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국경부터 차단! 인천공항본부세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인공지능(AI)이 X선 영상 분석 역량 높인다! 지난해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대학교 외 공동연구팀은 X선 장치를 개조하고 인공지능을 학습시켜, 보안 검사의 속도와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X선은 우리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짧고, 에너지가 큰 ... ...
- [통합과학 교과서] 라푼젤의 머리카락이 빠지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연구 결과가 발표됐어요. 지난 6월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와 영국 러프버러대학교 공동연구팀은 마네킹과 가발을 이용해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마네킹이 사람의 체온과 비슷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 뒤, 사람 머리카락으로 만든 가발을 씌웠어요. 그리고 태양 빛과 비슷한 빛을 쪼여 온도 ... ...
- 물에 잠긴 목포 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못했어요. 결국 넘친 바닷물과 하굿둑에 쌓인 빗물이 만나 피해가 커졌습니다.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조양기 교수는 “1981년 완공된 영산강하굿둑 때문에 조차가 증가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하굿둑이 없었을 때는 만조에 해수면이 높아져도 영산강이 이를 감당할 수 ... ...
- [특집] 아인슈타인이 또 옳았다! 상대성 이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상상은 지식보다 위대하다.” 난 누구보다 상상을 사랑한 과학자 알버트 아인슈타인이라네. 1905년 내가 발표한 상대성 이론의 증거가 현대에 들어 속속 나오고 있다는 소식에 시공간을 뚫고 어과동을 찾아왔지. 상대성 이론에 의하면 시간 여행도 가능하거든. 혹시 그 내용이 궁금한가? 그렇다 ... ...
- [특집] 웜홀, 상대성 이론이 남긴 숙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웜홀을 직접 만드는 연구 또한 진행되고 있습니다. 지난 12월,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 물리학과 마리아 스피로풀루 교수팀은 양자컴퓨터를 이용해 웜홀을 처음으로 구현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양자컴퓨터로 만든 홀로그램에서 정보가 웜홀을 타고 순간이동하듯 움직이는 현상을 관찰하며 ... ...
- [가상 인터뷰] 종이접기하듯 접었다 펴는 DNA 나노구조체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DNA 유전 정보에 따라 만들어진단다. Q. DNA로 종이접기를 한다고?A. 지난 7월 5일,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김도년 교수팀은 하나의 DNA 구조체를 다양한 모양으로 접거나 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 연구팀은 하나의 종이를 다양한 모양으로 접을 수 있는 종이접기 원리를 적용했어. 긴 DNA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햇빛을 이용해 움직인다! 태양광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20~25년이 지나면 수명을 다해 쓸 수 없어 버려지곤 합니다. 7월 20일,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학교 얀송셴 교수팀은 다 쓴 태양전지에서 은을 뽑아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스테인리스 스틸 볼을 사용해 태양전지를 작은 입자로 분쇄한 후 체를 이용해 입자의 금속을 ... ...
- [특집] 초기 우주, 시간이 느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발표됐어요. 호주 시드니대학교 물리학과 게라인트 루이스 교수와 뉴질랜드 오클랜드대학교 통계학과 브랜던 브루어 교수팀은 우주에 퍼져 있는 초거대질량 천체인 ‘퀘이사’를 분석했더니, 10억 살인 우주의 시간이 138억 살인 현재 우주의 시간 흐름에 비해 5배가량 느렸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 ...
- [사막생물탐구생활] 사막의 키다리, 사와로 선인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장이권 교수의 사막 생물 탐구생활 2탄의 주제는 ‘사와로 선인장’입니다. 사와로는 미국 애리조나 주의 상징과도 같은 선인장이에요. 키가 크고 팔이 나와 있어 멀리서 보면 마치 허수아비처럼 보이죠. 지난 5월, 애리조나 주에 있는 소노란사막에서 사와로 선인장과 선인장에 의지해 살아가는 ... ...
- [질문하면 답해ZOOM] 눈뜨고 재채기를 할 수 있을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있는 신경에 근육을 수축시켜 눈을 감도록 명령을 내려요. 미국 텍사스A&M대학교 의과대학 알레르기 전문의 데이비드 허스턴 교수는 2016년 “재채기를 할 때 입에서 나오는 세균이 눈에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재채기 중추에서 이러한 명령을 내리는 것으로 추정한다”고 밝혔습니다. 재채기할 때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