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펜보다 키보드수학동아 l2011년 10호
- 자판의 각 키가 손가락에 주는 부담을 점수로 계산했다. 각 키마다 손가락의 힘과 자판의 위치에 따라 부담 점수를 다르게 줬는데, 집게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으로 치는 키는 1점, 넷째 손가락으로 누르는 키는 2점, 새끼손가락으로 누르는 키는 3점으로 했다. A 키가 있는 열을 기준으로한 열 아래나 ... ...
- Part 1. 변기물을 내리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수학동아 l2011년 10호
- 깨끗한 물이 채워진다. 물통의 수압이 급수관의 수압과 같아지면 부자가 다시 정해진 위치까지 올라가고 볼탭이 닫히면서 급수관의 물이 물통으로 들어오지 못한다. 사이펀 마개도 닫혀 물이 더 이상 나오지 않는다. 이로써 물은 트랩의 언덕을 넘지 못하고 고인다.변기물을 내린 뒤 새로운 물이 ... ...
-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것들… 신기전 vs ANGRY BIRDS수학동아 l2011년 10호
- 높아지기 때문이다.실제로 이 게임을 현실 세계로 이끌어 낸 곳이 있다. 중국 후난성에 위치한 테마 파크에는 새 대신 공을 새총 모양의 기구에 장착해 과녁에 맞히는 놀이기구가 있다. 하지만 방문객 중 아직 한 사람도 목표물에 명중시키지 못했다고 한다. 포물선의 원리를 공부한 수학동아 ... ...
- [재미있는 숫자 이야기] 천문학적 수의 해결사 10수학동아 l2011년 10호
- m번 곱한 것을 거듭제곱으로 am이라 나타내며, a의 위치에 들어가는 숫자나 문자를 밑, m의 위치에 들어가는 숫자나 문자를 지수라고 한다.특히 10진법을 쓰는 사람에게 매우 큰 수나 작은 수는 밑을 10으로 해서 나타내면 매우 편리하다. ‘태양의 지름은 1.392×106km이다’‘감마선의 파장은 1×10-10m보다 ... ...
- [Sports Math] 규칙을 담은 춤, 댄스스포츠수학동아 l2011년 10호
- 종목에 대한 기본스텝과 몸의 위치를 설명하는 기법을 책으로 발간했다. 이 책에는 발의위치와 방향, 몸을 올리고 내릴 때의 기울기 등이 자세히 나타나 있어 누구라도 쉽게 댄스스포츠를 배울 수 있다. tip세계 댄스스포츠계에서 가장 권위있는 ‘2011 세계 프로페셔널 볼룸 선수권대회’ 가 10월 2 ... ...
- Part 1. 이랬다 저랬다 미스터리 양자월드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알고자 할수록 다른 점들에 대해서는 더 잘 모르게 된다. 예를 들어 우리가 어떤 입자의 위치를 제대로 보려고 하면 그 입자가 어느 방향으로 얼마나 빠른 속도로 날아가고 있는지, 그 입자의 운동량에 대해서 점점 흐릿한 정보만을 얻을 수 있을 뿐이다.이런 불확정성 원리는 에너지와 시간 사이에도 ... ...
- Part 3. 투수를 해부하는 메스, 투구추적시스템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알 수 있는 또 다른 정보는 바로 ‘투구 분포도’다. 투구마다 홈 플레이트에서 공의 위치를 파악해 투구의 분포 비율을 알려준다. 국내에서도 방송사와 구단에 영상과 스카우팅 리포트 형식으로 이런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메이저리그 필라델피아 필리스의 에이스투수 로이 할러데이의 2010년 투구 ... ...
- 외국어 뭐하러 배우지?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인식해 번역에 이용하는 기술도 개발 중이다. 웹페이지에 글과 함께 실린 사진의 태그, 위치정보와 같은 메타 정보를 이용하면 번역에 도움이 된다. 달랑 ‘배’라고 한 글자만 있으면 무슨 뜻인지 알 수 없지만, 과일인 배 사진이 함께 있다면 알 수 있는 것과 같다. 사람처럼 맥락을 파악할 수 있는 ... ...
- 과학으로 하이킥! 애니메이션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0호
- 홀로그래피를 이용하면 편광 안경을 쓸 필요도 없고, 내가 주먹을 뻗었을 때 어린이들이 위치에 따라 내 주먹을 다르게 볼 수 있겠군?맞아. 하지만 빛은 멀리 진행할수록 흐려지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배경까지 만들 수는 없어. 그래서 홀로그래피 애니메이션이 나오기 위해선 좀 더 기술이 발전해야 ... ...
-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과학동아 l2011년 10호
- 발전해 왔다.그런데 이런 소형화 또는 반도체 소자의 집적화가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스위치가 원자 크기에 가까워지면 미시세계에서 통하던 여러 가지 양자역학적 효과가 두드러졌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0과 1이 분명하게 구분되지 않아 정보가 불분명해지는 상황이 왔다.새로운 컴퓨터의 능력을 ... ...
이전2692702712722732742752762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