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작
행동
실행
몸짓
액션
작용
뉴스
"
작동
"(으)로 총 3,149건 검색되었습니다.
맹점의 생리학
2015.09.01
가운데 점으로 수렴하는 것처럼 보인다. 역시 자연스러움을 추구하는 뇌의 채워넣기가
작동
한 결과다. 뇌가 시각정보를 처리하는 메커니즘을 이해하는데 맹점 연구가 큰 도움이 됐다. 즉 입력정보가 불완전할 경우 뇌는 통계적 추측을 바탕으로 정보를 자체생산해 시각을 완성한다. 위: 왼쪽 눈으로 ... ...
수학으로 ‘생체리듬’ 설계했더니, 실제로 움직여
2015.08.28
만든 뒤 대장균에 집어넣어 인공 미생물을 만들었다. 김 교수의 회로가 정상적으로
작동
할 경우 단백질에서 빛이 깜빡이며 생체리듬을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단백질에서 빛이 깜빡이면서 인공 미생물은 안정적인 생체리듬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렸다. 김 교수는 “인공 ... ...
2015년 융합클러스터 지원사업 최종 선정 결과 발표
2015.08.26
총 6개가 선정됐다. 초기탐색형 분야는 우주나 심해, 화재나 지진 같은 재난상황에서도
작동
하는 소재기술을 개발하는 ‘극한 환경 대응 전자소자 융합클러스터’를 비롯한 3개 과제가 선정됐다. 9월부터 활동을 시작하는 융합클러스터는 향후 2년 동안 임무연계형은 1억5000만 원, 산업밀착형 8000만 ... ...
한 번 암이 된 세포, 정상세포로 되돌릴 수 있을까
2015.08.25
제 역할을 할 때는 두 접착 단백질이 항암작용을 하다가도, 마이크로RNA가 제대로
작동
하지 않으면 암을 유발하는 물질로 돌변한다. 연구팀은 마이크로RNA를 좌지우지하는 숨겨진 변수를 찾아 나섰다. 단백질을 찾아내는 최신 기술인 프로테오믹스 분석법을 이용해 PLEAKHA7이라는 단백질이 ... ...
효모 정밀화학공장, 말라리아치료제에서 마약성진통제까지 생산
2015.08.24
이 효소들이 식물의 소포체 막에서
작동
하기 때문이다. 실제 효모에서도 소포체에서
작동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원핵생물인 대장균은 소포체가 없다. 당시 생산성은 배양액 1리터에 아르테미신산 115mg으로 꽤 높은 편이었지만 아직 경쟁력은 없는 상태였다. 그러나 그 뒤 미국의 바이오벤처인 ... ...
수질 감시에는 ‘깡통 로봇’이 장땡
2015.08.21
최대 4개까지 붙일 수 있다”고 말했다. 센서 로봇은 한번 물에 들어가면 36시간 동안
작동
한다. 강 상류에서 센서 로봇 수십 대를 던져 넣으면 강물을 따라 하류로 내려오면서 강 전체의 수질을 한번에 파악할 수 있다. GPS가 달려 있어 조사가 끝난 뒤에는 로봇의 위치를 확인해 건져 올 수 있다. ... ...
생각만으로 로봇 움직이게 만든다
2015.08.19
서기가 가능하다. 또 실험 결과 신뢰도가 90% 이상일 정도로 정확하게 뇌파를 해석해서
작동
했다. 이 교수는 “뇌파를 전송해서 분석하고 명령을 내리는 모든 과정이 무선으로 이뤄진다”며 “눈으로 LED 전구를 쳐다본 뒤 외골격이 움직이기까지 2초밖에 걸리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 ...
체내에서 정상
작동
할 수 있는 반도체 개발
2015.08.18
0.5V의 낮은 전압으로도 구동이 가능해 주변 수분을 전기분해 하는 일이 없이도 안전하게
작동
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매우 낮은 전압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체내에서 발생하는 전기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로도 이용할 수도 있다”며 “인체 삽입형 전자소자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 ...
[신나는 공부]쇳물부터 자동차까지… ‘자동차 기술로드’를 달리다
동아일보
l
2015.08.18
했다. 경기 호원중 2학년 김홍기 군은 “분해를 마친 RC카는 재조립해 제대로 움직이는지
작동
시켜봤다”면서 “이 과정을 통해 자동차가 움직이는 원리가 이해됐다”고 말했다. [기술을 보다] 자동차 생산 공정을 눈앞에서 보다 11일 현대자동차 아산공장의 의장공장 안. 도장된 차체에 계기판, 시트 ... ...
출동! 일일 과학수사관, 돈을 훔쳐간 범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8.14
피막 필름을 건네 주셨어요. 이 필름을 발자국 위에 올리고 정전기가 나오는 기계를 올려
작동
시켰지요. 놀랍게도 검은색 필름에는 발자국으로 생긴 먼지만 선명하게 붙어 있었어요. 홍 교수님은 “필름에 약 1만 V의 정전기를 흘려 주면 바닥에 약하게 달라붙어 있던 먼지가 양전하를 띄게 되면서 ... ...
이전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