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구름 뚫고 반짝! 교실로 간 '어린이과학동아'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시계를 만들었답니다.나침반을 이용해 방위를 맞추고 아침, 점심, 저녁에 따라 전등의 위치를 동, 남, 서쪽으로 움직여 보세요.시간이 어떻게 변하나요? 전등이 남쪽에 있을 땐 실의 그림자가 12시에, 동쪽에 있을 때는 6시 쪽으로, 서쪽에 있을 땐 18시 쪽으로 움직이는 걸 확인했니? 날씨가 맑은 날, ... ...
- Part 1. 패턴암호 경우의 수는 몇 개일까?수학동아 l2011년 12호
- 같이 다시 배열한다. 그래프는 점의 개수와 연결된 선의 개수만 바뀌지 않는다면 위치를 바꾸는 것은 문제되지 않는다. 그런 다음 연결할 수 있는 선의 개수에 따라 그룹1부터 그룹4까지 묶는다.여기서 연결할 수 있는 선의 개수가 같음에도 불구하고, 2, 4, 6, 8을 두 그룹으로 나눴다. 그룹 안의 숫자는 ... ...
- 마트와 적립카드, 수학으로 엮인 사연은?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실제로 조사한 결과 눈높이에 있는 제품이 가장 많이 팔렸으며, 눈높이보다 낮거나 높은 위치에 있으면 덜 팔렸다. 그래서 가게에선 눈높이에 가장 이득을 많이 볼 수 있는 상품을 둔다.이런 쇼핑몰에 적용된 과학도 점차 변하고 있다. 쇼핑몰에 바깥이 시원하게 보이는 쾌적한 공간을 제공하고 ... ...
- [수학영재캠프] 낭만 올림피아드수학동아 l2011년 12호
- 문제를 푼다는 것을 골을 넣는 것에 비유한다면, 환원법이란 골을 쉽게 넣을 수 있는 위치(좁은 문제)로 공을 옮기는 기술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우선 그런 두 수가 존재할지 존재하지 않을지를 판단해 내야 한다. 아무렇게나 고른 두 무리수라면 저런 두 값이 같아지는 경우가 있을 것 같지만, ... ...
- Part 2. 길+개리=원빈?!수학동아 l2011년 12호
- 같은 기하학적인 특징을 비교하는 것은 기본이다. 예를 들어 2D방법에서 눈, 코, 입의 위치를 비교하거나 눈과 눈 사이의 거리, 입술의 모양을 비교한다. 3D 방법에서는 얼굴의 볼록한 정도까지 나타낼 수 있는데, 이때는곡선의 굽은 정도를 나타내는‘곡률’개념을 이용한다. ❸ 많은 자료 중에서 ... ...
- 로마 성 베드로 광장에서 햇빛으로 만든 달력을 찾다!수학동아 l2011년 12호
- 달라진다. 로마의 산타마리아 델리 안젤리 성당은 위도 41.54°, 동경 12.129°에 있다. 이 위치에서 해의 남중 고도가 하지에는 71.3°, 동지에는 24.4°다. 자오선 위에 쓴 숫자 24는 남중고도이고, 45는 해의 남중고도에 따른 탄젠트 값이었다.탄젠트를 이용한 달력 만들기 자오선의 숫자는 θ = 90°-(남중고도 ... ...
- 중국, 우주까지 차지하나 - 세계 3번째 무인우주선 도킹과학동아 l2011년 12호
- 11월 2일 밤 11시, 52km 거리까지 거리를 좁혔다. 이후 선저우 8호는 톈공 1호와 전파를 통해 위치 정보를 주고 받으며 55분간 네 차례 궤도를 수정해 5km까지 다가갔다. 그 뒤 다시 85분 동안 3번에 걸쳐 궤도를 수정하며 400m, 140m, 30m까지 접근했다. 여기서부터 실제 도킹을 위해 뿔처럼 생긴 도킹 장비를 ... ...
- “과학과 인문 겸비한 인재 키운다”과학동아 l2011년 12호
- 구로구에 위치한 신도림고등학교는 개교 1년 만에 서울지역 고교선택제에서 선호도 1위를 한 떠오르는 명문고다. 2010년에는 교육과학기술부가 실시한 전국 과학중점학교 평가에서 대상도 받았다. 신도림고의 윤미선 선생님을 만나 학교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봤다.서울시교육청이 실시한 서울지역 ... ...
- 수학 알면 나도 고수! 뜨개질수학동아 l2011년 12호
- 능력과 소근육의 운동 능력이 길러진다. 또한 뜨개질 기호를 인식하고 바늘이 들어가는 위치,실을 돌리는 방향 등을 이해하고 실행함으로써 공간 지각력도 얻을 수 있다. 실제로 뜨개질을 하려면 콧수와 단수 등을 계산하고, 2차원의 뜨개질 도안을 보고 3차원으로 상상하면서 떠야 한다. 이 과정에서 ... ...
- 풍속화 속 수학 김홍도 vs 신윤복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인물들 속에는 김홍도가 낸 수수께끼가 숨겨져 있다. 바로 마방진! 그림에서 대각선에 위치한 사람의 수를 합하면 12가 되는 마방진이 들어 있다.서당훈장과 학동이 둥글게 원을 그리고 앉아 있고,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시점이 이동해 훈장 앞에서 울고 있는 소년에게 초점이 집중된다. 이 그림에서 ... ...
이전265266267268269270271272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