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떠다니는 해양과학연구소 이사부호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탐사에 돌입한다. 활동 무대는 세계의 모든 바다다. 1992년 건조한 온누리호(1370t급) 이후 독자기술로 만든 조사선이 대양으로 나가는 건 이번이 두 번째다.대양조사의 첫 번째 목표는 기후 예측. 태평양에서 해양과 대기의 상호작용을 분석해서 엘니뇨, 몬순 같은 기후변화와의 관련성을 찾는 것이다. ... ...
- [교과연계수업] 멸종위기 생물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이후에는 그 속도가 8~100배 빨라진 거예요. 게다가 1500년 이후 멸종된 척추동물 중 1900년 이후에 멸종된 것이 60%나 차지할 정도로 지난 100년 동안 멸종 속도가 급격히 빨라졌답니다. 세바요스 박사팀에 따르면 이렇게 멸종 속도가 빨라지는 건 사람 때문이라고 해요. 자연스러운 멸종 속도라면 800~1만 .. ...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35년까지 ATLAS와 CMS 검출기가 지금보다 50배 많은 정보를 생산하게 할 것이다.CERN에서는 LHC 이후 시대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미래형원형충돌기(Future Circular Collider) 연구에서는 100TeV(테라전자볼트)의 에너지를 내는 양성자 충돌장치의 가능성을 탐구하고 있고, ... ...
- [Knowledge] 그들은 왜 몸집을 줄였을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그 결과, 공룡과 함께 살던 시절 최대 몸무게가 10kg에 불과했던 육상 포유류는 공룡 멸종 이후 17t 까지 급격히 늘었다. 그러나 이처럼 거대한 육상 포유류는 금세 멸종했다. 연구팀은 각 대륙의 지리적 특성과 관계 없이 기온이 낮아지고 그 종의 서식지가 넓어질수록 종의 몸집이 커졌다는 사실을 ...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아무 것도 남지 않았고, 가죽소파도 다 찢어져 있었다고 했다. 나도, 출판사도, K 의원도 이후 다시는 센서스 코무니스 대표를 만나지 못했다.센서스 코무니스 대표가 잠적하고 나서 열흘 뒤 나는 정보맨 모임에 나갔다. 그 열흘 사이에 K 의원은 실언을 연거푸 두 번이나 해서 이미지가 크게 구겨졌다 ... ...
- Part 4. 우리나라 멸종위기종에게도 관심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멸종위기종은 모두 246종이에요. 1989년에 처음으로 92종을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선정한 이후, 조금씩 더 많은 생물을 조사해온 결과지요.하지만 지금까지 조사한 결과로 우리나라 생물종의 멸종 속도나 서식지 보전 상태 등을 말하긴 어려워요. 조사량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에요. 따라서 ... ...
- [지식] 세계는 스팸과 전쟁 중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게리 터크가 ‘아르파넷’이라는 전산망을 이용해 보낸 스팸메일은 약 400통 정도였다. 이후 봇넷이 스팸메일을 보내는 데 쓰이기 시작했고, 웜이 개발되면서 더욱 많은 컴퓨터를 조종하는 봇넷이 생겨났다. 그러면 한 번에 보낼 수 있는 스팸메일의 수도 늘어난다.2008년에 등장해 컴퓨터 수백만 ... ...
- [소프트웨어] 서큘러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결국 유료 고객을 유치해야 하는 일이었다. 청소년의 용돈을 빼앗아 가는 기분이 들었다.이후 박 대표는 게임 회사를 나와 대기업 연구소에서 일하게 됐다. 그런데…, 운이 좋다고 해야 할지 나쁘다고 해야 할지. 박 대표는 팀에서도 손에 꼽힐 정도로 지방이나 해외로 자주 출장을 갔다. 몸도 ... ...
- Part 3. 세포 속 청소부의 정체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돌아갔다. 2010년 체외수정 기술 개발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로버트 에드워즈 교수 이후 오랜만의 단독 수상이다.오스미 교수는 오토파지 분야의 개척자인 것은 물론, 많은 후학들을 배출해 오토파지 연구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그의 제자들은 오토파지 연구를 이어받고 확장해 지금까지도 ... ...
- [Tech & Fun]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및 보강, 지하수 배출, 환기와 채광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먼저 채굴을 보자. 1960년대 이후 개발된 강력한 거대 굴착 장비 덕분에 지금은 어떤 조건의 암반도 어렵지 않게 뚫을 수 있다. 특히 거대 중장비 ‘쉴드 TBM’은 암석을 부수고 파편을 외부로 배출하며 터널 벽면에 콘크리트 조각을 ... ...
이전2792802812822832842852862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