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묵독
목독
방패
방패막이
사이
d라이브러리
"
간
"(으)로 총 9,156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겨울 한파 미스터리 풀렸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또한 최근 북반구 겨울에 불어닥친 한파가 지구온난화의 파생적인 현상일 수 있다는
간
접적인 증거를 제시했다. 올 겨울, 내년 겨울,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앞으로 우리나라의 겨울 날씨는 어떻게 전개될까. 현재 북극의 해빙은 빠르게 줄고 있다. 자연스럽게 지금보다 더 많은 열이 해양에서 대기로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것이다. 이 소천체들은 무려 10만AU까지 나타날 것이다. 보이저가 여기 가려면 3만 년의 시
간
이 더 흘러야 한다. 내 진정한 끝은 여기일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이 곳 조차 아직 다른 별보다는 내게 가깝다. 보이저 1호는 여기서 1만 년은 더 여행해야 비로소 나와 결별할 수 있다. 그 때에야 나와 다른 ... ...
빨
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지난 세월과 앞으로 빨
간
모자가 걸어가야 할 날들이 긴 그림자를 그리며 겹쳐지네요. 빨
간
모자는 다음에는 그림자 끝에 홀로 쓸쓸하게 앉은 늙은 늑대와도 인사하리라 마음먹었습니다. 늑대가 덤비면 어떡하냐고요? 괜찮아요. 할머니와 함께 있으면 무섭지 않은걸요~ ... ...
[특별인터뷰 1] “수학 배워서 뭐 하냐고 묻는 친구들에게 수학동아 소개해 줄래요!”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항공우주기술에 관련된 일을 하고 싶어요. 수학동아 독자 탐방으로 항공우주센터에
간
적이 있었는데, 그때 항공우주와 관련된 일을 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됐어요. 직접 보고 체험한 경험은 오래 기억에 남는 것 같아요. 로켓을 만드는 일에도 관심이 있고, 궤도를 계산하는 일도 하고 싶고…. ... ...
스킨십하면 행복 호르몬 퐁퐁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단숨에 나를 응원하는 엄마에게 달려가 와락 안겼지. 바로 지금이 나에게 가장 행복한 시
간
이라는 걸 느꼈어. 친구들도 지금 부모님을 꼬옥 안아 봐. 행복 호르몬이 퐁퐁 나오는 느낌을 알 수 있을 거야 ... ...
5th 마틴 가드너의 퍼즐 캠프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순
간
자연스럽게 입 밖으로 나오는 소리죠. 퍼즐에 깊게 몰두한 사람만이 느낄 수 있는 순
간
이라고 생각해요.”어렸을 때부터 수많은 퍼즐을 섭렵하면서 수학에 흥미를 느낀 안진후 학생은 퍼즐을 하나하나 수집하다 보니 더 이상 구할 수 있는 퍼즐이 없어 직접 퍼즐을 만들게 되었다고 한다. 첫 ... ...
[hot science] 충격! 화성에도 과학동아 독자가?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인공적으로 보이는 돌이 있다는 건데요, 문명이 있었다는 증거로는 너무 부족합니다. 순
간
적인 빛 반사에 의해 반짝이면서 금속처럼 보일 수도 있고, 네모난 돌 정도는 굳이 누군가 만들지 않아도 생길 수 있지 않습니까.물론 화성에 풍부한 생태계와 고대 문명이 있었고 지금은 싹 다 흔적도 없이 ... ...
[life & tech] 가족이 화병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사람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어떨까요? 이 병이 정신과의 질병이든 아니든, 만일 가족
간
의 경험이 문제의 주된 요인이라면 우리가 서로를 대하는 방식에 대해서 한 번쯤은 성찰해 보는 것도 의미 있지 않을까요 ... ...
[career] 서울공대카페 21 조선해양공학과 “커다란 고래 같은 공학”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있는 모든 준비를 마친 셈입니다. 그러나 대규모 해저도시 건설은 어려울 것 같습니다. 인
간
이 굳이 해저에서 생활할 이유가 아직 없기 때문입니다.Q 윤다슬(동래여고 2학년)고래들도 음파를 이용해 대화를 합니다. 고래도 연구하시나요?A 수중 음파 연구에는 제가 연구하는 공학적인 응용 분야와 ... ...
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민물로 적응하면서 여러 지역으로 퍼졌을 것…. 회오리바람까지 등장하다니 다윈도 어 지
간
히 급했나 보다.반세기가 지나 알프레드 베게너의 '대륙이동설'이 나오면서 이 문제는 깔끔하게 해결된다. 원래 한 대륙으로 붙어있던 지 역들이 갈라지면서 민물에 사는 생물들이 여러 대륙으로 나눠 진 ... ...
이전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