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뮤온 입자, 지하 길을 밝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206배 더 무거워. 또, 두꺼운 콘크리트를 통과할 정도로 투과력이 세지. 6월 15일, 일본 도쿄대학교 지진연구소 다나카 히로유키 교수팀은 뮤온으로 지하에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었다고 발표했어. 입자로 위치를 파악한다고? 연구팀은 6층 건물의 옥상에 4개의 뮤온 검출기를 ... ...
- [현장취재①] 홍콩의 과학, 핫플은 어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동양과 서양의 매력이 모두 공존하는 곳, 홍콩! 홍콩에는 젊은 과학자들을 발굴하기 위한 홍콩수상자포럼이 있습니다. 오는 11월 포럼이 열리는데, 그에 앞 ... 빠르게!Part3. [DAY3 미생물 혁신센터] 장 속 미생물로 자폐를 진단한다?Part4. [DAY4 홍콩 중문대학교] 미래 먹거리는 콩이 책임진다 ... ...
- [DAY2 홍콩 과학기술대학교] 바람을 가르고 바람보다 빠르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큰 소음을 일으켜요. 이 같은 현상을 ‘공동현상’이라고 합니다. 홍콩 과학기술대학교 기계항공우주공학과 저우 펭 교수팀은 공기 역학과 음향 역학을 바탕으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프로펠러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프로펠러의 회전 속도와 날의 각도를 미세하게 조정해 가며 기체의 저항을 ... ...
- [DAY4 홍콩 중문대학교] 미래 먹거리는 콩이 책임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틀린 그림을 보고 저는 케임브리지대학교에 가야겠다고 마음먹었습니다. 케임브리지대학교에 직접 가서 그곳이 어떤 곳인지 알고 싶었거든요. 결국 꿈을 이뤘죠. Q. 과학자를 꿈꾸는 친구들에게 해 주고 싶은 말이 있나요? 얼핏 보면 제 연구는 생물학 연구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 ...
- 바둑이 넌 어디서 왔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언제부터 한반도에서 우리와 함께 살았을까요? 우리나라 토종개의 뿌리를 밝히다 건국대학교 박찬규 교수팀은 2019년부터 약 4년 반 동안 늑대, 아시아와 유럽의 개 등 200마리가 넘는 갯과 동물들의 유전자 정보를 비교해 분석했어요. 유전 정보를 담은 물질인 DNA는 부모에서 자식으로 세대가 바뀔 ... ...
- [가상 인터뷰] 억센 털이 자라는 점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긴 털이 나는 경우가 있단다.점에서 털이 자란다고? 6월 21일, 미국 캘리포니아어바인대학교 마크심 플리커스 교수팀은 멜라닌 세포 모반에서 길고 억센 털이 자라도록 돕는 분자를 발견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 연구팀은 모반 내부의 노화한 멜라닌 세포에 주목했어. 털이 많이 자라는 모반을 ... ...
- 바둑이 넌 누구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그런데 어쩌다가 복원 연구를 해야 할 정도로 사라진 걸까요? 이번 연구를 함께한 경북대학교 유전공학과 하지홍 명예교수는 “일제 강점기였던 1940년대 초, 일본군은 전쟁 물자로 쓸 모피를 얻기 위해 우리나라에 사는 토종개 150만 마리를 잡아갔다”고 설명했어요. 이때 멸종된 줄 알았던 ... ...
- [버섯 요정의 기묘한 모험] 포자를 대포알처럼 발사? 공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농학과를 졸업한 후 국립수목원에서 근무했으며, 현재 충북대학교 대학원에서 공부 중이다. 용어 설명●효소: 체내에서 생명활동과 관련된 화학 반응에 기여하는 화합물 ... ...
- [DAY3 미생물 혁신센터] 장 속 미생물로 자폐를 진단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단순히 소화뿐 아니라 노화, 질병, 정신 질환 등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홍콩 중문대학교의 미생물 혁신센터 연구팀은 지난 2021년 자폐 스펙트럼이 있는 3~6살 어린이 128명의 장내 미생물을 조사했어요. 조사 결과 자폐 스펙트럼이 있는 어린이들은 다른 어린이보다 신경전달물질 활동과 관련된 ... ...
- [현장취재②] K-시민과학 지구사랑탐사대, 국제 학술 대회 데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미국 애리조나주립대학교에서 개최됐어요. 지구사랑탐사대(지사탐) 탐사대장인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와 김예은 매니저는 2013년부터 10년간 꾸준히 어린이들과 함께해 온 시민과학 활동을 소개하기 위해 포스터를 붙이고, 토론 발표자로참여했습니다. 학술 대회에서는 전 세계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