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9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304] 노트북도 이제 배터리로 승부?
2017.01.10
MoS2 층을 만든다. 그 뒤 PAN섬유를 녹여내면 안은 탄소
나노
튜브, 밖은 MoS2튜브로 이뤄진
나노
구조물이 완성된다. 이렇게 만든 구조물을 음극으로 쓴 리튬이온배터리는 기존 MoS2 음극에 비해 리튬이온이 달라붙고(충전) 떨어지는(방전) 속도가 훨씬 빨랐고 충전과 방전을 1000회 반복해도 구조가 ... ...
피부처럼 유연한 박막트랜지스터(TFT)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1.06
삼성종합기술원 전문연구원도 참여했다. 연구진은 반도체성 유기소재(DPPT-TT)로 만든 nm(
나노
미터·1nm는 10억분의 1m) 수준의 가느다란 회로를 탄성이 있는 고분자 필름 내부에 집어넣는 방식으로 소프트 TFT를 만들었다. 이전에도 신축성 TFT가 개발된 적은 있었지만 형태가 바뀌어도 높은 ... ...
KAIST 연구팀, 버벅대지 않고 전력 효율 높은 반도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1.04
사용할 수 있어 추가적인 공정 비용도 발생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 연구 성과는
나노
분야 권위지인 ‘에이씨에스
나노
(ACS Nano)’ 지난해 12월 27일자에 실렸다. ... ...
한국 기초과학 이끌 독일인 과학자 2人
동아사이언스
l
2017.01.04
석학이다. 독일 막스플랑크 기상학연구소를 거쳐 미국 하와이대 교수로 역임했다. 양자
나노
과학 연구단의 최종 목적은 양자컴퓨터의 구현이다. 하인리히 단장은 미국 IBM 알마덴 연구소에서 20년 간 연구했으며 주사터널링현미경(STM·Scanning Tunneling Microscope) 분야 최고 권위자로 꼽힌다 ... ...
1952년 런던의 ‘살인 안개’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17.01.02
중국 스모그의 차이도 알아냈다. 중국의 스모그 입자는 런던의 살인 안개보다 훨씬 작은
나노
미터 크기이고, 런던의 안개가 강한 산성을 띠는 것과 달리 중성에 가까웠다.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2016년 11월 9일자에 실렸다 ... ...
‘만병통치약’을 퇴치하고픈 여성 과학자를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6.12.30
생겼는지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11월에는 사람의 기관지 상피세포와 간세포에 탄소
나노
튜브 처리를 한 뒤 DNA 형태에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분석해 ‘바이오머티리얼스’에 게재했다. 장기적으로는 독성의 영향을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해 위해성을 평가하는 데 활용할 예정이다. 최 교수는 ... ...
그래핀으로 진공압력 측정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6.12.29
서로 끌어당기는 인력이 발생한다는 이론이다. 연구진은 그래핀 조각 사이에
나노
크기의 균일한 기공을 만들었다. 기공에 들어온 기체 분자의 양이 많아지면 분자 사이의 간격 역시 좁아져 인력이 커진다. 이때 기공 크기가 변화하며 그래핀 조각 간의 간격 역시 좁아지고 그 결과 전기전도도 ... ...
현미경으로 관찰가능한 거대(?) 인공세포막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6.12.28
기능을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해 과학계는 인공세포막 제작을 연구하고 있지만, 수
나노
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 두께의 얇은 막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만들기 어려웠다. 연구진이 개발한 안정적인 대면적 인공세포막 제작 과정. 계면활성제를 이용해 물방울과 표면의 물이 완전히 합쳐지지 ... ...
KIST 최우수, 천문연 우수… 5개 연구기관 종합평가 결과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16.12.27
ADD)’도 함께 평가 대상이 되었다. KIST는 뇌질환 진단치료기술 개발, 탄소
나노
튜브 기반 열전소자 개발 등의 성과를 인정받아 매우우수 등급을 받았다. 천문연과 ADD는 우수 등급을 받았다. 천문연은 24시간 연속 천체관측 네트워크 건설 등을 인정받았으며 ADD는 민군 기술협력 등을 우수 성과로 ... ...
몸 속 태양광발전소 작동 원리, 알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25
파장이 짧아 표본을 그냥 통과하기 때문에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연구진은 수
나노
초(ns·10억 분의 1초)에서 밀리 초(ms·1000분의 1초) 사이에 촬영한 13장의 사진으로 박테리오로돕신의 작동 기작을 규명했다. 빛을 받은 직후 박테리오로돕신은 내부에 아미노산을 형성하고, 이 공간을 수분으로 ... ...
이전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