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05건 검색되었습니다.
암세포만 밝고 선명하게 보여 주는 ‘
나노
램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2.07
밝게 보이게 된다. 생체 인자 인식 물질이 램프의 스위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처럼
나노
MRI 램프는 빛이 아닌 자기장의 변화 원리를 활용하기 때문에 생체 깊숙한 곳에 있는 조직까지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빛이 닿지 않는 조직에는 적용하기 힘들었던 ‘형광 공명 에너지 전달(FRET)’ 방법이 ... ...
[사이언스 지식in] 굴 하나 잘못먹어도 노로바이러스에 걸리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2.02
Q. 노로 바이러스는 어떤 특징을 갖고 있나요? A. 급성 위장염을 일으키는 지름 23~40nm(
나노
미터) 정도의 바이러스입니다. 전세계에서 일어나는 급성위장염의 약 18%가 노로바이러스 때문에 생기는 것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포유류 동물의 소장 세포 속으로 들어가 그 안에서 자손을 불립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가 치매도 일으킨다?
2017.02.01
자철석
나노
입자를 발견했다. 연구자들은 숨을 쉴 때 후각신경구로 들어간 자철석
나노
입자가 주변 전두피질로 유출된 것으로 추정했다. 흥미롭게도 후각은 치매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후각감퇴증은 치매의 주된 전조증상으로 알려져 있고 기억력 감퇴에도 연관돼 있다. 극미세입자가 후각계를 ... ...
얼음 구름 탄생하는 순간을 사진으로 찍었다!
과학동아
l
2017.01.30
만들었다. 공동 연구자인 미국 뉴욕주립대 해양대기과학과 다니엘 노프 교수는 “
나노
크기의 해상도를 가진 전자현미경으로 수백만 번 촬영한 사진을 이어붙이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구름이 생긴다”며 “기후변화에 구름이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그래핀으로
나노
레이저의 성질 자유자재로 바꾼다
과학동아
l
2017.01.29
두 가지 색이었던 빛이 한 가지 색으로 바뀌는 현상을 최초로 관측했다. 박 교수는 “
나노
레이저 빛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최초로 발견했다”며 “미래 광학컴퓨터 개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016년 12월 21일자에 게재됐다 ... ...
보안이 걱정된다면 ‘녹아 없어지는 메모리’
과학동아
l
2017.01.27
연구원은 “일반
나노
입자는 파장이 980nm인 빛만 흡수할 수 있는 반면, 이번에 개발한
나노
입자는 가시광선 영역대를 흡수할 수 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개인 데이터나 보안 시설의 중요 정보 등을 안전하게 관리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 ...
‘두께 없는’ 2차원 자석 만들 방법 찾았다!
과학동아
l
2017.01.25
GIB 제공 국내 연구팀이 2차원 물질의 자성 상전이를 세계 최초로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향후 휘어지는 전자기기 제작에 필요한 휘어지는 자석을 만드는 데 ... 필요한 자석 소자를 만드는 데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나노
레터스’ 2016년 12월호에 게재됐다 ... ...
흔한 금속으로 리튬이차전지 전극 싸게 만드는 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24
이들 금속은 그동안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으로는 쓰지 못 했던 소재다. 연구진은
나노
복합소재로 만든 양극의 에너지 저장 원리도 밝혔다. 리튬 화합물 부분에서 나온 음이온이 전이금속 화합물 부분의 표면에서 흡·탈착 반응을 하며 에너지를 저장하는 것을 확인했다. 강 교수는 “자연계에 ... ...
파격 생물학회 ‘매드사이언스 페스티벌’에는 3가지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22
범생물학 분야 연구자 30여명이 자신의 연구 분야를 발표했다. 구조생물학이나
나노
포어, 줄기세포 등을 개괄적으로 다루는 주제도 있었고, 인도네시아 긴팔원숭이의 성적활동 연구, 절대음감의 생물학적 원인 등 구체적인 주제도 있었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변지민 기자 제공 ●매싸페엔 ... ...
‘벌레 온 어 칩(On A Chip)’이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22
나타내는 지 여부를 관찰하는 방식이다. 최 교수는 “환경 및 인체 유해성이 제기되는
나노
물질을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미세 유체 동물 칩을 개발한 것”이라며 “수질환경 검사와 식품 안정성 검사, 의료 분야 등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