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캔디
설탕
사탕과자
가루사탕
소아 과자
satang
d라이브러리
"
사탕
"(으)로 총 264건 검색되었습니다.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뉴욕에 정착하였다.1929년 어느 봄날 당시 국민학생이었던 아시모프는 부친이 경영하던
사탕
가게를 보며 옆가게의 뉴스진열대를 살펴보다가 어메이징지와 운명적으로 만나게 된다. 신동으로 이름을 날렸던 아시모프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과정을 월반을 거듭하며 1935년에 의사가 되려고 ... ...
장미꽃잎이 검게 물든 사연 식물도 스트레스를 받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것이다. 허술해진 영양물질 이동통로의 복구속도도 식물의 종에 따라 다르다. 예컨대
사탕
무나 북반구의 엉겅퀴는 회복이 빨리 이뤄지지만 콩이나 남방의 엉겅퀴는 매우 느린 회복속도를 보인다.열대지방에 서식하는 바랭이의 일종은 낮동안에 많은 녹말을 저장하지만 이 녹말이 밤에는 사라져 ... ...
PARTⅡ 실생활에 어떻게 사용되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옥수수 등)이 성공적으로 재배되었다. 특히 제초제에 대한 내성(耐性)을 가진 콩 옥수수
사탕
무 등이 집중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인공씨감자가 등장하고아직 국내 과학자가 개발한 유전공학 제품중 산업화된 것은 몇가지 안되지만 실험실적 연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여럿 있다 ... ...
지상에서 가장 가벼운 에어러겔 개발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만지면 솜
사탕
같이 손가락에 달라붙는다.극도로 응측된 실리카(silica)로 돼 있는 이 '솜
사탕
'은 투명하고 다공성이 무척 크다. 어찌보면 진주 목걸이를 흩뜨려놓은 것 같은 이 에어러겔은 대기와 같은 방식으로 빛을 산란시킨다. 그래서 어두운 곳에서는 파란색으로 밝은 곳에서는 노르스름하게 ... ...
마음의 병이 육체의 병으로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자리잡고 있다.그러나 음식물에 대해서는 관심이 많아진다. 먹지는 않으면서 과자
사탕
등을 모아서 책상서랍에 넣어두기도 한다. 요리에도 관심을 보인다. 열심히 요리책을 들여다 보기도 하고, 정성껏 요리를 장만해 부모에게 드리기도 한다.이 증세가 오래되면 지속적으로 필요한 양의 칼로리를 ... ...
금세기 최대혜성 오스틴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잘 볼 수 있게 된다.또한 밤의 시력은 혈당량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어, 관측하면서
사탕
을 먹으면 어두운 혜성의 꼬리를 더욱 밝게 보는데 도움을 준다. 관측 도중 담배를 피우는 행위는 눈에 산소량이 낮아져 일시적으로 시력이 떨어지므로 삼가는 것이 좋다.핼리혜성은 망원경을 통해서 보아야만 ... ...
「어린 뚱보」가 늘고 있다.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4가지를 소개한다.첫째 칼로리 함량이 높은 음식을 삼가야 한다. 예컨대 초컬릿 설탕
사탕
땅콩류 버터 마가린 육(肉)류 기름에 튀긴 음식들이 바로 고칼로리 식품. 또 알콜의 섭취도 줄이는게 좋다.둘째 다양한 종류의 채소나 과일을 많이 먹자. 이 식품들은 칼로리가 낮고, 다른 식품의 칼로리를 ... ...
휴대용 전화시대의 개막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아니라 농사짓는 사람들에게도 도움을 주고 있다. 예컨대 미국 뉴욕주 올바니근처에서
사탕
옥수수를 경작하고 있는 제임스 웨브라는 농부는 트랙터에 이동식 전화를 가설한 덕에 중간상인을 배제하고 20여개의 고객들과 직접 거래함으로써 수입을 15%나 더 올릴 수 있게 되었다. 수확기에 지불하는 ... ...
아인슈타인 이후의 위대한 과학자 스티픈 호킹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자기를 두고 내기를 걸던 일을 씁쓰레 회상하고 있다.“친구 하나가 다른 친구와
사탕
주머니를 놓고 내기를 거는 것이었어요. 내가 제대로 된 인간으로 성장할 수 없을 것이라고, 그런데 이 내기의 결과가 어떻게된것인지 또는 누가 이겼는지는 알 수 없군요.”아뭏든 운이 좋았던 것인지는 몰라도 ... ...
어떻게 감지하고 어떻게 적응하나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꽃을 형성하는데, 이는 일년생 식물의 임의적 요구에 비해 절대적 요구조건이다.
사탕
무우는 저온에 노출되지 않으면 몇 년 동안이나 죽지않고 생장을 계속 할 수 있다. 대다수 이년생 식물의 개화는 저온처리 후에 이어지는 장일조건에 의해 촉진되며, 그 중 어떤 식물은 이같은 처리가 절대적이다. ... ...
이전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