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작
행동
실행
몸짓
액션
작용
뉴스
"
작동
"(으)로 총 3,149건 검색되었습니다.
종양 발생 막는 새로운 메커니즘 찾아냈다
2015.08.12
연구는 그동안 밝혀내지 못했던 DNA 손상 이 일어났을 때 각각의 단백질이 유기적으로
작동
하는 과정을 규명하고, 단백질과 효소 복합체(p53-HAUSP)의 역할과 이를 연결하는 뉴클레오린의 존재를 새롭게 알아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과학저널 ‘네이처’의 온라인 자매지 ... ...
레이저 쪼여 50배 빠른 초박막 반도체 개발
2015.08.07
부위만 도체 상태로 바꾼 뒤 여기에 금속을 붙여 초박막 반도체를 만들었다. 이 반도체의
작동
속도는 다른 초박막 반도체보다 50배가량 빨랐다. 반도체와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저항이 30~40배 줄었기 때문이다. 양 연구위원은 “반도체 상용화를 위해서는 현재 1㎠ 수준인 MoTe2를 대면적으로 ... ...
봉한선과 림프선
2015.08.03
림프관으로 합쳐진 뒤 쇄골 아래에서 정맥으로 보내진다. 따라서 림프계가 제대로
작동
하지 못할 경우 세포 사이에 유체(액)가 넘쳐나면서 몸이 붓게 된다. 흥미로운 사실은 이런 림프계가 뇌에는 분포하고 있지 않다는 것. 따라서 림프계가 없는 뇌에서 왜 탈이 생기지 않는지는 오래된 ... ...
[인터뷰] “체험이 미래의 일론 머스크 기르는 원동력”
2015.07.31
추억에 잠기기도 했다. 김 이사장은 “1974년 개발된 포니의 초기 모델 중에서 실제로
작동
하는 차량을 찾아 전 세계 중고차 시장을 뒤진 끝에 네덜란드에서 공수해 왔다”고 밝혔다. 행사장에는 지난달 세계재난대응로봇대회(DARPA 로보틱스 챌린지·DRC)에서 우승한 한국 최초의 인간형 로봇 ‘휴보 ... ...
후성유전학이 답한다
과학동아
l
2015.07.29
.8m에 이른다. 만약 이런 DNA가 마구잡이로 세포 속을 떠다닌다면 세포는 DNA에 엉켜 제대로
작동
을 할 수 없다. 이것을 막기 위해 우리 몸은 마치 실패에 묶어 실을 보관하듯 히스톤이라는 단백질에 DNA를 칭칭 감아서 보관한다. 염기 150개당 히스톤 8개가 팽이 같은 구조를 이뤄 DNA를 압축해서 ... ...
스티븐 호킹 “인공지능 무기 개발 법으로 금지해야”
2015.07.29
미리 설정해 놓으면 기준에 맞춰 목표를 공격하는 무기로 인간의 개입 없이 알아서
작동
한다. 이들은 AI 자동화 무기 개발이 핵무기 개발과 같은 ‘군비 경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주요 군사 강국들이 AI 무기 개발에 뛰어든다면 세계적인 군비 경쟁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특히 AI ... ...
투명하고 쭉쭉 늘어나는 히터 나왔다
2015.07.26
서울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투명하고 잘 늘어나 웨어러블 기기에 사용할 수 있는 히터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고승환(사진)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팀은 60%가량 ... 말했다. 신축성 히터를 팔목에 부착하고 찍은 적외선 사진. 늘어나도 히터가 정상적으로
작동
한다. - 서울대. 제공 ... ...
뇌파 인정 않던 뇌과학자가 뇌파로 브라질 시축 성공시킨 이유
2015.07.26
여전히 ‘헐리우드급’ 재앙으로 다가오는 모양이다. 이어서 저자는 뇌파로, 생각으로
작동
하는 키보드와 마우스의 현 주소를 알려준다. 저자의 연구실에서 진행 중인 실험 내용을 함께 언급할 때면 그 생생함이 배가된다. ‘뇌를 바꾼 공학 공학을 바꾼 뇌’는 뇌공학이 줄 수 있는 핑크빛 ... ...
효소 하나 때문에 수명 18% 늘거나 39% 줄거나
2015.07.21
밝혀졌다. 이 효소는 신경과 장 조직에는 영향을 미쳤지만 근육과 피부 조직에서는
작동
하지 않았다. 남 단장은 “기존 노화 관련 연구에서 RNA 구조와 기능 변화와의 연관성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면서 “노화와 수명 조절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HEL-1 효소와 FOXO ... ...
우리 몸은 이족보행에 최적화된 구조인가?
2015.07.20
가 줄어들었다는 놀라운 사실이 밝혀졌다. 즉 트레이드밀을 보통 보행속도인 초속 1.25m로
작동
시킨 뒤 피험자를 걷게 하고 대사에너지 변화를 측정하면 외골격을 착용했을 때 에너지 소모가 적었다. 그렇다면 무동력발목외골격은 어떻게 보행의 에너지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 ● 짐 4kg 더는 ... ...
이전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