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엑스맨’ 다크 피닉스처럼 뇌를 조종하려면?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원리를 밝혀 제어하는 기술을 연구하는 김소희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
는 “뇌의 작동 원리에 대해서는 아직은 모르는 게 많다”며 “다양한 연구를 통해 뇌의 비밀이 하나씩 밝혀질수록 뇌 손상으로 인한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수학 THE LOVE] 수학에 지친 그대에게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대한 독자들의 고민을 수집해 한국을 대표하는 수학자 김민형 영국 옥스퍼드대 수학과
교수
에게 조언을 구했다. 독자 요청에 따라 질문자는 공개하지 않는다. Q 수학 문제를 풀 때 집중이 안 되고 시간도 오래 걸립니다. 예전에는 수학과 관계가 나쁘지 않았는데, 요즘 들어 스트레스가 늘어나는 것 ... ...
[로보트 재권V] 로봇, 1시간 움직이게 해보자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대화하게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To be Continued. 글. 한재권한양대 로봇공학과
교수
다.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비롯해서 인간과 로봇간의 상호작용 연구를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다. jkhan@hanyang.ac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탄력적인 그대 이름은 스트레처블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심전도, 체온 등을 측정하는 유연한 패치센서를 만드는 데도 적용됩니다. 결국 로저스
교수
가 이끈 스트레처블 전자기기의 핵심은 재료가 아닌 ‘구조의 변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처블 기술의 핵심은 뭔가요? 최근에는 그물 구조가 대세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미래 전자기기가 ... ...
예쁜꼬마선충으로 ‘제6의 감각’을 찾다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미세한 움직임 기능이 떨어진 환자의 치료제 개발에 실마리를 찾을 것으로 전망한다.김
교수
는 “자기수용감각을 담당하는 신경세포를 찾고 이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발굴해 자기수용감각의 체내 신호전달체계를 밝혀내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 ...
[영국유학일기] 쉬운 질문은 사절 매일 자습은 필수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그렇다고 해서 결코
교수
들이 불친절하고 무섭다는 의미는 아니다. 며칠 전 그
교수
가 진행하는 워크숍에 갔는데, 학생들이 준비만 열심히 해오면 정말 친절하고 학생을 가르치는 데 매우 적극적이었다. 학과 생활이 마냥 즐겁기는 어렵지만, 학업에 집중하고자 한다면 영국 대학의 이런 문화는 ... ...
시트콤과 애니메이션에서 갑자기 툭하고 튀어나온 수학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빅뱅이론 274화에 증명 일부를 화이트보드에 적어 등장시켰습니다. 소식을 들은 스파이서
교수
는 가족들과 이 장면을 돌려봤다고 합니다. 각본 쓰다가 증명한 수학정리 ▲프라이는 외눈박이 릴라, 로봇 벤더와 함께 30세기의 미래를 헤쳐나간다. Everett 각본을 쓰기 위해 수학 문제를 직접 만들고 ... ...
[따끈따끈한 수학] 어떤 경로도 다르게! 반복없는 색칠 문제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평면지도에서 이웃한 지역은 서로 다른 색으로 칠할 때 4색이면 충분하다는 ‘4색 정리’를 들어보셨나요? 4색 정리처럼 평면지도에서 각 지역을 적당한 조건을 만족하도록 잘 색칠하는 문제는 많이 연구되는 주제입니다. 그런데 최근 평면지도에서 어느 지역에서 출발해도 각 지역을 많아야 한 번 ... ...
[맛있는 수학] 솔로몬의 햄 샌드위치 정리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얼마 전 독자를 만난 피터팍은 “제가 아무리 대충 만들어도 그것보단 잘 만들 것 같아요”라는 말을 듣고 실의에 빠졌다. 모든 요리가 어렵게 보여 다음 ... 받았는지 검증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도움 박경배(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연구
교수
), 성찬영(한국교원대 수학교육과
교수
... ...
올챙이 꼬리 ‘이것’ 덕분에 재생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물질을 분비해 재생을 유도한다.벤자민 시몬스 케임브리지대 응용수학및이론물리학과
교수
는 “일부 동물의 재생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은 향후 인간을 포함한 다른 포유류의 유사한 기작을 이해하는 첫 걸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126/science.aav999 ... ...
이전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