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견
사색
사고
마음
느낌
아이디어
착상
스페셜
"
생각
"(으)로 총 2,96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에 바이오 기회 많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그는 “현재 우리나라 정부는 생명공학을 중심으로 한 융복합 연구를 집중 지원할
생각
”이라며 “한국 정부의 정책을 이해하는 것은 해외에서 연구활동을 하는 여러분들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 바이오 현황’이라는 제목으로 발표에 나선 현병환 ... ...
“의사와 과학자 이제 떼려야 뗄 수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동의를 투명하게 하는 등 몇 가지 보완점이 해결되면 이번엔 결말이 나지 않을까
생각
합니다.” 선진국과 기술 격차 7.3년…5년 뒤 6.9년으로 ▲ 박항식 박항식 교과부 기초연구정책관 2009년도 정부의 생명과학기술(BT) 관련 투자액은 약 2조1452억원이다. 정부 전체의 연구개발(R&D) 예산 11조3000억원의 ... ...
“융합형 뇌 연구는 시대의 흐름…대형 연구소 세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세계 각국은 뇌연구소를 새로 건설하려고 안달이고 우리나라만 없는데도 새로 만들
생각
이 없어요. 대학별로 운영하는 소규모 연구소 17개를 키우라고 말하지만 작은 연구소는 아무리 키워봤자 융합 연구 못합니다.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해요.” ● 2012년까지 연구원 설립, 2040년 노벨상 수상자 ... ...
“유전체 연구분야 국가위상 높여야…통합조정기관 설립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상당히 높다고 말한다. 특히 연구자 개인의 경쟁력은 어느 나라에도 뒤질 것이 없다고
생각
한다. “이제는 한 분야에 뛰어난 연구자들이 함께 모여 특화된 연구를 추진하는 시스템이 필요해요. 이 분야만은 한국이 최고라고 인정받을 수 있는 분야를 키워야 하는 거죠.” 미국 샌디에이고에 있는 ... ...
현장의 목소리로 들어본 한국 생명공학의 미래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정책 결정자 등 생명공학계는 물론 사회 각계 인사들을 만나 이들의 솔직하고 명쾌한
생각
과 견해를 들어볼 계획입니다. 정책을 잘 알지 못하는 독자를 감안해 격주 화요일 연재될 기사 형태도 릴레이 인터뷰 형식을 따르기로 했습니다. 더사이언스가 만난 첫 번째 인물은 지난해 ‘로레알 유네스코 ... ...
“기반 기술 ‘나노’, 이제는 산업화에 주력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움직이는 과제를 개발하면 좋을 것 같다”며 “연구자와 산업체 모두 서로가 필요하다는
생각
이 들면 좋은 기술이 더 빨리 산업화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모두 개선돼야 최 교수는 현재 나노 분야 연구 환경은 선진국에 비해도 뒤처지지 않을 정도로 좋은 ... ...
“한국 나노산업엔 디딤돌 필요… 색다른 관점으로 상용화 이끌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설명했다. “연구자로 있으면서 연구자에게 상용화까지 고민하게 해선 안 된다는
생각
이 들었어요. 후배들을 위해서라도 연구자와 기업이 소통하는 데 보탬이 되고 싶었지요.” 지난해 출범한 사업단은 세계적 스타상품 4건 개발, 사업화 성공기업 15개 창출 등을 비전으로 내세우고 있다. 박 ... ...
나노 원천기술 개발 비결은? “공동연구가 해법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높여야 정 센터장은 현재 국내 나노 정책의 단점을 너무 ‘기계, 전자공학’과의 융합만
생각
하는 것이라고 했다. “실제로 해외 나노과학분야 학회 등을 찾아가 보면 새로운 나노 기술 과제는 50% 가량이 생명과학과 연관된 것들입니다. 국내에서만 이상하게 10%가 채 안되거든요. 이 부분은 수정이 ... ...
미래창조과학부 성공의 조건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4.30
성장동력을 창출하고 사회·경제적 양극화를 해소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바 있다. "
생각
이 바뀌지 않으면 세상도 바뀌지 않는다"는 아인슈타인의 말처럼 새로운 시각으로 신설된 미래창조과학부의 탄생이 과학기술계와 우리나라의 패러다임을 바꿀 것으로 기대한다 ... ...
KAIST Art & Music Festival, KAMF!
KAIST
l
2013.04.29
태그 돼서 ‘다혜누나 감사합니다.’ 같은 내용이 적혀있을 때 내가 뭘 하긴 했구나 하는
생각
이 들고 뿌듯했어요. 그리고 마지막, 기획단이 다 같이 모여서 델리스파이스가 뿌린 종이 꽃들을 하나하나 모아서 정리한 후 수고했다고 박수 칠 때도 엄청나게 보람이 있었고요. 많은 분이 정말 즐겁게 ... ...
이전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