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자의 슬기로운 휴가생활수학동아 l2019년 08호
- 4. 에필로그 | 여름방학 추천 여행지 8곳 도움클레르 부아쟁(콜레주 드 프랑스 수학과 교수), 이지운(KAIST 수리과학과 교수), 김현규(이화여자대학교 수학과 교수), 오세진(이화여자대학교 수학과 교수), 황운재(고려대학교 데이터계산과학전공 교수), 최일규(한국외국어대학교 수학과 교수 ...
- 취미생활파 수학동아 l2019년 08호
- 당연할 지도 몰라요. 2001년 신경학자인 마커스 라이클 미국 워싱턴대학교 의과대학 교수가 취미 생활을 하거나 휴식을 취할 때 더 활발해지는 부분을 발견했습니다. 바로 뇌의 바깥쪽 측두엽과 두정엽, 안쪽 전전두엽을 일컫는 ‘디폴트 네트워크(default network)’죠. 우리의 뇌는 어떤 행동을 하느냐에 ... ...
- [따끈따끈한 수학] 그래프 채색수의 성질을 밝혀라!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진행조가현 기자(gahyun@donga.com) 참고자료아니카 헤켈 ‘Non-concentration of the chromatic number of a random graph’, 아니카 헤켈 박사 홈페이지 www.maths.ox.ac.uk/people/annika.heckel ...
- [맛있는수학] 피보나치도 울고 갈 파인애플 볶음밥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상산나무와 비슷한 종류의 다른 식물에도 적용할 수 있답니다. 연구를 이끈 스기야마 교수는 “우리의 모형은 잎이 둘러서 나는 모든 주요 식물의 잎사귀 배열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며, “또한 다른 자연에서 나타나는 여러 종류의 패턴에도 잘 맞는다”고 새로운 방정식의 우수성을 ... ...
- [SW 진로 체험] 수학 사랑꾼, SW 개발자로 거듭나다수학동아 l2019년 08호
- 부분은 선배들께 질문도 많이 했고요. 석사과정 지도 교수인 엄상일 KAIST 수리과학과 교수님께서 질문을 많이 하라는 말씀을 항상 하시곤 했는데 그때 습관을 들인 게 큰 도움이 됐어요. 개발자가 되고 싶다면 컴퓨터라는 게 어떻게 돌아가는지 확실히 이해해야 해요. 학생 때는 이런 공부를 해둘 ... ...
- [과학뉴스] 뇌에서 ‘메트로놈 신경세포’ 발견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메트로놈 신경세포(뉴런)’가 발견됐다. 크리스 무어 미국 브라운대 신경과학과 교수팀은 설치류의 뇌 속에서 규칙적인 리듬을 유지하는 새로운 형태의 신경세포를 발견했다고 국제학술지 ‘뉴런’ 7월 18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이 새로 발견한 뉴런은 메트로놈처럼 정확하게 초당 약 40회 자극을 ... ...
- 설문조사│모기박멸, 해야 할까요?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말라리아’에서 GM 모기를 개발한 안드레아 크리산티 영국 임페리얼칼리지 생명과학부 교수는 “많은 노력과 자원 투입에도 불구하고 2016년에는 지난 20년 동안 처음으로 말라리아 발병 사례가 전년대비 감소하지 않았다”며 “우리는 말라리아와의 싸움에 더 많은 도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
- [미국유학일기] 화학 연구에 확신 심어준 여름 연구 펠로우십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결과가 잘 안 나와 좌절했지만, 실패를 반복하면서 많은 것을 알게 됐다. 그리고 훌륭한 교수님들뿐만 아니라 대학원 선배들과 친분을 쌓으면서 앞으로 대학원에 진학해 화학 연구를 계속해나가야겠다는 마음을 굳히는 계기가 됐다. 올해 봄 학기에 세 달 간 피렌체에서 교환학생으로 지낸 경험도 ... ...
- 포항 지진, 왜 다시 주목받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미친 영향은 적다고 주장하는 과학자도 있었어요.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홍태경 교수는 “지하로 들어간 물의 양은 1만 2000㎥ 정도로 규모 5.4의 큰 지진을 일으키기 어려우며, 물 주입 2개월 후 지진이 나 연관성이 적다”고 주장했답니다. 2019년 3월 20일 지열발전소에 의한 촉발지진이다? ... ...
- 개미왕국 거대한 가족, 초군체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것을 ‘초군체’라고 해요.초군체를 만드는 이유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최재천 교수는 군체 경계에서의 싸움을 줄이고 경제활동에 집중하기 위해서라고 추측했어요. 초군체를 이뤄 싸움에 쓸 에너지를 경제활동에만 쓰면 더 안정적인 개미 왕국을 만들 수 있거든요. 개미는 만 종 이상으로 ... ...
이전285286287288289290291292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