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작
행동
실행
몸짓
액션
작용
뉴스
"
작동
"(으)로 총 3,149건 검색되었습니다.
“저는 잘 살아 있답니다”…명왕성 만난 ‘뉴호라이즌’ 지상에 첫 교신
2015.07.15
뉴호라이즌의 상태를 확인한 결과 탐사선의 온도와 각종 시스템은 모두 정상
작동
중이었다. 명왕성에 1만2500㎞까지 다가가는 데 성공한 뉴호라이즌과 교신이 이루어진 뒤 오바마 대통령이 트위터에 축하 메시지를 남겼다. - 미국항공우주국(NASA) 홈페이지 캡처 NASA는 이날 첫 교신 ... ...
"휴보 아빠, 25일 사이언스바캉스 온다"
동아일보
l
2015.07.13
세계 최고 기술을 구현했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로봇의 구조와 동작을 안정시키고 오
작동
을 막는 일은 누구보다 공을 들였습니다. 사실 다른 팀도 연습 때는 잘했으니까 대회에 오지 않았겠어요? 하지만 60∼70%의 성공률을 갖고 대회에 오면 다 쓰러질 수밖에 없어요. 결국 그동안 쏟은 시간이 우승을 ... ...
와우! 스마트폰 속도 20배 빨라지는 기술 개발
2015.07.08
제공 약정 기간도 많이 남은 스마트폰의
작동
속도가 느려질 때면 답답하기 그지 없다. 스마트폰 속도가 느려지는 가장 큰 원인은 플래쉬메모리에 저장과 삭제가 반복되면서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한양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스마트폰에 자동으로 기록되는 데이터 양을 획기적으로 줄여 ... ...
국내 첫 기초의학 연구단 ‘혈관연구단’ 출범
2015.07.01
통해 최대 11년까지 연장할 수 있다. 고 단장은 혈관 생성을 촉진하는 단백질의 존재와
작동
메커니즘을 밝혀 주목을 받은 혈관생물학(Vascular Biology) 분야의 권위자로 꼽힌다. 혈관 분야 국제학술지 ‘블러드(Blood)’ 편집위원이며 최근에는 암 연구분야 국제저널인 ‘캔서 리서치(Cancer Research)’의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06.30
개발했기 때문에 안정성 면에선 최고 수준”이라고 자랑했다. 다른 팀에선 로봇 오
작동
으로 패널티를 감수하고 시합장 안으로 사람이 투입되는 일이 속출했다. 하지만 팀 카이스트는 대회 첫째 날 톱날이 부러졌던 사고를 제외하면, 대회 기간 내내 한번도 직접 개입하지 않고 임무를 완수시켰다. ... ...
세월호 인양 7가지 질문
과학동아
l
2015.06.30
인양업체인 코리아쌀베지(Korea Salvage)의 류찬열 대표는 “크레인은 힘이 수직방향으로만
작동
하지, 옆으로 당기는 건 가능하지 않다”면서 “억지로 잡아당기면 줄을 설치한 부위만 뜯겨나간다”고 말했다. 이규열 교수는 “배를 바로 세우는 과정에서 미수습자의 사체가 훼손되거나 유실될 수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06.29
전구를 켜는 수준인 50~100W인 데 비해 트루노스는 블루투스 송수신기 두 개를
작동
시키는 수준인 20mW다. 연구팀은 이 칩으로 사람과 자동차 등의 물체를 실시간으로 식별하는 데 성공했다. 괄목할만한 성과지만, 비슷한 전력량으로 두뇌가 처리하는 정보량에 비하면 턱없이 작다. 박전규 ... ...
실명 환자도 볼 수 있게 해주는 인공망막
2015.06.28
인공망막 ‘아르구스Ⅱ(ArgusⅡ)’가 3년에 걸친 임상시험 결과 장기적으로도 안전하게
작동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앨런 호 미국 필라델피아 윌스 안과병원 박사팀은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한 결과 대부분의 환자가 부작용을 느끼지 않았으며 삶의 질이 높아져 만족감을 보였다는 ... ...
인간 진화의 원동력은 ‘부정 본능’
2015.06.28
맥길대 행동신경과학 교수는 정보가 넘쳐흐르는 사회가 이런 모습을 만들었다며 뇌의
작동
방식을 이해해야 생각을 정리하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고 설명한다. 레비틴 교수는 뇌 신경과학 분야의 최신 연구결과들을 소개하며 머릿속부터 시간과 인간관계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 ...
두께 0.25nm, 진짜 세계에서 가장 얇은 반도체
2015.06.26
기본 구조인 트랜지스터를 만들어 성능을 시험한 결과 기존 트랜지스터와 동일하게
작동
했다. 안 교수는 “탄화규소 기판을 값싸게 대량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추가로 연구한다면 4년 안에 상용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화학 분야 권위지인 ‘미국화학회지’ 5월 14일자 ... ...
이전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