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쓸모없다 해서 미안했다 충수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상황을 설명하고 수술과 보존적 치료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했다. 그러자 65명은 수술을, 37명은 보존적 치료를 선택했으며, 보존적 치료를 선택한 소아·청소년의 95%는 24시간 안에 증상이 호전돼 수술 없이 퇴원했다. 또 1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보존적 치료를 한 경우의 75%는 급성 충수염의 재발이 ... ...
- [Origin] 강아지 고민상담소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모습이다. 그레고리 교수는 그의 책 ‘반려견은 인간을 정말 사랑할까?’에서 “세계에 7억 마리의 개들이 있으므로, 단 2마리의 개를 이용한 연구를 너무 확대해석하지 말라”며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그래서일까요. 그레고리 교수 이후 수십에서 수백 마리까지 표본을 늘린 연구가 계속 쌓이고 ... ...
- [Career] 세상을 바꾸는 착한 상상력 기아 에코다이나믹스 원정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스웨덴, 사우디아라비아, 말레이시아 6개국에서 온 청소년 88명으로 구성됐다.원정대는 2017년 1월, 8박 9일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로 해외 캠프를 다녀왔다. 원주민 마을인 찬캇 빙탄(Chankat Bintang)에 방문해 주민들이 겪고 있는 현실적인 문제점을 파악하고, 현지 삶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 ...
- [Future] 전자회로의 ‘미싱링크’ 멤리스터는 존재하는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소자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멤리스터 연구는 다시금 활기를 되찾았다.하지만 그로부터 7년 뒤인 2015년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한 편의 논문이 발표됐다. ‘잃어버린 멤리스터는 아직 찾지 못했다’라는 이 논문의 저자 사샤 폰게르 중국 난징대 고체마이크로구조국립연구소 연구원은 “HP가 ... ...
- [Future] 갤럭시노트7 430만 대의 운명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금, 은, 팔라듐 등 값비싼 금속이 많다.이 자료는 예시이며, 갤럭시노트7의 금속 구성 비율은 조금 다를 수 있다. 베릴륨과리튬은 전자기기를 만들 때 필수인 금속인데도, 사용량에 대한 자료가 거의 없어서 빠져 있다 ... ...
- [매스미디어] 포켓몬 트레이너 L씨의 피카츄 사냥수학동아 l2017년 03호
- 경로의 수가 362만 8800가지다. 그래서 수학자들은 여러 방법으로 근사해를 구한다.2016년 7월, 윌리엄 쿡 캐나다 워털루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여행하는 외판원 문제를 포켓몬GO에 적용했다. 영국에 있는 2만여 개의 술집을 들르는 가장 짧은 길을 계산해 화제가 된 사람이기도 하다. 쿡 교수는 미국 ... ...
- [Issue] 미세먼지 의문을 털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에 발표됐다. 영국 랭커스터대 바버라 메이허 교수팀이 치매 등의 질환으로 사망한 환자 37명의 뇌를 분석한 결과, 뇌 조직에서 미세먼지 입자 수백만 개가 검출됐다. 성분은 대부분 자철석이었으며, 백금이나 니켈 등도 발견됐다. 연구팀은 자철석은 활성산소를 만들어 뇌 세포 손상을 일으킬수 ... ...
- [Photo] 티타늄과 그 광물들 下 예술이 된 광물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보강한 티타늄 패널의 마감은 마치 조각천을 이어붙인 퀼트 공예품 같은 느낌을 준다. 1997년 개관한 구겐하임 빌바오 미술관은 소장품뿐만 아니라 건물의 아름다움만으로도 세계인들을 빌바오로 끌어들이는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필자가 감동받은 것은 미술관의 아름다움만이 아니다. 미술관 ... ...
- [Culture] 유미의 연인과학동아 l2017년 03호
- 하루가 지나고 전원을 켜자, 그저께 본 것처럼 눈썹이 하얀 유미가 빙그레 웃었다.7“진짜로 갈 거야?”“갈 거야.”유미가 불안한 표정으로 지켜보는 가운데, 정훈은 업로드를 앞두고 있었다.“들키면 어떻게 해?”“괜찮아, 잘 숨길 수 있어.”해커들은 한 번도 해 본 적은 없는 작업이지만, 해낼 ... ...
- [Future] 집 나간 국민생선이 돌아왔다! 명태의 귀환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데 성공한 것이다.올해 1월 23일,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동해에서 잡힌 명태 가운데 67마리의 유전정보를 분석한 결과, 이 중 두 마리의 유전정보가 2015년에 방류한 인공 1세대와 일치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인공적으로 키워 방류한 명태가 자연에서 성공적으로 적응해 살고 있음을 확인한 셈이다 ... ...
이전2672682692702712722732742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