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묵독
목독
방패
방패막이
사이
d라이브러리
"
간
"(으)로 총 9,156건 검색되었습니다.
빨
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지난 세월과 앞으로 빨
간
모자가 걸어가야 할 날들이 긴 그림자를 그리며 겹쳐지네요. 빨
간
모자는 다음에는 그림자 끝에 홀로 쓸쓸하게 앉은 늙은 늑대와도 인사하리라 마음먹었습니다. 늑대가 덤비면 어떡하냐고요? 괜찮아요. 할머니와 함께 있으면 무섭지 않은걸요~ ... ...
5th 마틴 가드너의 퍼즐 캠프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순
간
자연스럽게 입 밖으로 나오는 소리죠. 퍼즐에 깊게 몰두한 사람만이 느낄 수 있는 순
간
이라고 생각해요.”어렸을 때부터 수많은 퍼즐을 섭렵하면서 수학에 흥미를 느낀 안진후 학생은 퍼즐을 하나하나 수집하다 보니 더 이상 구할 수 있는 퍼즐이 없어 직접 퍼즐을 만들게 되었다고 한다. 첫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것이다. 이 소천체들은 무려 10만AU까지 나타날 것이다. 보이저가 여기 가려면 3만 년의 시
간
이 더 흘러야 한다. 내 진정한 끝은 여기일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이 곳 조차 아직 다른 별보다는 내게 가깝다. 보이저 1호는 여기서 1만 년은 더 여행해야 비로소 나와 결별할 수 있다. 그 때에야 나와 다른 ... ...
[life & tech] 가족이 화병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사람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어떨까요? 이 병이 정신과의 질병이든 아니든, 만일 가족
간
의 경험이 문제의 주된 요인이라면 우리가 서로를 대하는 방식에 대해서 한 번쯤은 성찰해 보는 것도 의미 있지 않을까요 ... ...
[knowledge] 야생담배의 매력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것일까? 이런 시
간
대를 인위적으로 바꾸면 수정에 어떤 문제가 생길까? 필자는 지난 3년
간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사막에서 실험을 진행했다. 하지만 올해도 우리밭으로 나방이 많이 날아오지 않아서 내년을 기약해야 했다. 한 해 농사를 끝내면 좋은 열매를 얻기도 하지만, 여전히 확실한 답을 찾지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미
간
을 살짝 찌푸리며 눈앞에 밤하늘을 상상하는 모습이 영락없는 천문학자다. 1969년 인
간
은 달에 발을 디딘다. 박테리아는 그로부터 8년이 지나서야 개수를 셀 수 있게 됐다. 밤하늘 은하수의 별들에는 하나하나 이름이 붙어있지만, 박테리아는 아직도 태반이 이름이 없다. 우주보다도 미지의 ... ...
[knowledge] 루게릭병,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덜어줄 루게릭 요양병원을 건립하기 위해 기금을 모으고 있다. 조 사무국장은 “24시
간
생존에 관한 모든 것을 가족에 의존해야 하는 환우들의 생활은 처참할 정도로 열악하다”고 말했다.최근 아이스버킷 챌린지가 원래 취지를 잃은 채 연예인들의 인맥 과시용이나 웃고 떠드는 놀이로 전락했다는 ... ...
[2030 인류, 화성에 가다] 화성 올림픽 폐막 파티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물었다. 고향 느낌이 물씬 났다. 그리움이 몰려왔다. 내 고향은 사과 밭이 유명하다. 조만
간
그 맛과 향을 느낄 날이 오겠지. 그날까지, 화성에서의 임무를 무사히 해내자고 ... ...
[career] 서울공대카페 21 조선해양공학과 “커다란 고래 같은 공학”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있는 모든 준비를 마친 셈입니다. 그러나 대규모 해저도시 건설은 어려울 것 같습니다. 인
간
이 굳이 해저에서 생활할 이유가 아직 없기 때문입니다.Q 윤다슬(동래여고 2학년)고래들도 음파를 이용해 대화를 합니다. 고래도 연구하시나요?A 수중 음파 연구에는 제가 연구하는 공학적인 응용 분야와 ... ...
전자파·방사능 스마트폰으로 본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행위의 개념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일상적인 상황에서는 정밀도보다는
간
편한 측정이 우선이라는 것이다. 전국 각지의 수많은 사람이 각자 자기 주변에서 전자파나 방사능을 측정한 결과를 공유하면 의미 있는 데이터를 만들 수 있다. 그 결과를 보고 필요하다면, 전문 측정 장비를 투입하면 ... ...
이전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