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영국유학일기] 이력서 검토에 진로 상담까지 최고의 진로지원센터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특화된 전문적인 조언도 들을 수 있다. ‘학부생 연구 기회 프로그램(UROP)’을 통해 학과
교수
의 실험실에서 방학 중에 일할 수도 있는데, 이는 이력서에 도움이 된다.임페리얼칼리지는 이런 진로 상담 외에도 학생들이 견문을 넓힐 수 있도록 교환학생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다만 임페리얼칼리지 ... ...
노약자를 위한 로봇에 힘을 싣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7호
번째로 만난 HRI 연구자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김정
교수
님과 네이버 랩스에서 연구한 인턴 대학생들입니다. 이들은 ‘몸이 불편한 사람을 돕는 로봇’을 연구하고 있지요. "로봇과의 접촉에서 중요한 것은?"●김정
교수
(이하 김) : 저는 한국과학기술원에서 ‘물리적 HRI’를 연구하고 있어요. ... ...
신비┃인간을 왜 '별의 먼지'라고 하는가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유기분자가 만들어질 가능성을 확인하고 있다. 한 예로 강헌 서울대 화학부
교수
팀은 극저온 초진공 장치로 영하 260도~영하 170도의 진공 환경을 만들고 인공 얼음 시편을 넣은 뒤, 이산화탄소, 메틸아민 성분을 넣는 실험을 진행했다. 시편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을 질량분석기로 정밀하게 분석한 ... ...
질서┃우주 분해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메울 것이라고 생각하는 과학자들도 있다. 토마스 켑하트 미국 밴더빌트대 물리학과
교수
는 2015년 지금까지의 관측 결과를 토대로 우주의 팽창과 수축을 나타내는 ‘프리드만 방정식’을 사용해 그 과정과 결과를 예측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이 시나리오대로라면 우주가 팽창하면서 암흑에너지가 ... ...
[인터뷰] "문제를 풀었을 때 느끼는 희열이 제 원동력입니다"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프로그램을 만드는 서
교수
의 꿈은 지금도 진행 중이다. 이 꿈 하나로 약 25년간 일한 서
교수
는 끝으로 수학동아 독자들에게 목표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인터뷰를 마쳤다. ... ...
후보2. 도마뱀 피부색의 비밀은 세포 자동자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시뮬레이션해보니 정말 비슷한 피부색이 만들어졌던 겁니다. 연구팀을 이끈 밀린코비치
교수
는 저 쥬얼드 라세타 도마뱀을 일컬어 ‘살아 움직이는 세포 자동자’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온몸으로 수학적 원리를 홍보하는 저야말로 수학왕 그 자체 아니겠습니까 ... ...
후보4. 게임 이론의 숨은 공신 사자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미국 뉴욕대학교 정치과학부
교수
와 마크 킬고어 캐나다 윌프리드 로리에르대학교
교수
는 ‘전략과 결정’이란 책에서 3명의 참가자가 하는 대표적인 순차적 게임과 후진 귀납법을 소개했는데요, 그 내용이 너무 어려워 이후 이 문제는 게임 이론 전공자가 아닌 사람도 이해할 수 있도록 우리 ... ...
[따끈따끈한 수학] 실현 가능한 수를 찾아라! 유리수 지수 추측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제약 조건이 있는 상황에서 구하고자 하는 대상이 최대 또는 최소가 되는 경우를 따지는 수학 분야를 ‘극단조합론’이라고 부릅니다. 오늘 소개할 연구는 극단조합론의 시초가 된 문제에서 출발합니다. 2018년부터 올해까지 여러 수학자 그룹에서 결과를 내고 있는데요, 그중에는 한국인 수학자도 ... ...
로봇♥사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로봇♥사람Part 1.로봇과 마음을 주고받아요!Part 2. 교육 로봇은 어떻게 어린이와 친해질까?Part 3.노약자를 위한 로봇에 힘을 싣다!Part 4.우주로봇을 잘 조종하려면?Part 5.로봇과 함께 사는 세상을 만들어요! ...
로봇과 마음을 주고받아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7호
다양한 소셜 로봇이 개발되고 있지요. 지보는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 신시아 브리질
교수
가 개발한 로봇이에요. 카메라를 이용해 사람의 얼굴과 감정을 인식하고, 스크린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지요.하지만 안타깝게도 아직 소셜 로봇은 사람과 원활하게 소통을 하진 못해요. 지보가 작별 ... ...
이전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