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받은 연구에서 나온다”고 말했다.연구자는 최대 5년 동안 그랜트를 받을 수 있고, 이후 평가를 거쳐 같은 연구 주제로 또다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NIH 재직 당시 연구비 지원 심사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명경재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항상성연구단장(UNIST 교수)은 “1989년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 ...
- [News & Issue] 전 우주에 고한다 외계문명 응답하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그래프). 절반은 지구가 태어나기 최소 50억 년 전에 태어났고, 약 8분의 1은 지구 탄생 이후에 만들어졌다. 또, 우리 은하 같은 나선은하보다는 타원은하에 더 많은 골디락스 행성이 있다. 요컨대, 지구는 우리은하가 가진 골디락스 행성의 전형적인 모습이 아니다. 또, 전체 우주 규모로 봤을 때 ... ...
- [Knowledge] 미크로네시아 해양과학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는 2008년 국내 최초로 흑진주 양식 기술 개발에 성공한 이후, 꾸준히 흑진주 수확률을 높이려는 연구를 하고 있다. 김한준 KIOST 생태기반연구센터 연구원은 “골드, 에코그린, 실버, 블랙, 블루 등 다양한 색의 진주가 있다”며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색은 ... ...
- [Knowledge] 동물 잡는 밀렵꾼 잡는 동물 로봇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남겨놓도록 쌀농사를 짓는 농부들에게 역경매를 실시했다. 협회에 따르면, 2014년 2월 이후 이 프로젝트를 통해 새가 쉴만 한 물이 있는 습지를 4만 에이커(약 162km2) 이상 확보했으며, 100만 마리가 넘는 새들이 머물다 갔다. 인근의 다른 지역보다 30% 더 높은 수였다. 바다에서는 멸종위기종 고래를 ... ...
- [Tech & Fun] 무한한 손짓을 흉내 내기 위하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의수는 많은 절단 장애인들이 최근까지도 사용할 정도로 실용적이었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절단 장애인의 수가 더욱 많아졌다. 이 때엔 드디어 의수를 부착하는 팔에 남아 있는 근육의 움직임을 읽어 손가락을 움직이는 의수가 나타났다. 이 의수는 독일 의사 페르디난트 사우어브루흐가 ... ...
- [Photo] 공작석(Malachite) 문명을 진화시킨 초록색 보석광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장인의 손길에 의해 명성을 얻고 역사가 쌓이면서 가치가 더해지는 것과 유사하다.2004년 이후 중국의 안후이성과 광둥성에서도 공작석을 비롯한 아름다운 구리광물들이 발견되고 있다. 위 사진 속 표본도 광둥성에서 채집된 것이다. 수집가들은 비스비 공작석에 비견될 만하다며 새로운 발견에 ... ...
- [Knowledge] 뼈의 말에 귀 기울이는 사람들(上)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면이 움푹 들어가 삽 머리 같은 모양을 한 치아는 주로 아시아인에서 나타난다. 1990년대 이후에는 이런 특징들을 수량화시켜 좀 더 객관적으로 추정하려는 연구들이 진행됐다. 대표적인 결과물이 ‘포디스크(FORDISC)’라는 소프트웨어다. 머리뼈의 여러 부분을 계측해 입력하면 포디스크가 ... ...
- [Tech & Fun] 휴대전화를 썼는데… 길이 생겼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비해 건설비가 저렴해 1990년 후반부터 각광을 받았다. 하지만 실제 운행이 시작된 이후 비판이 끊이지 않는다. 계속된 적자를 메우기 위해 지자체가 매년 100억~1000억 원씩 예산을 투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고속도로도 마찬가지다. 2014년까지 전국 고속도로 28개 노선에서 건설투자비로 회수한 비율은 ... ...
- [지식] 달콤 쌉쌀한 진실, 공평하게 케이크 나누기수학동아 l2016년 09호
- 1억 번 또는 원하는 어떤 수보다 더 많이 칼질하는 경우가 있다는 거지요. 안타깝게도 이후 20년 동안 이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방법이 나오지 않았습니다.4명이 공평하게 먹으려면 203번 잘라야최근 이 문제를 해결하는 획기적인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지난 4월 호주 연방과학산업연구소와 ... ...
- [지식] 북한에서 ‘사귐’의 뜻은?!수학동아 l2016년 09호
- 관해 연구하고 있다. 남·북한 교육과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통일 이후 새로운 교과과정을 만들 때 기초 자료로 쓰기 위해서다. 기초 자료가 탄탄하면 각 교육과정의 장점을 바탕으로 통합 교육과정을 만드는 데 큰 도움이 된다.지난 7월 독일에서 열린 국제수학교육자대회에서 ... ...
이전2822832842852862872882892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