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간"(으)로 총 9,156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의원에서 초음파 검사도 한다고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있다는 사실과 한의사는 치료를 위해 의사와 같이 안압하강제를 투여하는 것이 아니라 간과 폐를 돕는 방식으로 처방한다는 점을 강조해요. 따라서 안압측정기는 기존에 집게손가락으로 안구를 살짝 압박해 측정했던 절진(切診)의 현대화된 방법으로 볼 수 있다는 거죠.어때요, 한의사의 안압측정기 ... ...
-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수학동아 l2014년 07호
- 얼마나 살았나요?저는 한국에서 태어나 지금까지 한국에 살고 있어요.꽤 오랜 시간이 흘렀군요. 그렇다면 당신이 하는 일에 대해서 조금만 알려 줄래요?청소년들이 보는 ‘수학동아’라는 잡지를 만들고 있어요.아주 흥미로운데요! 또 할말이 있나요?13살이라고 알고 있는데, 자신에 대해서 소개해 ... ...
- 수학으로 달리는 똑똑한 지하철수학동아 l2014년 07호
- t5는 지하철을 세우기 위해 제동장치를 작동시킨 시점부터 열차가 멈출 때까지 걸린 시간이다.이 같은 공식을 이용해 10량짜리 지하철의 최소 운전 시격을 구해 보면 보통 2분이 나온다. 일반 기차는 3분, 고속열차는 4분이다.지하철 노선도에 물고기, 달팽이, 고래 등 다양한 동물들이 나타났다? 1988년 ... ...
- Part 1. 줄기세포 치료제 언제 나오나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덕분에 유용한 식물을 실험실에서 쉽게 배양할 수 있다”로 마무리 지었다. 순간 깜빡 속아 넘어갈 뻔 했다. 그거야 회사에서나 좋은 일이지. 줄기세포를 화장품에 넣으면 피부에 왜 좋냐는 질문에 연구원은 ‘현재 연구 중’이라며 끝까지 답을 피했다. 결론부터 말하면, 줄기세포를 얼굴에 ...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1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실험 결과, 늘어난 상태에서도 전력과 전압이 기존 리튬이온전지와 비슷해 LED 전구를 9시간 가까이 밝힐 수 있었다. 상처에 바르는 밴드처럼 팔꿈치에 붙여 늘린 실험에서도 정상적으로 작동했다.마지막 문제는 성능이다. 휘어지기 전후의 전압이 변하거나, 전지의 용량이 떨어진다면 아무 소용이 ... ...
- 남성미 물씬 사각턱, 이유는 ‘강펀치’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단단하게 만들어 방패로 삼아야 유리했지만 여성은 굳이 그럴 필요가 없었던 셈이다.그간 생물학계에서는 인류가 견과류와 과일의 씨, 나무껍질 등 거친 음식을 먹었기 때문에 강한 턱을 갖게 된 것이라고 추정해왔다. 하지만 이 가설은 남성의 얼굴형은 각진 경우가 많은 데 비해 여성은 갸름한 ... ...
- [hot science] 달의 여신의 눈빛, 루나 스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바다에 스월이 존재하는지를 연구했다. 이곳은 국지적인 자기장이 발생하고 있지만, 간간히 작은 흰 점이 있을 뿐 뚜렷한 스월이 관측되지 않는다. 만약 자기장 차폐 현상이 스월의 원인이라면 이 지역의 밝은 점도 스월이어야 한다. 하지만 연구진은 아직까지는 스월로 볼 수 있는 증거를 찾지 ... ...
- [knowledge] 시화호 조력발전소, 환경과 문화까지 살리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집이 경기도 수원에 있는 기자는 안산에 자주 간다. 단골 바지락칼국수집에 들렀다가 차를 조금 더 몰면 곧장 시화호다. 90년대만 해도 오염의 대 ... 수 있었다. 물론 이런 대역사(大役事)에 3년이라는 운영 경험은 아직 짧다. 더 긴 시간 동안 꾸준하고 모범적인 운영이 계속되길 기원해 본다 ... ...
- 세계 최초 개인 인공위성을 발사한 송호준 작가수학동아 l2014년 06호
- 발사할 생각을 한 것일까?“사실 시작은 단순했어요. 인공위성 회사에서 약 1년 간 인턴사원으로 근무하면서 인공위성에 관심이 생겼지요. 그런데 인공위성 발사는 국가나 기관이 주도하는 대규모 프로젝트 방식으로 진행되더라고요. 그때 전 ‘만약 개인이 인공위성을 발사하면 어떨까’ 하는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수학 산책 마이클 아티야의 수학 세계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출발한 수 체계의 기적적인 응용이 신비롭게 느껴질 때가 많다. 그러나 우주를 이루는 공간 입자가 대수로부터 우러나온다는 다익그라프의 추측이 맞다면,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다. 수학과 물리의 유기적 통일성을 일생 동안 강조해 온 아티야 경의 생일에 걸맞는 ... ...
이전285286287288289290291292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