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잘 나가던’ 소프트로봇이 발목 잡힌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총 200만 달러(약 23억 원)의 자본금으로 시작한 엠파이어 로보틱스 사는 50만 달러(약 5억7000만 원)의 매출을 올리고 작년 봄 4년 만에 문을 닫았다. 이유는 ‘지속가능한 비즈니스를 찾지 못함’. 김정 KAIST 기계공학과 교수는 “시연 단계에서 다양한 크기의 휴대전화를 집을 수 있다는 걸 보였지만, ... ...
- [Issue] ‘김’ 뜨는 마을 충남 서천 마량항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있다.돌김이 끝나면 바다 상태를 예측해 재래김 종자와 슈퍼김 종자를 6대4 또는 7대3의 비율로 섞어 김을 수확한다. 슈퍼김 종자가 생산성은 좋지만 맛이 떨어저 재래김 종자와 섞어서 사용한다. 허진석 국립수산과학원 해조류연구센터 연구사는 “단기간에 거둬들일 수 있는 잇바디 돌김(Porphyra ... ...
- [DJ CHO의 롤링수톤] 뮤직비디오 속의 기하학수학동아 l2017년 02호
- 무중력 상태가 되려면 약 5분 정도가 걸렸습니다. 총 8번의 무중력 상태에서 촬영하면서 27초가 지날 때마다 음악과 촬영을 멈추고 대기했던 것이지요. 그리고 사물의 위치와 특성을 기억해 새로운 형상을 만들어내는 몰핑 기법을 이용해 뮤직비디오를 한번에 촬영한 것처럼 만들었습니다.매번 ... ...
- Part 2. 인간의 최대 수명은 150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들의 평균 수명은 81.8세였어요. 1970년 남성의 평균수명은 58.7세, 여성의 평균수명은 65.6세였으니 지난 40년 동안 20살이나 늘어난 거예요. 또 구석기시대 원시인의 수명이 18세였던 것과 비교하면, 수명이 4배 이상 늘어난 셈이에요. 과학자들은 사람의 수명이 꾸준히 ... ...
- [과학뉴스] 100일 동안이나 꽃 피는 무궁화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딱 하루만 살지요. 하지만 한 나무에서 100일 동안 수천 송이의 꽃이 피었다 지기 때문에 7~10월 내내 무궁화를 볼 수 있는 거예요.지금까지 과학자들은 어떻게 무궁화가 100일 동안이나 꽃을 피울 수 있는지 몰랐어요. 그런데 최근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서울대학교, 경상대학교 공동연구팀이 그 ... ...
- [과학뉴스] 오바마 ‘사이언스’에 기후정책 글 기고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형사사법 개혁 진전에 대통령의 역할’이라는 56쪽 분량의 기고문을 실었다. 지난해 7월에는 현직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미국의학협회저널(JAMA)에 공공 의료보험 도입을 주제로 한 논문을 게재했다 ... ...
- [수학뉴스] 다이빙 금메달 따고 싶다면 지원하세요!수학동아 l2017년 02호
- 바퀴 반 돌 수 있고, 몸 비틀기 동작은 5번 할 수 있었습니다.연구팀은 이 동작이 최소 4.7점의 난이도 점수를 받을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가장 어려운 동작의 난이도 점수가 4.8점이므로 만점에 가까운 점수입니다. 현재 연구팀은 이 동작을 시도해 볼 선수와 코치를 찾고 있습니다.연구를 이끈 ... ...
- Part 4. ‘키메라 백신’으로 인플루엔자 예방한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하면 조류 인플루엔자 대유행을 막을 수 있지 않을까. 이미 저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H7N9)와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H5N6, H5N8)를 막을 수 있는 백신이 개발돼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를 비롯해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이 백신을 사용하지 않는다.닭이나 오리 같은 가금류에게 한 마리씩 백신을 맞히는 ... ...
- [식물 속 동물 찾기] 수탉이 나타났다?! 닭의장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붙었답니다. 지역에 따라 ‘달개비’, ‘닭벼슬’이라고도 불려요.닭의장풀 꽃은 주로 7~8월 늦여름에 펴요. 3장의 꽃잎 중 위쪽의 2장은 둥글고 크며 파란색이고, 아래쪽의 1장은 작고 흰색이에요. 영어로는 ‘피었다가 그날 시드는 꽃’이란 뜻으로 ‘Dayflower’라고 해요. 실제로 닭의장풀 꽃은 ... ...
- [Future] 인류 최후의 날을 대비한다 재난 기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초속 70m라면, 100분의 1로 줄인 모형에서는 100분의 1에 제곱근을 취한 값(10분의 1, 즉 초속7m)을 바람의 속도로 설정한다.실험할 때는 모형에 힘을 측정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레이저를 쏴서 움직인 정도를 측정하는데, 모형이 바람에 의해 1cm 움직였다면 실제 다리는 1m를 움직였다고 해석한다. 전북대 ... ...
이전2682692702712722732742752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