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셜엑스레이 안경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삼고 24개의 점을 지정합니다. 각 점은 양 미간, 코 끝, 입술의 양 끝처럼 표정에 따라 위치 변화가 심한 부분입니다. 미세표정에 따라 24개 좌표의 변화값을 측정합니다.예를 들어 볼까요? 만약 상대가 흥미로운 말을 한다면 무의식 중에 눈썹을 올리게 됩니다. 이 표정은 눈과 눈썹 사이의 거리가 ... ...
- 유산균 5형제, 면역세포 길들이다과학동아 l2011년 11호
- 그 결과 아토피 피부염과 류마티스 관절염을 가진 쥐도 모두 나았다. 면역조절 T세포가 위치에 관계없이 모든 염증을 가라앉힌다는 사실을 처음 발견한 것이다. 임 교수는 “장 속 면역조절 T세포가 다른 곳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해 1월 13일 미국립과학원회보 ... ...
- 로마 콜로세움엔 왜 아치문이 많을까?수학동아 l2011년 11호
- 부유한 시민이 자리를 잡았고, 평민이나 노예는 평지에 살았다. 언덕과 언덕 사이에 위치한 평지는 자연스럽게 시민들이 교류하는 장소가 됐다. 그중 팔라티노 언덕 옆의 평지가 포로 로마노다. 토론의 장소란 뜻이다.팔라티노 언덕을 다 돌고 포로 로마노로 향했다. 포로 로마노는 기원전 6세기부터 ... ...
- PART 3. 우리가 미래의 F1 국가대표수학동아 l2011년 11호
- 0.2인 *발사나무를 이용한다. 이는 오동나무보다 가볍다. 발사나무는 주로 바다 위에 띄워 위치를 표시하는 부표나 구명도구, 모형 비행기나 자동차를 만들 때 쓴다.우승보다 더욱 값진 것세 사람의 꿈은 최종 우승하는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그들은 알고 있다. 대회에 참가하는 것만으로 우승보다 ... ...
- 그림과 놀이로 배우는 도형수학동아 l2011년 11호
- 빛을 비춰서도 확인할 수 있다. 평평한 바닥에 공을 놓은 다음, 빛을 비추는 곳인 광원의 위치를 A, 구의 중심을 C, 점 A에서 구면에 접선을 그었을 때 구면과 만나는 점을 B, 접선이 바닥 평면과 만나는 점을 P라 하자. 이때 점 P가 움직이며 그리는 곡선이 공의 그림자 경계다. 그림①과 같이 수직으로 ... ...
- ‘아라온호’, 깊은 바닷속 생생한 모습 촬영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1호
- 광물 덩어리로, 금, 은, 구리 등 유용한 광물이 풍부한 보물창고랍니다. 영상에는 정확한 위치 좌표가 표시되어 있어, 해양 자원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아라온호에서 찍은 남태평양 바닷속 동영상은 ‘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어요 ... ...
- 수학을 연주하는 오케스트라 폴클랑 졸리스텐수학동아 l2011년 11호
- 10월 1일, 기자는 경기 용인시에 위치한 경기도어린이박물관을 찾았다.‘피타고라스의 음계’라는 오케스트라 공연을 보기 위해서다. 그런데 음악 공연 제목에 수학자 이름이 들어가 있다. 뭔가 심상치 않은 공연임을 직감적으로 알 수 있었다.오후 3시. 피타고라스, 레오나르도 피보나치, 베토벤, ... ...
- 엘리베이터는 언제 올까?수학동아 l2011년 11호
- 모여 있는 복도 입구에서 가려는 층을 입력하면, 시스템은 모든 엘리베이터의 위치와 이미 받은 명령상태를 비교해 가장 빨리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를 지정해 준다. 그 앞에 가면 비슷한 층으로 가는 사람들이 모여 있다.예를 들어 2~3층은 여성관, 4~5층은 영캐주얼·스포츠관, 6~7층 ... ...
- 평면도형의 성질 바로 알기!수학동아 l2011년 11호
- 때,같은 시간에 지진파가 도착한 세 곳을 선으로 이어 수직 이등분선의 교점으로 진앙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요.”임윤영 선생님의‘도형 이렇게 공부하자!’수학 공부는 계단을 한 칸씩 올라가는 것과 같아요. 한꺼번에 여러 칸을 오를 수는 있지만, 아래 계단을 밟지 않고는 다음 계단으로 갈 ... ...
- 불굴의 탐사선 하야부사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냉각 과정이 매우 느리게 진행됐다는 사실은 그 작용이 소행성 내부의 상당히 깊숙한 위치에서 일어났음을 시사한다. 그런데 소행성 내부가 800°C에 도달하려면 현재 크기인 0.5km 정도로는 어림도 없다. 따라서 이토카와는 형성 초기에 지금보다 훨씬 커서, 지름이 아마 20km 이상이었을 것이다.그렇게 ... ...
이전2672682692702712722732742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