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견
사색
사고
마음
느낌
아이디어
착상
스페셜
"
생각
"(으)로 총 2,970건 검색되었습니다.
E=mc² 아인슈타인만의 것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그렇다면 아인슈타인은 하젠욀의 논문을 몰랐을까. 그렇지는 않았을 거라는 게 저자의
생각
이다. 왜냐하면 하젠욀의 첫 번째 논문은 1904년 ‘비엔나 회의보고서’에 실렸지만 두 번째 세 번째 논문은 1904년, 1905년 ‘물리학연감(Annalen der Physik)’에 실렸기 때문이다. 1905년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발명되면서 미생물의 존재가 밝혀졌지만 사람들은 ‘동물이 아닌 건 다 식물’이라고
생각
했다. 그러나 1866년 독일의 저명한 생물학자 에른스트 헤켈은 단세포 생물을 식물에 분류하는 건 무리라고 보고 이들을 원생생물로 따로 분류한 ‘3계 분류법’을 제안했다. 그러나 1937년 프랑스의 생물학자 ... ...
DNA 정보 저장 왜 3진수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식으로 짝을 지워도 된다) 10진수 2013은 4진수 ‘CTTCTC’로 변환할 수 있다. 이런 간단한
생각
을 과학자들이 안 했을 리는 없어 DNA저장 방식은 1988년 처음 소개됐다. 그러나 디지털 정보 저장 매체로서 DNA의 활용은 엄청난 비용 때문에 원리적으로나 가능한 얘기였다. 그런데 최근 DNA합성과 해독 비용이 ... ...
장내미생물 관리 잘 해야 남성호르몬 이상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건조된 채 들어있다. 강산성인 위액에 녹지 않게 코팅돼 있어 위를 통과해 장까지 간다는
생각
만 해도 흐뭇하다. 요거트나 김치에 들어있는 유산균이면 충분할 텐데 프로바이오틱스 캡슐까지 먹을 필요가 있는가 하겠지만, 지난 10여 년 동안 장내미생물 연구의 눈부신 발전을 죽 모니터해온 ... ...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있는 연구들을 보면 언젠가는 독감예방접종을 맞는 연례행사가 추억이 될 것 같다는
생각
이 든다. 물론 독감 바이러스가 이런 사람들의 대응책을 무너뜨릴 는 예측불가의 비밀병기를 갖고 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아무튼 적어도 한 동안은 ‘붉은여왕 가설’처럼 바이러스는 해마다 변신하고 ... ...
온실가스 배출 줄일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석유가 고갈되면서 가격이 급등해 각국이 대체에너지 개발에 올인하지 않을 수 없다고
생각
했는데 사태는 다른 방향으로 흘러갔다. 오늘날 전 세계 석유와 천연가스 추정매장량은 1991년보다 오히려 60%나 더 늘어났다. 탐사기술과 추출기술이 발전한 결과다. 그래도 석유값이 많이 오르긴 했는데 그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교육을 병행한 루스는 수학과 행동과학의 결합을 시도한 걸 일종의 ‘도박’이라고
생각
했는데, 2003년 미국과학메달을 받을 때 “1950년 MIT에서 시작한 도박이 성공한 셈”이라고 말했다고 한다. 오늘날 사회과학에서 수학적 방법론은 폭 넓게 적용되고 있다. 24. 페리시 젠킨스 (1940. 5.19 ~ 2012.11.11)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실제로는 장수와 별로 관계가 없다는 것. ‘일을 지나치게 열심히 하지 말라’, ‘유쾌한
생각
을 해 스트레스를 줄여라’, ‘조깅이나 트레킹 같은 활동적인 취미를 가져라’ 라는 예들이다. 그렇다면 장수의 비결은 무엇일까. 방대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장수와 가장 밀접한 관계를 보이는 요인은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8월 31일 ‘가디언’에 기고한 부고를 소개했다. 즉 상온핵융합은 사기라는 대중의
생각
과는 달리 진실은 좀 더 복잡하며, 그 뒤로도 여러 나라 많은 과학자들이 상온핵융합을 진지하게 연구했고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그 가능성을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 분명한 건 플라이슈만이 센세이션을 ... ...
곡물 게놈 해독이 동물 것보다 복잡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만드는 식재료라는 사실이다. 밀이 그토록 복잡한 식물이라는 게 왠지 더 어울린다는
생각
도 든다. 눈 오는 날 베이커리 카페 창가에 앉아 오븐에서 갓 나온 따끈따끈한 빵 한 덩어리와 커피 한 잔을 두고 ‘빵의 역사’를 다시 한 번 읽어봐야겠다 ... ...
이전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