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나노"(으)로 총 3,691건 검색되었습니다.
- 활짝 핀, 세상에서 가장 작은 장미과학동아 l2017.05.12
-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연구팀은 앞으로 DNA뿐만 아니라 다양한 핵산을 이용해 나노 꽃 입자를 만들어 유전자 치료나 바이오센서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머티리얼스 케미스트리 B’ 12호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doi:10.1039/c6tb0304 ... ...
- 깎을까 쌓을까 나노세계 건설하는 두 가지 방법과학동아 l2017.05.11
- | 나노기술연구협의회 | 한국과학창의재단, 국가나노인프라협의체 ※ 자세한 내용은 나노기술연구협의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kontrs.or.kr/introduce/events_list.asp) ※ 참가 제한● 동일(유사) 아이디어로 타 공모전에 수상 경험이 있는 자 ● 신청서 등의 서류에 허위 정보를 기재한 자 ● ... ...
- [표지로 읽는 과학]마그네슘 합금의 초고강도 비결은?동아사이언스 l2017.05.07
- 원자들이 규칙적으로 결정을 이룬 구조를 말한다. 연구진은 비결정질(노란색)이 나노결정질(파란색)을 그물처럼 감싸도록 만들어 기존 마그네슘 합금보다 강도를 10배 높였다. 새 마그네슘 합금의 강도는 10원짜리 동전 면적으로 33t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3.3기가파스칼(GPa) 수준이다. 연구진은 ... ...
- 미래소재 ‘탄소나노물질’ 빛깔 자유자재로 바꾸는 방법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7.05.02
- 응용 분야를 크게 넓힐 것으로 보고 있다. 김병수 교수는 “용매에 따라서 탄소나노물질의 형상이 변하는 것을 명확히 보여준 최초의 연구”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재료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Advanced Materials)’ 4월 18일자에 게재됐다. ... ...
- 투명 콘택트렌즈로 혈당, 안압 측정한다동아사이언스 l2017.04.27
- 해결하기 위해 연구진은 투명도가 높고 신축성이 좋은 2차원 탄소 소재 그래핀과 금속 나노와이어로 전극을 만들어 센서를 완성했다. 이 센서를 삽입한 투명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토끼 눈에 끼워 혈당과 안압 정보를 실시간으로 얻는 데 성공했다. 투명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면 센서가 ... ...
- 오염수 속 방사성폐기물 먹어 치우는 미생물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7.04.24
- 잘 결합하는 금 나노입자를 넣어둔 형태다. 용액 안에 넣은 미생물이 용액을 마시면, 금 나노입자가 방사성요오드와 반응해 결합한 형태로 미생물의 몸 속에 가둬두는 방식이다. 그 후 미생물만 걸러내는 후처리 공정을 거치면 쉽게 방사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정화를 위해 개발된 기존 ... ...
- 암세포만 골라 없애고 분해돼 사라지는 물질동아사이언스 l2017.04.24
- 암세포에만 결합하도록 나노시트에 엽산을 입힌 것이다. 암세포와 나노시트가 결합하면 나노시트는 완전히 분해되고, 광감작제만 암세포에 남는다. 여기에 빛을 쬐이면 암세포에만 활성산소가 생성돼 선택적인 암세포 사멸이 가능하다. 정상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셈이다. 또 복합체가 ... ...
- SK하이닉스, 세계 최고 속도 차세대 그래픽 D램 개발포커스뉴스 l2017.04.23
- 세계 최고 속도의 GDDR6(Graphics DDR6) 그래픽 D램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제품은 20나노급 8Gb(기가비트) GDDR6로, 업계 최고인 핀당 16Gbps의 데이터 처리속도를 구현했다. 최고급 그래픽 카드에서 많이 채용하는 384개의 정보입출구를 활용해 초당 최대 768GB(기가바이트)의 그래픽 데이터 처리가 ... ...
- [과학책을 만나다(1)] “아이가 질문을 잘 하나요?”동아사이언스 l2017.04.22
- 없었나요? ▲업무를 하다보니 과학의 여러 분야를 볼 수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탄소나노튜브가 잘 합성됐는지를 보려면 라만분광법 장비가 있어야 하는데요. 여러 과학 분야의 연구실에 적합하도록 이 장비를 컨설팅하고 제작해주면서 다양한 분야를 공부하게 됐습니다. 국내 대부분 연구소나 ... ...
- 삼성전자, 10나노 2세대 핀펫 공정개발 완료포커스뉴스 l2017.04.20
- (서울=포커스뉴스) 삼성전자는 성능과 저전력 특성을 강화한 10나노 2세대 핀펫 공정(10LPP)개발을 완료했다고 20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앞으로 10나노 파운드리 고객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이번 10나노 2세대 공정(10LPP, Low Power Plus)은 기존 1세대 공정(10LPE, Lower Power Early)보다 성능과 전력효율이 각각 10%, ... ...
이전2712722732742752762772782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