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나노"(으)로 총 3,605건 검색되었습니다.
- 암세포만 골라 없애고 분해돼 사라지는 물질동아사이언스 l2017.04.24
- 암세포에만 결합하도록 나노시트에 엽산을 입힌 것이다. 암세포와 나노시트가 결합하면 나노시트는 완전히 분해되고, 광감작제만 암세포에 남는다. 여기에 빛을 쬐이면 암세포에만 활성산소가 생성돼 선택적인 암세포 사멸이 가능하다. 정상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셈이다. 또 복합체가 ... ...
- SK하이닉스, 세계 최고 속도 차세대 그래픽 D램 개발포커스뉴스 l2017.04.23
- 세계 최고 속도의 GDDR6(Graphics DDR6) 그래픽 D램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제품은 20나노급 8Gb(기가비트) GDDR6로, 업계 최고인 핀당 16Gbps의 데이터 처리속도를 구현했다. 최고급 그래픽 카드에서 많이 채용하는 384개의 정보입출구를 활용해 초당 최대 768GB(기가바이트)의 그래픽 데이터 처리가 ... ...
- [과학책을 만나다(1)] “아이가 질문을 잘 하나요?”동아사이언스 l2017.04.22
- 없었나요? ▲업무를 하다보니 과학의 여러 분야를 볼 수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탄소나노튜브가 잘 합성됐는지를 보려면 라만분광법 장비가 있어야 하는데요. 여러 과학 분야의 연구실에 적합하도록 이 장비를 컨설팅하고 제작해주면서 다양한 분야를 공부하게 됐습니다. 국내 대부분 연구소나 ... ...
- 삼성전자, 10나노 2세대 핀펫 공정개발 완료포커스뉴스 l2017.04.20
- (서울=포커스뉴스) 삼성전자는 성능과 저전력 특성을 강화한 10나노 2세대 핀펫 공정(10LPP)개발을 완료했다고 20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앞으로 10나노 파운드리 고객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이번 10나노 2세대 공정(10LPP, Low Power Plus)은 기존 1세대 공정(10LPE, Lower Power Early)보다 성능과 전력효율이 각각 10%, ... ...
- DNA로 만든 다이아몬드 구조 광결정과학동아 l2017.04.20
- 결합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탄소로 이뤄진 다이아몬드 결정의 3차원 구조와 같은 배열을 나노입자가 스스로 만들어내도록 했다. 다이아몬드형 광결정 구조는 넓은 범위에서 빛을 선택적으로 반사할 수 있어 1990년 소자로서의 우수성이 알려졌지만, 실험적으로 구현하지 못했다. 이 교수는 “이번 ... ...
- 세포, 음식에 이어 유리도 3D 프린팅한다동아사이언스 l2017.04.20
- 함께 인쇄된다. 여기에 섭씨 1300도의 열을 가해 주면, 액체 유리 속에 들어 있던 실리카 나노입자들이 녹으면서 하나로 엉겨 붙고, 매트릭스는 녹아 없어진다. 다시 온도가 상온으로 떨어지면 투명한 유리만 남게 되는 것이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수십 마이크로미터(㎛·1㎛는 100만 분의 1m) 크기의 ... ...
- 수천 배 빨라진 메모리, 빛으로 작동시킨다동아사이언스 l2017.04.19
- 찰나의 순간에 자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기존 스핀메모리는 빨라도 수 나노 초(ns·1ns는 10억 분의 1초)의 속도로 조절하는 수준이었다. 최 연구원은 “자기장이나 전류가 아닌 새로운 방법으로 스핀 메모리를 동작시킨 것으로 초고속 메모리 개발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 ...
- 화면을 누르는 세기까지 포착하는 터치스크린동아사이언스 l2017.04.18
- 해낼 수 없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며 “터치스크린 뿐 아니라 은 나노와이어를 재료로 사용하는 태양전지, 스마트 윈도우 등 다양하 산업의 기술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학술지 ‘에이씨에스 나노(ACS Nano)’ 최신호에 실렸다 ... ...
- 뇌 20배 이상 팽창…20나노미터 초미세구조까지 정밀 관측동아사이언스 l2017.04.18
- 조직의 깊숙한 곳을 고해상도로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일반 광학 현미경을 기준으로 20나노미터(㎚·1㎚는 10억 분의 1m) 수준의 해상도를 얻을 수 있다. 장 교수는 “20㎚ 거리의 두 물체를 구분 가능한 해상도”라며 “이는 기존 대비 10배 이상 향상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2015년 보이든 ... ...
- ‘노래하는 장미’ 나올까 전자 부품이 된 식물과학동아 l2017.04.17
- ‘네이처 머티리얼스’에 발표하기도 했다. 연구팀은 식물의 뿌리를 이용해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 입자를 주입했다. 이 입자는 적외선 파장을 내뿜는데, 질화방향족과 결합하면 파장이 변하기 때문에 근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해 감지할 수 있다. 질화방향족이 포함된 지하수가 해당 식물을 ... ...
이전2632642652662672682692702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