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9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 지식in] 치매 왜 생기는 걸까? ... 흔들리는 알츠하이머 원인의 정설
동아사이언스
l
2017.02.20
뭉쳐진 덩어리입니다. 길쭉길쭉한 가닥처럼 보이죠. 보통 가닥 하나의 너비가 5~15㎚(
나노
미터), 길이는 수 마이크로미터 정도입니다. 본래는 우리 몸 안에서 정상적인 역할을 하던 단백질이 세포 주변에서 덩어리를 이루며 아밀로이드를 이룬 것이지요. 주를 이루는 단백질 종류와 뭉친 모양은 ... ...
故 신중훈 KAIST 교수에게 바치는 마지막 논문
동아사이언스
l
2017.02.16
헌정한다”고 밝혔다. - KAIST 제공 국내 반도체
나노
광학 연구를 선도했던 고 신중훈 KAIST
나노
과학기술대학원 교수가 마지막으로 참여한 연구 논문이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7일자 온라인판에 발표됐다. 논문은 색소 없이도 모든 색을 발현할 수 있는 ‘무지개 미세입자’를 개발했다는 ... ...
빛으로 글씨 쓸 수 있는 디스플레이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2.10
‘양자점(퀀텀닷)’을 이용한 신개념 디스플레이 를 개발했다. 퀀텀닷은 빛을 내는 수 nm(
나노
미터·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반도체 결정으로, 미래형 TV나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실감디스플레이연구그룹 남수지 선임연구원팀은 미국 일리노이대 ... ...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감’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17.02.09
전국의 기업들이 센서를 연구할 수 있는 반도체 클린시설과 MEMS 장비를 갖추고 있다.
나노
종합기술원은 이렇게 개발한 센서를 시제품으로 양산할 수 있는 시양산 시설 설립을 최근 정부에 제안했다. 김 부장은 “국내에서 MEMS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것이 1990년대 초”라며 “드디어 때가 ... ...
자동차 매연 속 유해물질, 상온에서도 처리 가능한 값싼 촉매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2.07
다공성 알루미나의 미세 기공 내벽에 직경 약 1
나노
미터(㎚·1㎚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나노
입자로 골고루 균일하게 입혀졌다. 기공 안쪽까지 촉매를 채우면 촉매가 작용하는 단위 질량당 표면적이 넓어져 반응이 더 잘 일어난다. 연구진이 촉매 제조에 사용한 ‘온도조절 화학기상 증착법’은 ... ...
휘어지는 기판에도 철썩...잘 달라붙는 투명전극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2.07
sq(옴스퀘어)로 전류가 통하는 정도가 기존보다 6배 이상 높다. 플래시광을 쬐인 후 은
나노
와이어가 그물망처럼 연결된 모습. - KAIST 제공 또 플래시광의 적외선은 기판과 와이어 사이의 접촉력을 높이는 데 활용했다. 기판과 전극 사이의 열적 상호작용으로 인해 접착력이 3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 ...
암세포만 밝고 선명하게 보여 주는 ‘
나노
램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2.07
밝게 보이게 된다. 생체 인자 인식 물질이 램프의 스위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처럼
나노
MRI 램프는 빛이 아닌 자기장의 변화 원리를 활용하기 때문에 생체 깊숙한 곳에 있는 조직까지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빛이 닿지 않는 조직에는 적용하기 힘들었던 ‘형광 공명 에너지 전달(FRET)’ 방법이 ... ...
[사이언스 지식in] 굴 하나 잘못먹어도 노로바이러스에 걸리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2.02
Q. 노로 바이러스는 어떤 특징을 갖고 있나요? A. 급성 위장염을 일으키는 지름 23~40nm(
나노
미터) 정도의 바이러스입니다. 전세계에서 일어나는 급성위장염의 약 18%가 노로바이러스 때문에 생기는 것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포유류 동물의 소장 세포 속으로 들어가 그 안에서 자손을 불립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가 치매도 일으킨다?
2017.02.01
자철석
나노
입자를 발견했다. 연구자들은 숨을 쉴 때 후각신경구로 들어간 자철석
나노
입자가 주변 전두피질로 유출된 것으로 추정했다. 흥미롭게도 후각은 치매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후각감퇴증은 치매의 주된 전조증상으로 알려져 있고 기억력 감퇴에도 연관돼 있다. 극미세입자가 후각계를 ... ...
얼음 구름 탄생하는 순간을 사진으로 찍었다!
과학동아
l
2017.01.30
만들었다. 공동 연구자인 미국 뉴욕주립대 해양대기과학과 다니엘 노프 교수는 “
나노
크기의 해상도를 가진 전자현미경으로 수백만 번 촬영한 사진을 이어붙이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구름이 생긴다”며 “기후변화에 구름이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