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과학동아 l2011년 11호
- 기원아인슈타인 이후 절대적인 시간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보는 사람의 위치에 따라 시간이 달라진다. 아인슈타인은 시간과 공간을 결합해 시공간이란 개념을 만들었다. 시간과 공간이 따로 흐르고 변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변한다.1파트에서 이야기 한 것처럼 움직이고 있는 관찰자와 멈춰 ... ...
- 특허를 갖는 자가 시장을 지배 한다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시장에는 스마트폰 열풍이 불었다. 기존 강자였던 노키아와 삼성 등은 순식간에 위치에 처했다. 애플은 곧이어 아이패드를 발표하며 타블렛PC 시장까지 장악하기 시작했다. 그나마 발 빠르게 대응한 기업이 삼성이었다. 스마트폰인 갤럭시S와 갤럭시탭 시리즈를 발표하며 애플의 독주에 제동을 ... ...
- 도시는 초록빛 꿈을 꾼다과학동아 l2011년 11호
- 고스란히 담고 있기 때문이다.▲녹색으로 화장한 현대 건축 | 프랑스 파리시가지 중심에 위치한 초현대식 건물의 벽면이 이채롭다. 거울처럼 반사되는 유리와 자연스런 야생화, 꽃들이 대조를 이루며 건물을 감싸고 있다. 이제는 건축물도 개성시대다. 자연이 떠난 도시에 새롭게 자연을 데려오려는 ... ...
- 소셜엑스레이 안경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삼고 24개의 점을 지정합니다. 각 점은 양 미간, 코 끝, 입술의 양 끝처럼 표정에 따라 위치 변화가 심한 부분입니다. 미세표정에 따라 24개 좌표의 변화값을 측정합니다.예를 들어 볼까요? 만약 상대가 흥미로운 말을 한다면 무의식 중에 눈썹을 올리게 됩니다. 이 표정은 눈과 눈썹 사이의 거리가 ... ...
- Part 1. 이랬다 저랬다 미스터리 양자월드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알고자 할수록 다른 점들에 대해서는 더 잘 모르게 된다. 예를 들어 우리가 어떤 입자의 위치를 제대로 보려고 하면 그 입자가 어느 방향으로 얼마나 빠른 속도로 날아가고 있는지, 그 입자의 운동량에 대해서 점점 흐릿한 정보만을 얻을 수 있을 뿐이다.이런 불확정성 원리는 에너지와 시간 사이에도 ... ...
- Part 3. 투수를 해부하는 메스, 투구추적시스템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알 수 있는 또 다른 정보는 바로 ‘투구 분포도’다. 투구마다 홈 플레이트에서 공의 위치를 파악해 투구의 분포 비율을 알려준다. 국내에서도 방송사와 구단에 영상과 스카우팅 리포트 형식으로 이런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메이저리그 필라델피아 필리스의 에이스투수 로이 할러데이의 2010년 투구 ... ...
- Part 1. 변기물을 내리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수학동아 l2011년 10호
- 깨끗한 물이 채워진다. 물통의 수압이 급수관의 수압과 같아지면 부자가 다시 정해진 위치까지 올라가고 볼탭이 닫히면서 급수관의 물이 물통으로 들어오지 못한다. 사이펀 마개도 닫혀 물이 더 이상 나오지 않는다. 이로써 물은 트랩의 언덕을 넘지 못하고 고인다.변기물을 내린 뒤 새로운 물이 ... ...
-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것들… 신기전 vs ANGRY BIRDS수학동아 l2011년 10호
- 높아지기 때문이다.실제로 이 게임을 현실 세계로 이끌어 낸 곳이 있다. 중국 후난성에 위치한 테마 파크에는 새 대신 공을 새총 모양의 기구에 장착해 과녁에 맞히는 놀이기구가 있다. 하지만 방문객 중 아직 한 사람도 목표물에 명중시키지 못했다고 한다. 포물선의 원리를 공부한 수학동아 ... ...
- 펜보다 키보드수학동아 l2011년 10호
- 자판의 각 키가 손가락에 주는 부담을 점수로 계산했다. 각 키마다 손가락의 힘과 자판의 위치에 따라 부담 점수를 다르게 줬는데, 집게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으로 치는 키는 1점, 넷째 손가락으로 누르는 키는 2점, 새끼손가락으로 누르는 키는 3점으로 했다. A 키가 있는 열을 기준으로한 열 아래나 ... ...
- [재미있는 숫자 이야기] 천문학적 수의 해결사 10수학동아 l2011년 10호
- m번 곱한 것을 거듭제곱으로 am이라 나타내며, a의 위치에 들어가는 숫자나 문자를 밑, m의 위치에 들어가는 숫자나 문자를 지수라고 한다.특히 10진법을 쓰는 사람에게 매우 큰 수나 작은 수는 밑을 10으로 해서 나타내면 매우 편리하다. ‘태양의 지름은 1.392×106km이다’‘감마선의 파장은 1×10-10m보다 ... ...
이전2682692702712722732742752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