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묵독
목독
방패
방패막이
사이
d라이브러리
"
간
"(으)로 총 9,156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컴퓨터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무슨 생각을 할지 궁금하다. 학계에서는 양자컴퓨터가 실용화되기까지는 아직 상당한 시
간
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가장 먼저 영광의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과학자들의 도전이 오늘도 세계 곳곳에서 계속되고 있다.중첩과 얽힘. 양자역학이 말도 안 된다는 것을 보여 주려고 제시된 ... ...
공룡의 역사 흔들 대발견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보니 대학 1학년 때 산 망치를 24년째 쓰고 있었다. 24년 동안 남들이 가지 않은 외길을
간
뚝심이 망치에서 묻어났다.고생물학자에게 뚝심과 끈기는 기본 덕목일 것이다. 9000만 년을 한결같이 유지해 온 화석을 발굴하고 연구하는 게 임무니까. 오지의 화석 연구자들은, 어느덧 화석의 덕성을 닮아가고 ... ...
물고기 뱃속에 그 많은 플라스틱이?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대부분 ‘물고기 밥’이 됐다.스페인 4개 대학의 연구팀은 지난 2010년부터 11년까지 2년
간
5대양을 돌아다니며 전 세계 바다에 있는 플라스틱의 양을 조사했다. 조사결과 현재 전 세계 바다에는 4만t의 플라스틱이 떠있었다. 과학자들이 예측한 수억t의 1% 미만으로, 터무니없이 적은 결과였다. ... ...
수학에 희망을 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곧 국외에도 출
간
이 된다.가끔은 많이 팔리지 않을 걸 알아도 만드는 책이 있다. 곧 출
간
될 ‘수학사상사’ 같은 책이 그렇다. 세계적인 수학 저술가 모리스 클라인이 쓴 책인데, 수학이 왜 철학과 함께 논의돼야 하는지에 대해 쓴 책이다. 박 실장은 “수학과 철학을 동시에 이야기하는 책인 만큼 ... ...
PART2 - 군집로봇 뇌 속엔 무엇이 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소금과 후추가 있어야 맛좋은 스테이크가 되듯, 아무리 훌륭한 알고리 듬이라도 로봇
간
통신이나 경로계획, 위치인식 등 다양 한 기반기술이 뒷받침돼야 실제 군집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가끔 “연구 과정에서 무엇이 가장 힘들었냐”는 질문을 받으면 “로봇을 실제로 구현하는 것”이라고 ... ...
❼ 이것만은 꼭! - 천재 수학자 5000명 서울에 모인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방법으로 세계수학자대회를 홍보하고 이를 온라인 상에 게시하는 것이 핵심!홍보 기
간
7월 16일부터 8월 21일까지문의처동아사이언스 수학동아팀 (02)3148-0765※ 별도의 참여 신청은 없습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과학특별시(cafe.naver.com/dsciencecity) 카페를 참고해 주세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벌집 아이스크림엔 진짜 벌집이 들어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마트까지 꽤나 오랜 시
간
유통됐음에도 단단하게 굳어있지 않고 숟가락이 부드럽게 들어
간
다. 무슨 제품인지는 비밀이다(:D). 독자 여러분이 직접 찾아보는 재미를 빼앗아 갈 순 없으니까 ... ...
[Knowledge] 녹색식물도 키우는 ‘ 화성 호텔’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지금까지 서로 의지하며 잘 지내고 있다. 그것은 아마 어머니의 자궁과도 같은 좁은 공
간
에서 느끼는 안락함 때문이 아닐까. 그리고 하나 더 꼽자면 이 넓은 행성에 우리밖에 없다는 인식일 것이다.밖은 이미 깜깜한 밤이었다. 화성에선 바라보는 지구는 너무 작은 별이다. 오늘따라 7500만km 떨어진 ... ...
다시 읽는 난중일기 거북선 정말 철갑선이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8호
헤엄치는 물방개에 영감을 받아 빠르고 강한 천하무적 배를 만드는 꿈을 갖게 되죠. 10년
간
의 연구 끝에 거북선 설계도를 만들었고 이 설계도에 관심을 가진 이순신 장군의 지휘 아래 1년 만에 거북선이 탄생하게 되었답니다 ... ...
Intro. 2014년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일까?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실력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모렐 교수는 지적 호기심이 많은 것으로도 유명하다. 시
간
이 날 때마다 한국어와 러시아어 등 다양한 나라의 언어와 춤을 배운다. 또한 초등학교 시절에는 수학의 역사와 최신 연구 소식이 궁금해서 9년 동안이나 수학 잡지를 읽었다.7 Simon Brendle “이제 필즈상만 남았어요 ... ...
이전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