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 무한대를 본 남자, 라마누잔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천재성을 보인 수학자다. 하디는 영국 윈체스터 사립학교에 장학금을 받고 입학했다. 이후 케임브리지 대학의 트리니티 칼리지에 입학했는데, 입학한 지 2년 만에 케임브리지대 우등 졸업 인증 시험에서 수학 부문 4등을 했다.하디는 수학계에 수많은 업적을 남겼다. 특히 많은 수학자를 미치게 한 ... ...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35년까지 ATLAS와 CMS 검출기가 지금보다 50배 많은 정보를 생산하게 할 것이다.CERN에서는 LHC 이후 시대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미래형원형충돌기(Future Circular Collider) 연구에서는 100TeV(테라전자볼트)의 에너지를 내는 양성자 충돌장치의 가능성을 탐구하고 있고, ... ...
- [News & Issue] 떠다니는 해양과학연구소 이사부호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탐사에 돌입한다. 활동 무대는 세계의 모든 바다다. 1992년 건조한 온누리호(1370t급) 이후 독자기술로 만든 조사선이 대양으로 나가는 건 이번이 두 번째다.대양조사의 첫 번째 목표는 기후 예측. 태평양에서 해양과 대기의 상호작용을 분석해서 엘니뇨, 몬순 같은 기후변화와의 관련성을 찾는 것이다. ... ...
- [Knowledge] 그들은 왜 몸집을 줄였을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그 결과, 공룡과 함께 살던 시절 최대 몸무게가 10kg에 불과했던 육상 포유류는 공룡 멸종 이후 17t 까지 급격히 늘었다. 그러나 이처럼 거대한 육상 포유류는 금세 멸종했다. 연구팀은 각 대륙의 지리적 특성과 관계 없이 기온이 낮아지고 그 종의 서식지가 넓어질수록 종의 몸집이 커졌다는 사실을 ...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가진 암세포가 많아지고 있지만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하는 속도는 더디다.siRNA가 발견된 이후 과학자들은 암세포에서 단백질을 생산하는 mRNA를 표적으로 달라붙는 siRNA를 인위적으로 합성하는 방식을 연구하고 있다. siRNA를 이용하는 이유는 ‘원샷 원킬’ 특성 때문이다. miRNA를 활용하면 암세포에서 ... ...
- [Info] “ 한반도 지진 제대로 알려면 역사 속 지진도 연구해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이 교수는 “그동안 한반도가 지진 안전지대라고 믿은 것은, 계기관측을 시작한 1904년 이후 큰 지진이 없었기 때문”이라며 “역사 기록에는 큰 지진이 많이 등장하는 만큼 역사지진 연구를 게을리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이번 경주 지진이 혹시 대지진으로 향하는 위험한 징조는 아닐까. 이 ...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아무 것도 남지 않았고, 가죽소파도 다 찢어져 있었다고 했다. 나도, 출판사도, K 의원도 이후 다시는 센서스 코무니스 대표를 만나지 못했다.센서스 코무니스 대표가 잠적하고 나서 열흘 뒤 나는 정보맨 모임에 나갔다. 그 열흘 사이에 K 의원은 실언을 연거푸 두 번이나 해서 이미지가 크게 구겨졌다 ... ...
- Part 2. 지금이 ‘인류세’라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이후에는 그 속도가 8~100배 빨라진 거예요.게다가 1500년 이후 멸종된 척추동물 중 1900년 이후에 멸종된 것이 60%나 차지할 정도로 지난 100년 동안 멸종 속도가 급격히 빨라졌답니다. 세바요스 박사팀에 따르면 이렇게 멸종 속도가 빨라지는 건 사람 때문이라고 해요. 자연스러운 멸종 속도라면 800~1만 ... ...
- Part 4. 우리나라 멸종위기종에게도 관심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멸종위기종은 모두 246종이에요. 1989년에 처음으로 92종을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선정한 이후, 조금씩 더 많은 생물을 조사해온 결과지요.하지만 지금까지 조사한 결과로 우리나라 생물종의 멸종 속도나 서식지 보전 상태 등을 말하긴 어려워요. 조사량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에요. 따라서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나무가 싹트는 모양을 본떠 만든 상형문자예요. 식물이 태어나다는 의미에서 시작해 이후 살다, 낳다 등 생물에 관련된 다양한 뜻을 지니게 됐답니다. 살아 있는 생물 그 자체를 의미하기도 하지요. 또 사람이나 백성을 일컫는 말로도 쓰인답니다. 몸 체(體)는 ‘뼈 골(骨)’과 ‘풍성할 풍(豊)’이 ... ...
이전2792802812822832842852862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