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원숭이 사회에 흔한 관계, 동성애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발견됐다.일본원숭이나 황금원숭이가 속해 있는 구세계원숭이의 경우, 24개 속 가운데 17개 속(71%)에서 동성애가 관찰됐다. 신세계원숭이는 더 적다. 19개의 속 중 단 3개 속(16%)에서만 관찰됐다. 인류와 진화적으로 가장 먼 원시원숭이의 경우, 여우원숭이상과(科)에 속한 13개 속 가운데 오직 한 개의 ... ...
- [Career] 4배체 유전자 개구리, 세계 최초로 해독한 과학자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이 정보를 이용해 4배체 유전체 지도를 정확하게 완성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7년이라는 기나긴 여정 동안 60명이 함께 연구하다 보니 어려움도 많았다. 연구책임자(PI)들이 일 년에 한번씩 모이는 자리에서 올해 크리스마스에는 논문을 제출하겠다는 이야기만 5년을 했다. 핵심이 되는 데이터는 ... ...
- [공룡은 왜? 1화] 공룡의 구애 행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만든 흔적화석이었어요.아크로칸토사우루스는 몸길이가 11.5m이고, 무게는 7톤, 머리 길이는 1.3m나 되는 거대한 육식공룡이에요. 당시 생태계 먹이사슬에서 가장 상위에 있던 공룡으로, 초식공룡을 주로 잡아먹었지요.구덩이의 크기와 모양은 이 지역에서 발견된 아크로칸토사우루스의 발자국과 ... ...
- [과학뉴스] 루비와 사파이어 바람이 부는 행성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데이비드 암스트롱 연구원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케플러 망원경을 이용해 ‘HAT-P-7b’라는 거대한 가스 행성의 대기에서 반사되는 빛을 모니터링 했다. 그 결과 행성의 가장 밝은 지점이 시간에 따라 이동했다. 이는 행성의 대기 현상이 매우 심하게 변동한다는 것을 나타낸다.이를 토대로 ... ...
- [Future] 1초를 둘러싼 전쟁, 윤초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자전 속도를 예측한 결과를 바탕으로 6개월 전에 결정해 발표한다. 이번 윤초도 지난 7월 6일에 공표됐다.정밀한 시간이 중요한 금융, 항공, 정보통신 분야에서 윤초는 ‘악몽’으로 취급된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의 운영체제는 61초로 된 1분을 반영하지 못하기때문에 추가된 1초에 대해 별도의 대비가 ... ...
- [Origin] 길들여지지 않는 새, 이클립스 깃털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인류의 동반자 된 치느님, 사라지는 적색야계의 혈통 선조 적색야계의 대퇴골은 약 7cm로 전체 무게는 900g 정도로 추정된다. 오늘날 농장에서 자라는 집닭의 절반 이하로 크기가 작았지만, 위상은 남달랐다. 미래를 내다보듯 제시간에 우는 습성과 당당한 걸음걸이, 붉은 볏은 전 세계적으로 ... ...
- [Culture] 11분의 1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더는 묻고 싶은 기분이 들지 않았어요.“우리 팀은 나노 엔진을 개발했어.”오빠 6, 7이 일본 과학자들과 개발한 나노 엔진의 우수한 점을 장황하게 늘어놨습니다. 세계 최고 수준의 나노 엔진이라 하더군요.“그래서?”“뼈는 뼈보다도 우수한 폴리머로 대체할 거야. 그 부위만 정교하게.”“장기는 ... ...
- [Future] 안동 권씨가 대전에 살게 된 까닭은?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문화를 고집해 온 것이 성씨 구성의 독립성을 유지한 배경으로 추정된다.올해 7월 27일 성주 지역의 유림단체연합회와 임진왜란 공신 22문중의 후손으로 구성된 임란선양회는 사드 배치를 반대하는 상소문을 발표했다. 90세가 넘은 유림도 갓과 도포를 착용한 선비의 모습으로 청와대 기자회견에 ... ...
- [Future] 너덜너덜 번아웃 된 기자, ‘마음챙김’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잘 되면서 머리가 맑을 때 나오는 뇌파였다. 반면 분홍색 우주선이 나타내는 세타파(4~7Hz)는 정신이 멍하거나 잠이 올 때 나오는 뇌파였다. 초록색 우주선이 보여준 높은 베타파(22~36Hz)는 작업을 하면서 스트레스를 받아 불안한 상태에서 나오는 것이었다.“사람이 한 가지의 생각만을 할 수 없듯, ... ...
- [과학뉴스] 명왕성 아래 바다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탐사선인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뉴호라이즌스호’는 2006년 지구에서 출발해 지난해 7월 명왕성을 통과했어요. 그리고 최근,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팀은 이때 얻은 관측 데이터를 분석해 명왕성의 하트 모양 지형인 ‘스푸트니크 평원’이 명왕성의 위성 ‘카론’과 항상 정반대에 ... ...
이전2712722732742752762772782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