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따끈따끈한 수학] 그래프 채색수의 성질을 밝혀라!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진행조가현 기자(gahyun@donga.com) 참고자료아니카 헤켈 ‘Non-concentration of the chromatic number of a random graph’, 아니카 헤켈 박사 홈페이지 www.maths.ox.ac.uk/people/annika.heckel ...
- [과학뉴스] 뇌에서 ‘메트로놈 신경세포’ 발견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메트로놈 신경세포(뉴런)’가 발견됐다. 크리스 무어 미국 브라운대 신경과학과 교수팀은 설치류의 뇌 속에서 규칙적인 리듬을 유지하는 새로운 형태의 신경세포를 발견했다고 국제학술지 ‘뉴런’ 7월 18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이 새로 발견한 뉴런은 메트로놈처럼 정확하게 초당 약 40회 자극을 ... ...
- 박휘이따고훼서 곡종헸는대? 맞춤법 틀린데 해석이 되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길이나 띄어쓰기 여부도 단어를 인지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최 교수는 “모든 언어 인식 이론이 한국어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한국어는 자음과 모음을 하나의 음절로 만들어 모아쓰기를 하는 특성이 있고, 덕분에 표음문자인 영어에 비해 띄어쓰기의 영향을 많이 받지 ... ...
- 우리는 UST 퍼스트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미세입자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를 계속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 교수는 올해 가을 새로운 제자를 맞는다. 현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인턴 연구원인 심유경 씨다. 그는 “미세플라스틱의 인체 독성에 관심이 많다”며 “UST 석박사통합과정에 입학한 뒤 이와 관련한 연구를 이어가고 ... ...
- 아프리카 최초 GM 모기 방사, 모기박멸 카운트다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2018년 9월 24일자에 실렸다. doi:10.1038/nbt.4245아프리카 보건과학연구소는 크리산티 교수팀의 협력 하에 부르키나파소 현장 시험에서 GM 모기의 효과를 확인했고, 자연 방사를 결정했다.부르키나파소에서 GM 모기 연구를 이끌고 있는 압둘라예 디아바테 보건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최장 1년 동안 ... ...
-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정크 단백질’을 분해하라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붙은 정크 단백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도록 돕는 유력한 후보 물질 2개를 찾아냈다. 이 교수는 “단백질 제거를 직접적으로 담당하는 프로테아좀의 활성을 조절하는 후보 물질을 100개 이상 찾아내는 게 1차 목표”라며 “여기서 암이나 퇴행성 뇌질환 등 단백질 관련 질병을 치료할 후보 물질이 ... ...
- 국내 최대 개미왕국의 운명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안녕? 나는 안양에 사는 왕개미야. 내가 왜 나왔냐고?혹시 지난 2015년 안양에서 거대한 왕개미 왕국이 발견됐다는 뉴스를 본 적 있니? 그동안 이 지역을 ‘보존한다’,‘개발한다’를 두고 말이 많았어. 그런데 이제 곧 안양시가 우리가 사는 곳을 개발한다고 해. 그래서 걱정이란다. 우리 이야기 ... ...
- 개미왕국 거대한 가족, 초군체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것을 ‘초군체’라고 해요.초군체를 만드는 이유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최재천 교수는 군체 경계에서의 싸움을 줄이고 경제활동에 집중하기 위해서라고 추측했어요. 초군체를 이뤄 싸움에 쓸 에너지를 경제활동에만 쓰면 더 안정적인 개미 왕국을 만들 수 있거든요. 개미는 만 종 이상으로 ... ...
- [맛있는수학] 피보나치도 울고 갈 파인애플 볶음밥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상산나무와 비슷한 종류의 다른 식물에도 적용할 수 있답니다. 연구를 이끈 스기야마 교수는 “우리의 모형은 잎이 둘러서 나는 모든 주요 식물의 잎사귀 배열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며, “또한 다른 자연에서 나타나는 여러 종류의 패턴에도 잘 맞는다”고 새로운 방정식의 우수성을 ... ...
- [과학뉴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모유 수유 오래 했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공동 1저자인 크리스틴 오스틴 마운트 사이나이 아이칸 의대 환경의학및공중보건학과 교수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다른 유인원들보다는 인간에 조금 더 가까웠다”며 “인간은 모유 수유 기간이 짧고 유년기가 긴 반면, 유인원은 모유 수유 기간이 길고 유년기가 짧다”고 설명했다.doi:10.1038/S41 ... ...
이전2862872882892902912922932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