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뉴스
"
은하
"(으)로 총 64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력한 중력렌즈 현상 포착, 표준우주모형 바뀔까
과학동아
l
2020.10.08
못한 암흑물질의 알려지지 않은 특성이 존재한다는 의미다. 메네게티 연구원은 “
은하
단은 우주를 연구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연구실과 같다”며 “이번 연구는 암흑물질에 대해 우리가 아직 알지 못하는 무언가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9월 11일자에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관측기기 직접 제작한 집념의 블랙홀 관측 연구자
2020.10.07
우리
은하
중심의 별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타임랩스 동영상이다. 출처 ESO/MPE 우리
은하
중심의 별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타임랩스 동영상이다. 박수종 경희대 우주과학과 교수 ※필자소개 경희대 우주과학과에서 연구를 하고 학생을 가르치고 있다. 서울대 자연과학대학 ... ...
노벨물리학상 4번째 여성 수상자…"젊은 여성 과학으로 오길"
연합뉴스
l
2020.10.07
무거운 초대질량 밀집성(supermassive compact object. 백색왜성, 블랙홀, 중성자별)이 우리
은하
의 중심에 있는 별들의 궤도를 지배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수상 배경을 설명했다.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물리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6
지역에 태양질량 400만 배의 질량을 가진다는 결론으로 이어진 것이다. 미래에는 우리
은하
의 중심을 눈으로 직접 볼 수 있으리란 기대도 커지고 있다. 지난해 전 세계는 사건지평선망원경(EHT) 연구팀의 노력을 통해 지구로부터 5500만 광년 떨어진 M87 블랙홀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EHT 연구팀의 ... ...
아직 한번도 안받았나? 블랙홀, 노벨상 수상은 처음
동아사이언스
l
2020.10.06
간섭계 등 최신 관측장비를 동원해 우주먼지와 가스구름에 가려 관측이 쉽지 않았던 먼
은하
중심의 블랙홀 주변을 정밀하게 관측하는 데 성공했고, 블랙홀의 중력장 효과를 확인해 국제학술지 '천문학과 천체물리학'에 그 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 이론이 다시 ... ...
노벨상 놓친 호킹 박사 절친 펜로즈 등 블랙홀 연구자 3인 노벨물리학상(재종합)
2020.10.06
있음을 증명한 것으로 이는 블랙홀의 존재를 확인한 가장 결정적인 증거”라며 “우리
은하
에도 작은 AGN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한 업적과 당시만 해도 실제로 관측이 안됐던 블랙홀 존재의 가장 확실한 관측 조건을 밝힌 업적”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노벨 물리학상까지 최근에 우주 분야 ... ...
블랙홀의 존재 입증한 펜로즈·겐첼·게즈…올해 노벨물리학상(종합)
2020.10.06
선정 이유를 밝혔다. 겐첼 소장의 제자인 박수종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는 “우리
은하
중심에 있는 별을 관측해 내부에 블랙홀이 존재하고 있음을 증명했다”며 “이는 블랙홀의 존재를 확인한 가장 결정적인 증거”라고 설명했다. 올해 수상자에는 여성 물리학자인 게즈 교수가 포함된 ... ...
노벨물리학상에 블랙홀의 신비 벗겨낸 천문물리학자 3명...女수상자 역대 4번째(2보)
동아사이언스
l
2020.10.06
연구 중 가장 중요한 연구로 꼽힌다. 라인하르트 겐첼 소장과 앤드리아 게즈 교수는 우리
은하
중심 궁수자리A 에서 태양 질량의 400만 배 정도 되는 초대형 블랙홀이 있다는 증거를 찾아낸 업적을 갖고 있다. 올해 노벨상 발표는 5일 생리의학상 발표와 6일 물리학상 발표에 이어 12일까지 ... ...
노벨상 올해의 관전 포인트
동아사이언스
l
2020.10.04
‘논문 피인용 우수연구자’ 가운데에서 우주 분야는 암흑물질 헤일로 관련 연구를 통해
은하
탄생과 진화를 밝힌 분야가 있다. 소재 및 고체 물리 분야에서는 탄소나노튜브와 질화붕소나노튜브 분야, 그래핀 등 2차원 나노소재의 물성 연구 분야가 꼽혔다. 이론 분야에서는 원자 결합 에너지와 ... ...
격렬하게 떨리는 블랙홀 모습
동아사이언스
l
2020.09.24
구성된 사건지평선망원경(EHT) 연구팀은 2009년에서 2013년 사이 촬영된 처녀자리
은하
중심에 있는 M87 블랙홀의 영상을 재구성한 연구결과를 이달 23일 국제학술지 ‘천체물리학 저널’에 발표했다. 지난해 4월 공개된 블랙홀의 첫 사진은 2017년에 4월 중 1주일간 촬영된 영상이다. 블랙홀은 별 등이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