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04건 검색되었습니다.
거미집 모방해 바이오센서 능력 UP!
과학동아
l
2017.05.18
데 한계가 있었다. 김철기 DGIST 신물질과학전공 교수팀은 단백질과 DNA 등 바이오 분자에
나노
크기의 초상자성 입자를 부착했다. 초상자성입자는 주변에 자기장이 있을 때만 자석으로 변하는 입자다. 또 거미줄 모양을 본 따 미세 자기장 패턴을 만들고 중심부에 바이오센서를 놓았다. 실험 결과, ... ...
줄기세포에 ‘발’ 달아준 치료용 마이크로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7.05.17
마이크로로봇의 시간경과 이미지. - 전남대 로봇연구소 제공 로봇의 표면엔 자성을 가진
나노
입자가 붙어 있어 자성입자의 반응에 따라 손상된 연골부위로 정밀하게 로봇을 움직일 수 있다. 실제로 연구진은 연골 결손 환경과 비슷하게 제작된 3차원 무릎관절 형상을 이용해 마이크로로봇을 손상 ... ...
혈액에서 오래 살아남는 줄기세포 개발
과학동아
l
2017.05.15
사용해 세포 안정성을 높여 중간엽 줄기세포 치료가 가진 한계를 극복했다”면서 “
나노
박막은 어느 줄기세포에나 적용이 가능하므로 면역질환, 뇌졸중 등의 줄기세포 치료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21/acsami.7b0036 ... ...
활짝 핀, 세상에서 가장 작은 장미
과학동아
l
2017.05.12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연구팀은 앞으로 DNA뿐만 아니라 다양한 핵산을 이용해
나노
꽃 입자를 만들어 유전자 치료나 바이오센서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머티리얼스 케미스트리 B’ 12호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doi:10.1039/c6tb0304 ... ...
깎을까 쌓을까
나노
세계 건설하는 두 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7.05.11
|
나노
기술연구협의회 | 한국과학창의재단, 국가
나노
인프라협의체 ※ 자세한 내용은
나노
기술연구협의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kontrs.or.kr/introduce/events_list.asp) ※ 참가 제한● 동일(유사) 아이디어로 타 공모전에 수상 경험이 있는 자 ● 신청서 등의 서류에 허위 정보를 기재한 자 ● ... ...
[표지로 읽는 과학]마그네슘 합금의 초고강도 비결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5.07
원자들이 규칙적으로 결정을 이룬 구조를 말한다. 연구진은 비결정질(노란색)이
나노
결정질(파란색)을 그물처럼 감싸도록 만들어 기존 마그네슘 합금보다 강도를 10배 높였다. 새 마그네슘 합금의 강도는 10원짜리 동전 면적으로 33t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3.3기가파스칼(GPa) 수준이다. 연구진은 ... ...
미래소재 ‘탄소
나노
물질’ 빛깔 자유자재로 바꾸는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5.02
응용 분야를 크게 넓힐 것으로 보고 있다. 김병수 교수는 “용매에 따라서 탄소
나노
물질의 형상이 변하는 것을 명확히 보여준 최초의 연구”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재료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Advanced Materials)’ 4월 18일자에 게재됐다. ... ...
투명 콘택트렌즈로 혈당, 안압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27
해결하기 위해 연구진은 투명도가 높고 신축성이 좋은 2차원 탄소 소재 그래핀과 금속
나노
와이어로 전극을 만들어 센서를 완성했다. 이 센서를 삽입한 투명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토끼 눈에 끼워 혈당과 안압 정보를 실시간으로 얻는 데 성공했다. 투명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면 센서가 ... ...
오염수 속 방사성폐기물 먹어 치우는 미생물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4.24
잘 결합하는 금
나노
입자를 넣어둔 형태다. 용액 안에 넣은 미생물이 용액을 마시면, 금
나노
입자가 방사성요오드와 반응해 결합한 형태로 미생물의 몸 속에 가둬두는 방식이다. 그 후 미생물만 걸러내는 후처리 공정을 거치면 쉽게 방사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정화를 위해 개발된 기존 ... ...
암세포만 골라 없애고 분해돼 사라지는 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17.04.24
암세포에만 결합하도록
나노
시트에 엽산을 입힌 것이다. 암세포와
나노
시트가 결합하면
나노
시트는 완전히 분해되고, 광감작제만 암세포에 남는다. 여기에 빛을 쬐이면 암세포에만 활성산소가 생성돼 선택적인 암세포 사멸이 가능하다. 정상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셈이다. 또 복합체가 ... ...
이전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