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자연수 색칠하기 문제수학동아 l2017년 02호
- com’이라는 홈페이지에서는 여러 명이 동시에 컴퓨터를 돌려 소수로 만들어진, 길이 27짜리 등차수열을 찾는 프로젝트가 진행 중입니다. 가지고 있는 컴퓨터가 할 일이 없을 때 PrimeGrid.com에서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돌리면 소수 찾는 계산에 동참할 수 있습니다. 자기 컴퓨터가 소수를 찾으면 ... ...
- [가상 인터뷰] 오염된 하천에서도 잘 사는 물고기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유명해요. 산소 농도가 1mg/L인 환경에서도 적응할 수 있지요. 1급수의 산소 농도는 7.5mg/L 정도이고, 보통의 물고기는 살지 못한다는 4급수의 산소 농도가 2mg/L 정도랍니다.수온도 최소 6℃에서 최대 35℃까지 견딜 수 있어요. 심지어는 작은 물웅덩이에서도 살 수 있답니다.어떻게 그렇게 오염된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SSG와의 첫 대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북극까지의 지역.● 남반구 : 적도부터 남극까지의 지역.태양계에는 지구 외에도 7개의 행성이 있어요. 이들도 지구처럼 자전과 공전을 하지요. 하지만 자전축의 각도는 모두 제각각이에요. 그 중에서도 특히 재미있는 기울기를 가진 행성들이 수성, 금성, 천왕성이랍니다.수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 ...
- part 2. 전선 없는 세상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방식’을 이용했습니다. 그리고 세계 최초로 자기유도 방식을 이용해 5m 거리에서 209W, 7m에서 11W, 10m에서 10W 까지 보낼 수 있는 장거리 무선전력시스템을 구현했습니다.이로써 임 교수는 자기유도 방식과 자기공명 방식이 근본적으로는 차이가 없다는 사실을 증명했습니다. 자기유도 방식과 자기공명 ...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컴퓨터공학부에서는 개교 70주년을 맞아 ‘앞으로 우리나라를 이끌어갈 7대 미래기술’을 선정했다. 각 분야의 동문들과 재학생들이 투표한 결과다. 영화에서나 나올 것 같은 이야기지만 가까운 미래에 상상했던 수준 이상으로 발전하게 될 전망이다. 각 기술의 최전선을 서울대 연구자에게 직접 ... ...
- Part 1. 허블 상수 논쟁 끝내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수 있다”는 해석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현재의 은하를 관측한 반면, 플랑크 위성은 137억 년 전에 나온 빛을 관측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우주의 팽창 속도도 고무줄처럼 변할 수 있다. 과거 ‘허블 상수 전쟁’의 주인공이었던 미국 시카고대 웬디 프리드만 교수는 e메일 인터뷰에서 “두 허블 ... ...
- [Issue] 미래지진을 찾아 바다 밑을 들추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20m씩 위치를 바꿔 가며 파이프를 올렸다 다시 내리기를 네 번 반복했다. 그리고 오전 7시 10분 다섯 번째 시도에서야 겨우 성공할 수 있었다.우리는 어렵게 채취한 암석 샘플 실린더에 레이저로 표식을 하고 바코드를 붙여 고유번호를 부여했다. 코어 각각의 물성을 측정하고 보관용과 샘플용으로 ... ...
- Part 4. 우주를 새롭게 밝힐 뉴페이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웹의 주경은 육각형 거울 18개가 모여 지름이 6.5m에 달한다. 허블 우주망원경보다 2.7배 큰 크기로 빛을 모으는 면적이 커져 더 먼 곳의 빛까지 볼 수 있다. 지구와 태양의 중력이 상쇄되는 ‘랑그랑주점’에 머물며 우주를 관측할 예정으로 제임스 웹의 목적은 빅뱅 직후 초기우주를 연구하는 것이다. ...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참 아니면 거짓으로 출력한다. 연산 결과가 0이거나 1일 때만 답을 내릴 수 있다. 0.5나 0.7은 답을 내릴 수 없는 계산 오류다. 하지만 컴퓨터가 이해하는 논리적인 상태가 늘어나면 컴퓨터가 내릴 수 있는 판단이 다양해질 수 있다.이런 논리는 올해 프로 바둑기사 이세돌과의 대결로 주목받은 인공지능 ... ...
- [Issue] 기후 위협하는 비행기구름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흡수하는 햇빛이 더 많다고 해석할 수 있다.연구 결과, 자연적으로 생긴 권운은 약 -7mW/m2였다. 대부분 수증기로 이뤄져 있어서 오히려 지구를 식히는 역할을 하는 셈이다. 그런데 비행기가 내뿜은 배기가스의 복사강제력은 약 28mW/m2, 생긴지 5시간이 안 되는 비행기구름은 약 4mW/m2였다. 비행기구름 ... ...
이전2702712722732742752762772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