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 수학 국가대표, KAIST 퍼즐 동아리가 말하는 필승 전략! 데블스 플랜 게임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연예인, 바둑기사, 변호사 등 다양한 직업군에서 12명이 모여 상금을 걸고 게임을 펼치는 서바이벌 예능 ‘데블스 플랜’은 최근 시즌2 제작을 확정하며 다시 주목받고 있다. 수학과 퍼즐을 좋아하는 시청자들이 유독 데블스 플랜에서 집중하는 것이 있으니, 바로 스릴 넘치는 각종 게임이다. ... ...
- [기획] KAIST 학생들이 일상에서 포착한 실패의 순간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지금은 다 해결했지만, 모니터에다 심한 욕을 열 번은 넘게 한 것 같다. 일하다 욕하는 건 대학원생의 공통 분모인 걸까? ‘아무리 바빠도 밥은 꼭 챙겨 드세요’강의실로 가는 길에 택배 박스에 적힌 문장을 보고 멈칫했다. 지난 몇 주간 라면과 편의점 음식만 먹었다는 사실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 ...
- [4컷 만화] 나비는 어디에서 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그 종류가 많고 다양합니다. 나비는 어디에서 처음으로 나타났을까요? 미국 플로리다대학교를 포함한 공동연구진이 지난 5월 15일 최초의 나비를 밝혀냈다고 발표했습니다. 연구진은 90개국 2244종의 나비에서 생명의 정보를 담고 있는 유전물질인 DNA를 수집해 나비의 진화 과정을 분석한 결과 최초의 ... ...
- [현장취재] 우동수비대 발대식 4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것 같나요?”“화난 것 같아요. 아니면 하품하는 걸까요?” 우동수비대 대장 마승애 청주대학교 교수님이 발대식 강연을 시작하며 입을 쩍 벌린 원숭이 사진을 보여주곤 질문했어요. 그러자 온오프라인을 통해 강연에 참여한 대원들이 자신의 추측을 쏟아냈지요. 마승애 교수님은 “원숭이가 ... ...
- 질문하면 답해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세상엔 신기한 일들이 진짜 많고 궁금한 일들도 많아요. 그런데 왠지 친구들도 선생님도 모르고, 유튜브를 뒤져봐도 답이 안 나올 것 같은 질문이 있다고요? 주저 말고 어과동에 물어봐요! 어과동 기자들이 답을 찾아서 알려줄게요! 사람은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쉴 새 없이 눈을 깜빡여요. 성인은 ... ...
- 끈이론 혁명을 주도한 물리학자의 물리학자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위튼 교수의 h지수는 206이나 됩니다. h지수를 만든 호르헤 허쉬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 교수는 이 지수가 40이 넘으면 뛰어난 과학자라고 추정했는데, 이로 미루어 볼 때 위튼 교수는 실로 대단한 물리학자임을 알 수 있지요. 용어 설명*양자장론 : 전기장, 자기장처럼 공간에 펴져 ... ...
- 공정하다는 착각! 동전 던지기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앞면이냐 뒷면이냐! 온전히 운에 맡긴 결정을 하고 싶을 때 우린 ‘동전 던지기’를 한다. 어떠한 편견도 실력도 꼼수도 통하지 않는 공정한 의사 결정 방식이란 믿음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 10월 전 세계 48명이 무려 35만 757번이나 동전을 던져 이 믿음을 깨버리는 연구 결과를 논문 공개 사이트 ... ...
- 48명이 35만 번 동전 던져 D-H-M 모형 실험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무작위한지, 나아가 무작위하다는 것은 무엇인지 다시금 생각해볼 수 있다. 서인석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는 “학생들이 자주 사용하는 스마트폰 룰렛 돌리기, 노래 셔플 재생 등은 컴퓨터가 무작위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뒤엔 원리가 있어서 완벽히 무작위하다고 보기 ... ...
- 박멸이 답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줄이려는 과학자들은 모기가 사람에게 미치는 피해를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고신대학교 보건환경학부 이동규 교수는 “설사 모기가 아예 박멸된다고 해도, 모기는 생태계 먹이사슬에서 아래쪽에 있기 때문에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어요. 모기가 ... ...
- [만화뉴스] 다리가 늘어날수록 빨라진다? ‘지네 로봇’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월 4일, 미국 조지아공과대학교 외 공동 연구팀은 거친 표면 위에서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지네 로봇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로봇의 다리 수를 6개에서 16개까지 늘리며 테스트했어요. 그 결과, 다리의 수가 늘어날수록 센서 없이 거친 지형을 더 민첩하게 이동할 수 있는 걸 ... ...
이전2728293031323334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