 만들어서 일을 하는 것 같아요. 그래서 일의 각 단계마다 무엇이 필요한지 헷갈리지 않고 잘 파악할 수 있어요. 금융 전문가를 꿈꾸는 학생에게 조언해 ... ...
- [이달의 PICK] 백악기 한반도에 ‘참새 공룡’ 살았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참새 크기의 공룡이 살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공룡은 거대할 것이라고만 생각했는데, 참새 크기라니 매우 흥미로운 발견이 아닐 수 없다. 그렇다면 이 공룡은 성체였을까, 아니면 어린 개체였을까. 이 랩터 발자국은 2012년 경남 사천시 서포면 비토섬에서 발견된 ‘드로마에오사우리푸스 ... ...
- Part 2. 日 2040년 문 밸리 건설, 지구-달 오가는 ‘달 셔틀’ 운영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우주 덕후’였다”며 “대학에서 우주공학을 전공한 뒤 우주기술을 상업화해야겠다는 생각을 하던 중 요시다 교수의 달 탐사 로버 개발 계획을 듣고 아이스페이스 창업을 결심했다”고 말했다. 아이스페이스는 루나 X프라이즈 종료 이후 하쿠토 프로젝트를 다시 시작한다(Reboot)는 의미에서 ... ...
- [Tech] 만능 스포츠 로봇을 만들어라과학동아 l2019년 01호
- 2012년 귀국해 다시 로보티즈로 돌아왔다. 동료들과 함께라면 진짜 로봇을 만들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는 네 차례에 걸친 실패와 성공을 거듭하며 160cm 다목적 휴머노이드 ‘똘망(Thormang)’을 완성했다. 똘망은 2015년 미국 국방부 산하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이 주관하는 세계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완벽한 파티 만드는 램지 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아니라 다른 아이디어도 잘 섞어야 비로소 좋은 부등식이 얻어집니다. 사실 램지 수로 생각할 수 있는 많은 수열 중에 R(3,t)만큼 증가 속도를 정확하게 알아낸 것이 거의 없을 만큼 램지 수의 연구가 어렵습니다. 그런데 거기에 붙은 상숫값을 이렇게나 많이 정밀하게 구할 수 있다는 것 또한 놀라운 ... ...
이전2862872882892902912922932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