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작
행동
실행
몸짓
액션
작용
뉴스
"
작동
"(으)로 총 3,149건 검색되었습니다.
부작용 없으면서 효과 큰 항암 후보물질 개발
2015.12.07
진행을 막을 수 있지만, 지금까지 정상세포에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작동
하는 항암 물질을 찾기가 어려웠다. 연구팀은 항암 물질을 찾기 위해 단백질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방해할 수 있는 거대고리형 물질(고리형 펩토이드)을 개발하고, 거대고리형 물질을 구성하는 ... ...
힘 좋고 오래가는 수소연료전지 나온다
2015.12.07
구동하면 한계수명에 이르렀지만 이번 촉매를 적용한 전지는 성능저하 없이 정상적으로
작동
했다. 100시간 연속구동하는 실험에서도 성능 저하가 3.4%에 불과해 최대 30%까지 성능이 떨어지는 기존 전지에 비해 수명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성 교수는 “이 기술을 적용하면 성능저하 없이 ... ...
“코딩이 이렇게 쉽다면 드론도 만들 수 있을 것”
2015.12.04
1학년 고성민 군은 “바퀴 그림이 새겨진 아이콘을 올려놓으면 실제 모형자동차 바퀴가
작동
하는 걸 뜻하고, 조이스틱 모양의 아이콘을 이렇게 갖다놓으면 달리는 방향을 조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학생들은 대체로 ‘쉽다’, ‘재미있다’, ‘신기하다’ 같은 반응을 보였다. 특히 ... ...
5년의 기다림 끝에 日 금성탐사 재도전
동아일보
l
2015.12.01
영영 사라진다. 4년 반 정도로 설계된 위성이 이미 수명을 초과해 각종 기기가 정상
작동
할지도 불투명하다. 또 이번에 진입하는 궤도는 5년 전 첫 도전 때보다 최대 6배 이상 금성에서 먼 거리여서 제대로 된 관측이 될지도 확실치 않다. 그럼에도 일본의 우주를 향한 도전은 멈춤이 없다. JAXA는 무인 ... ...
나는 드론 위에 막는 안티드론 기술
과학동아
l
2015.11.30
쏘면 끝이다. 그러면 드론이 더 이상 원래 조종자의 명령을 따르지 못한다. 실제로
작동
하는 동영상을 보면 더 신기하다. 총구를 아래쪽으로 움직이면 드론이 천천히 내려오는데, 마치 눈에 보이지 않는줄로 드론을 묶어서 끌어내리는 듯 하다. 드론디펜더가 쏘는 전파는 ISM(Industry-Science-Medical) ... ...
[R&D 혁신 현장을 가다 ②] 기업 지원군 자처하는 국가 연구소
2015.11.27
박 책임연구원은 “자기베어링은 영하 270도 이하의 극저온이나 공기가 없는 우주에서도
작동
할 수 있어 인공위성의 자세제어 휠 등 쓰임새가 무궁무진하다”며 “시장성을 갖춘 특허를 꾸준히 출원해 중소기업의 든든한 지원군 역할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윤석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 ...
인공 태양 프로젝트 ITER, 한국 과학자가 이끈다
2015.11.27
KSTAR의 역할이 크다. KSTAR는 ITER를 25분의 1로 축소한 시제품으로 불릴 만큼 구조와
작동
방식이 비슷하다. 두 실험로 모두 초전도자석에서 나오는 강력한 자기장이 1억5000만 도까지 올라가는 플라스마를 가두는 ‘토카막’을 핵심 장치로 쓴다. 세계적으로 초전도 핵융합장치는 KSTAR와 중국의 ... ...
‘물질계 엄친아’ 다강체 상온
작동
원리 풀렸다
2015.11.24
있다 - UN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물질계의 엄친아’로 불리는 ‘다강체’가 상온에서
작동
하는 원리를 밝혀냈다. 이준희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팀은 다강체 ‘비스무트 산화철’이 독특한 물리적 특성 때문에 상온에서도 자성과 유전성을 동시에 띤다는 ... ...
우리 기술로 남아공서 방사선 오염 정확히 알아낸다
2015.11.18
값과 비교하는 과정이 필수다. 일반 오염감시기는 측정 오차범위가 상대적으로 크고 오
작동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입자방출률 측정표준기. - 표준연 제공 이번에 수출하는 입자방출률 측정표준기는 박태순 전문연구원팀이 개발한 제품이다. 이온화 방사선의 입자 개수와 에너지 크기를 ... ...
“내시 중에 대머리 없었다”...남성호르몬 역설을 아시나요?
2015.11.16
이 신호가 합쳐져 우리 몸은 피부가 손상을 입었다고 판단해 이를 복구하는 메커니즘을
작동
시킨다는 것. 즉 M1대식세포라는 면역세포가 발모가 일어난 피부로 몰려오면서 모낭의 줄기세포를 자극하는 물질을 내놓고 그 결과 줄기세포가 왕성하게 분열하면서 새로운 털이 자라기 시작한다. 이때 ... ...
이전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