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두번째 작전. 소행성이 날아온는 이유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1801년 이탈리아 수도사 주세페 피아노가 첫 번째 소행성인 ‘세레스’를 찾아낸 이후, 지금까지 약 45만 개의 소행성이 발견됐어요. 이들은 대부분 화성과 목성 사이에 있는 ‘소행성대’에 머물러 있어요. 이 밖에도 목성의 공전 궤도와 태양계 카이퍼 벨트에서도 소행성 무리가 발견됐답니다 ... ...
- [출동! 섭섭박사] 그림이 살아 움직인다~! 거울 애니메이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길쭉한 구멍을 뚫어요. 구멍과 구멍 사이의 종이가 거울의 모서리 역할을 하는 거예요. 이후 빨대를 돌리며 구멍을 보면 거울에서 보던 것과 마찬가지로 그림이 움직여 보인답니다.깜빡이는 빛을 이용해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도 있어요. ‘3D 조트로프’로 불리는 이 장치는 최근 애니메이션 ...
- [지식] 해밀턴 회로가 있을까? 가운데층 문제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세기 후반에 이르러 이코시안 게임은 보드게임으로 만들어져 유럽 곳곳에서 팔렸습니다. 이후 수학자들은 그래프에서 모든 꼭짓점을 한 번씩 지나 시작점으로 돌아오는 경로를 해밀턴 경의 이름을 따서 해밀턴 회로라고 불렀습니다.그런데 해밀턴 회로가 있는지 없는지 묻는 문제는 매우 ... ...
- [News & Issue] 최순실 PC,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시키지 않았을 가능성도 높다.지워진 파일을 복구하는 데에는 2012년 이전 모델이든 이후 모델이든 차이가 없다. 파일이 저장될 때는 두 개의 정보가 헥사코드의 형태로 저장된다. 사용자가 작성한 내용, 수정한 날짜 등의 핵심 정보와, 이 정보가 저장된 위치를 가리키는 링크 정보다. 핵심 정보는 ... ...
- [인터뷰] “수학적인 사고가 제 삶의 밑천이에요!”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만들었는지 부모님께 여쭈었고, 그게 시작이 돼서 컴퓨터 학원에 다니게 됐어요. 그 이후 고등학생 시절까지는 큰 고민 없이 컴퓨터를 공부했던 것 같아요. 그런데 갑자기 음악과 문학을 좋아하게 되면서 대학 진학을 앞두고 부모님과 갈등을 겪었어요.부모님 뜻대로 서강대 컴퓨터공학과에 ... ...
- [과학뉴스] 국제 안보(International Security)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통하는 이유(Why Civil Resistance Works)’라는 제목으로 2008년 ‘국제 안보’에 처음 소개됐다(이후 유명해져 4년 뒤 책으로도 출판됐다).1976년 창간된 국제 안보는 현재 국제 관계 분야 학술지 85개 중 가장 영향력 있는 학술지로 꼽힌다. 논문의 평균 인용횟수를 나타내는 임팩트팩터(IF)는 2014년 기준으로 ... ...
- [Photo] 홍연석(Crocoite) 존재 자체가 기적인 ‘생존자’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시작했다. 그리고 몇몇 폐광된 광산들이 수집용 광물을 캐는 광산으로 다시 문을 열었다. 이후 이곳에서 산출된 아름다운 홍연석 표본들은 세계 유명 박물관의 인기 전시품으로 등장했다. 현재 홍연석은 태즈메이니아 주의 공식 광물 엠블럼으로 지정돼 있을 정도로 이 지역의 대표 광물이다. 여러 ... ...
- [Knowledge] 뉴턴에 날개 달아준 여성 물리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대학인 파도바대는 1600년대에 엘레나 피스코피아라는 여성에게 첫 번째로 박사학위를 준 이후 더 이상 여성에게 학위를 주지 않았다. 그래서 로카티는 아버지의 허락을 받아 볼로냐대에 입학했다. 당시 로비고와 볼로냐는 서로 다른 나라(각각 베네치아 공화국과 교황령)에 속한 도시였다. 여성이 ... ...
- [헷갈린 과학] 상아VS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상아를 많이 사용하면서 코끼리의 수가 급격히 줄어드는 것이 문제였어요. 그래서 이후 플라스틱이 상아를 대신하게 됐답니다.뿔뿔의 크기와 모양은 동물마다 제각각이에요. 하지만 알고 보면 사슴, 소, 코뿔소의 뿔은 모양뿐만 아니라 그 속을 이루고 있는 성분까지 다르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 ...
- [재미] 마왕의 등장수학동아 l2016년 12호
- 구부러진 공간에서는 다섯 번째인 평행선 공준만 맞아떨어지지 않았죠.”단은 유클리드 이후의 수학자들이 유클리드의 기하학을 발전시켜 새로운 기하학을 만들었다고 덧붙여 말했다. 후대 수학자들은 기본적으로 유클리드의 공준을 그대로 유지하되, 특정한 조건에서만 성립하는 공준을 부정했다 ... ...
이전2772782792802812822832842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