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05건 검색되었습니다.
저장 용량 50% 더 늘린 대용량 배터리 나온다
2016.10.24
전극을 개발했다. 금속 이온들이 3차원 공간에서 결정을 이룬 유기구조체로 내부에
나노
미터(nm=10억분의 1m) 크기의 수많은 기공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연구진이 소재로 사용한 프러시안 블루 아날로그의 결정구조. - KIST 제공 이 소재는 기공 덕분에 결정 구조를 단단하게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 ...
미래형 ‘양자컴퓨터’ 개발 성큼… 고성능 양자광원 개발
2016.10.18
dot)’ 기술을 새롭게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양자점은 광자(빛의 입자)를 내뿜는
나노
미터(nm·10억 분의 1m) 크기의 초소형 반도체다. 광자를 이용해 정보를 저장하고, 연산을 처리하는 양자컴퓨터에는 양자점이 필수다. 일반적인 양자점은 광자가 불규칙하게 퍼져나가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 ...
적외선 → 가시광선 바꾸는 ‘
나노
필름’ 나왔다
2016.10.17
구조체인 ‘플라즈모닉 금속
나노
구조체’에
나노
형광체를 접목해 이 장치를 개발했다.
나노
형광체는 플라즈모닉이 빛을 더 잘 모을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이 과 기존 장치와 비교해 가시광선 밝기를 대 1300배 증폭시킬 수 있었다. 고 연구원은 "이번 연구성과를 응용해 눈에 보이지 않는 ... ...
스마트폰 방랑자의 삼성 갤럭시 노트7 구입&교환‧환불기 下
동아사이언스
l
2016.10.14
요금에서 차감되는 방식으로 환불됩니다. +) G4는 마이크로 유심, 갤럭시노트7은
나노
유심을 사용합니다. 지금의 전 새로운 제3의 기기를 일시불로 구입해 임시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뭐 언젠가 맘에 드는 것이 나오지 않을까요? 사실 현장에서도 혼란이 있는 모양입니다. 사실 경우의 수가 너무 ... ...
신소재 그래핀 성능 떨어뜨리는 원인은 ‘주름살’
2016.10.11
문주희 연구원이 구리 기판 위에 합성한 그래핀을 들어 보이고 있다.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제공 신소재 ‘그래핀’은 구리보다 100배 이상 전 ... 끌어올릴 수 있는 새로운 길을 연 셈”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학술지 ‘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3일자 온라인 판에 실렸다. ... ...
난치병 치료 희망 ‘줄기세포’ 대량으로 키운다
2016.10.11
3인치 수직형 실리콘
나노
기둥 구조(좌)는 유도만능줄기세포(iPSC) 군체(우) 형성을 촉진한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 제공 난치병 치료 등에 이용할 수 있는 ...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나노
기술 분야 학술지 ‘
나노
스케일’ 9월 16일자에 게재됐다 ... ...
새집증후군 원인물질 ‘툴루엔’ 초정밀 센서로 잡는다
2016.10.11
톨루엔의 유무만 판별할 수 있을 뿐, 극미량은 검출이 어려웠다. 연구팀은 수많은
나노
미터(nm, 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기공을 가진 ‘금속유기구조체’를 만든 다음, 이 안에 톨루엔과 반응하는 3nm 크기의 촉매 입자를 고루 섞어 넣는 방식으로 새로운 톨루엔 감지 센서를 개발했다. 이렇게 만든 ... ...
정상급 CEO의 조언 “엔지니어는 항상 새로운 것을 만드는 사람”
2016.10.09
어떨 것 같냐”는 의견을 물었다. 이에 홍 부사장은 “10년 전까지만 해도 20
나노
미터(㎚·1㎚는 10억 분의 1m) 이하의 고집적 회로는 만들기 어려울 것이라 예상했지만 지금은 이미 실현된 일”이라며 “공학은 불가능할 것 같은 인류의 꿈을 실현하게 해 주는 만큼 앞으로도 더 많은 발전이 있을 ... ...
2시간 걸렸던 급성 심근경색 진단, 실시간으로 가능
2016.10.07
질환인 만큼 의료현장에 큰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조현모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나노
측정센터 책임연구원 팀은 기존 장비보다 10배 이상 감도가 높은 심근경색 질병 진단 기술인 ‘실리콘 기반 진단센서’를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최근 진단 시간을 15분 정도로 줄인 제품들도 개발되고 ... ...
[2016 노벨과학상 총정리] 핫한 신인보다 ‘명품 중견’ 택했다
2016.10.07
없애거나 재활용한다는 사실을 발견한 과학자에게 돌아갔다. 4일 발표된 물리학상은 0.1nm(
나노
미터·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인 원자를 평면에 배열하면 극저온으로 만들었을 때 평소와 전혀 다른 현상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발견한 과학자들이 차지했다. 5일 발표된 화학상도 마찬가지였다. 10nm 크기인 ... ...
이전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