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나노"(으)로 총 3,605건 검색되었습니다.
- 삼성전자, 10나노 핀펫 공정 모바일 AP '엑시노스 9'양산포커스뉴스 l2017.02.23
- 엑시노스9 - 삼성전자 제공 (서울=포커스뉴스) 삼성전자는 최첨단 10나노 핀펫(FinFET) 공정을 기반으로 고성능 LTE 모뎀을 통합한 프리미엄 모바일 AP '엑시노스9(8895)'를 양산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제품은 지난 2016년 10월 삼성전자가 업계 최초로 양산에 성공한 10나노 핀펫 공정을 적용한 제품으로 ... ...
- 나노 와이어 하나하나 옮겨 성능 높은 반도체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17.02.22
- 유연 기판 위에 옮기고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를 구현했다”며 “이 기법을 다양한 나노 와이어 물질에 적용하면 향후 고성능 웨어러블 전자 소자 구현에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학술지 ‘에이씨에스 나노(ACS Nano)’ 지난 달 30일자에 실렸다. ... ...
- 암 잡는 신개념 세포막 치료법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7.02.21
- 세포 속에 있는 ‘엑소좀’이란 물질을 활용해 세포막 편집 기술을 구현했다. 엑소좀은 나노 크기의 막 구조를 가진 물질로 주변 세포와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진은 ‘수포성 구내염 G단백질(VSV-G)’이라는 융합 엑소좀을 개발해 이를 표적 세포막에 원하는 막단백질을 전달하는 ... ...
- KAIST 16대 총장에 신성철 물리학과 교수동아사이언스 l2017.02.21
- 두루 거쳤다. KAIST 학생부처장, 국제협력실장, 기획처장, 고등과학원설립추진단장, 나노과학기술연구소 초대소장등을 지냈다. 로버트 러플린 총장 때는 부총장 직을 수행한 바 있다. 외부 활동 역시 다양하다. 대덕연구단지 인근 기관장 모임인 ‘대덕클럽’ 회장, 한국자기학회장, ... ...
- [사이언스 지식in] 치매 왜 생기는 걸까? ... 흔들리는 알츠하이머 원인의 정설동아사이언스 l2017.02.20
- 뭉쳐진 덩어리입니다. 길쭉길쭉한 가닥처럼 보이죠. 보통 가닥 하나의 너비가 5~15㎚(나노미터), 길이는 수 마이크로미터 정도입니다. 본래는 우리 몸 안에서 정상적인 역할을 하던 단백질이 세포 주변에서 덩어리를 이루며 아밀로이드를 이룬 것이지요. 주를 이루는 단백질 종류와 뭉친 모양은 ... ...
- 故 신중훈 KAIST 교수에게 바치는 마지막 논문동아사이언스 l2017.02.16
- 헌정한다”고 밝혔다. - KAIST 제공 국내 반도체 나노광학 연구를 선도했던 고 신중훈 KAIST 나노과학기술대학원 교수가 마지막으로 참여한 연구 논문이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7일자 온라인판에 발표됐다. 논문은 색소 없이도 모든 색을 발현할 수 있는 ‘무지개 미세입자’를 개발했다는 ... ...
- 빛으로 글씨 쓸 수 있는 디스플레이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7.02.10
- ‘양자점(퀀텀닷)’을 이용한 신개념 디스플레이 를 개발했다. 퀀텀닷은 빛을 내는 수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반도체 결정으로, 미래형 TV나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실감디스플레이연구그룹 남수지 선임연구원팀은 미국 일리노이대 ... ...
-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감’ 테크놀로지과학동아 l2017.02.09
- 전국의 기업들이 센서를 연구할 수 있는 반도체 클린시설과 MEMS 장비를 갖추고 있다. 나노종합기술원은 이렇게 개발한 센서를 시제품으로 양산할 수 있는 시양산 시설 설립을 최근 정부에 제안했다. 김 부장은 “국내에서 MEMS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것이 1990년대 초”라며 “드디어 때가 ... ...
- 자동차 매연 속 유해물질, 상온에서도 처리 가능한 값싼 촉매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7.02.07
- 다공성 알루미나의 미세 기공 내벽에 직경 약 1나노미터(㎚·1㎚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나노 입자로 골고루 균일하게 입혀졌다. 기공 안쪽까지 촉매를 채우면 촉매가 작용하는 단위 질량당 표면적이 넓어져 반응이 더 잘 일어난다. 연구진이 촉매 제조에 사용한 ‘온도조절 화학기상 증착법’은 ... ...
- 휘어지는 기판에도 철썩...잘 달라붙는 투명전극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7.02.07
- sq(옴스퀘어)로 전류가 통하는 정도가 기존보다 6배 이상 높다. 플래시광을 쬐인 후 은 나노와이어가 그물망처럼 연결된 모습. - KAIST 제공 또 플래시광의 적외선은 기판과 와이어 사이의 접촉력을 높이는 데 활용했다. 기판과 전극 사이의 열적 상호작용으로 인해 접착력이 3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 ...
이전2662672682692702712722732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