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파충류를 위한 커튼콜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환경 전문 변호사 블레이크 허드슨에 따르면, 고퍼육지거북의 서식지가 줄면서 19세기 이후 개체수가 약 80% 감소했다. 이들의 땅굴에 의존하며 살아가는 동물 360여 종까지 큰 타격을 입은 것은 물론이다.서식지 파괴 때문에 고통 받는 것은 거대한 포식동물인 악어도 마찬가지다. 인도의 가비알은 댐 ... ...
- [가상인터뷰] 굶주림은 꿀벌을 강하게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애벌레를 두 그룹으로 나눠 이 중 한 그룹의 애벌레에게만 먹이를 부족하게 줬어요. 이후 7일 뒤, 성충이 된 꿀벌들에게 부족한 양의 먹이를 주고 이 때 꿀벌의 상태 변화를 살펴봤지요. 애벌레 때 먹이를 적게 먹은 꿀벌의 경우, 먹이가 부족한 상황에서 생체 활동을 조절해 적당한 수준의 혈당량을 ... ...
- [지식] 공대생 너무만화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책의 여백이 충분하지 않아 증명 내용을 적을 수 없다’고 주석만 달아 놓았다. 이후 수백 년간 풀리지 않던 이 문제는 350년이 지나서야 영국 옥스퍼드대 수학연구소 앤드루 와일스 교수가 증명해낸다. 일개 대학 신입생이 A4용지 1장 분량으로 풀 수 있을 리 없다.‘P=NP 문제’는 클레이 ... ...
- [Editor’s Note] 섞임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신청을 하지 못해 아쉬운 독자가 많을 것이다. 사이언스바캉스 강연은 모두 녹화돼 행사 이후 한두 달 뒤에 네이버와 동아사이언스 홈페이지에서 다시 볼 수 있다. 또 강연 내용을 담은 단행본 ‘사바캉’을 만들어 연말에 정기구독자에게 제공한다. 과학동아는 ‘사이언스바캉스’ 외에도, 연 8회 ... ...
- [News & Issue] 젊은 해커들이 기판으로 명찰을 만든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기능을 하나씩 추가해 손쉽게 나만의 하드웨어를 제작할 수 있다. 2005년 처음 공개된 이후 지금까지 여러 종류의 아두이노가 개발됐는데, 현재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아두이노 우노(UNO)다. 우노도 MCU(PC의 CPU같은 존재로, 아두이노의 중앙처리장치)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는데, 그 중에서 USB 연결을 ... ...
- Part 1. 금메달 컨디셔닝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자는 것은 금물입니다. 브라질 현지는 지연도착이 많기 때문에 도착시간을 유념해서 이후 일정을 조절해야 합니다.아 요건 출장이나 여행 간 사람들에게도 요긴한 정보겠어요. ➋ 스트레스 조절 | 시합 직전을 주의하라아 현지에 적응하려면 선수들이 스트레스를 많이 받겠어요.해 그렇습니다. ... ...
- [과학뉴스] 화산 없는데 땅 밑에 웬 마그마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그 결과 오클랜드에서 200km 가량 떨어진 마타타라는 해안 마을의 면적 400km2의 땅이 1950년 이후 40cm 가량 융기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올림픽 규격 수영장 8만 개를 채울 만한 양의 마그마가 지층 밑에 축적돼 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뉴질랜드에는 활화산이 여럿 있지만, 마타타 근처에는 적어도 ... ...
-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적색편이는 우주팽창 때문에 생긴다. 은하가 우리로부터 멀수록 은하에서 빛이 출발한 이후 우주는 더 많이 팽창하는데, 이 때문에 빛의 파장도 그만큼 더 많이 늘어난다. 즉, 적색편이 값이 크다(허블의 법칙). 이를 거꾸로 적용하면 천체의 적색편이 값으로부터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슈미트는 3C2 ... ...
- [News & Issue] 장기기증자의 눈물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이상이 없던 사람들이 오직 수혜자를 위해 큰 수술을 감내하는데, 정작 기증자는 수술 이후 삶의 질을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고 있습니다.”한국은 다른 나라에 비해 생존자 기증이 압도적으로 많다. 질병관리본부 장기이식관리센터(KONOS)에 따르면, 2013년 한국에서 이뤄진 생존자 신장·간이식은 100만 ... ...
- [Tech & Fun] 음료만 마셔도 릴렉스~ 된다고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카페인에 의한 흥분작용을 억제한다는 연구결과를 2000년에 발표했다(doi: 10.1271/bbb.64.287). 이후 연구에서 테아닌 양이 카페인의 8배면 각성효과를 상쇄할 수 있다고 밝혀졌다(단순 계산으론 레드 불 한 캔을 상쇄하려면 슬로우 카우 다섯 캔을 마셔야 한다).수면제와 어떻게 다를까온몸이 나른해지는 ... ...
이전285286287288289290291292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