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뉴스
"
은하
"(으)로 총 648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강 로켓, 세계 최대 망원경 올해 우주 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5
인류를 다시 달에 보내는 아르테미스 계획이 올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사진은 오리온 탐사선을 실어 나를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스 ... 주경의 지름이 6.5m로 세계 최대 규모다. 이를 통해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은 우주 최초의 별과
은하
, 행성계가 어떻게 형성됐는지 비밀을 찾는다. ... ...
[프리미엄 리포트]영면에 들어간 천문학의 노병들
과학동아
l
2021.01.02
빛이 휘어지는 중력 렌즈 효과가 나타난다.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은하
단에서 왜곡된
은하
를 찾아 암흑물질의 존재와 농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암흑물질 연구는 지금도 진행 중이다. 차세대 허블우주망원경으로 불리는 제임스 웹 망원경은 허블우주망원경보다 훨씬 먼 150만km 상공, 라그랑주 제 ... ...
"이처럼 많은 돈과 힘 지식 쏟은 적 처음" 사이언스, 올해의 과학 성과로 코로나19 백신 꼽아
동아사이언스
l
2020.12.21
발견된 4만 4000년 전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가장 오래된 예술 벽화와 우리
은하
안에서 처음으로 포착된 ‘빠른 전파 폭발(FRB)’도 포함됐다. 사이언스는 15도에서 전기 저항이 0이 되는 상온초전도체를 개발한 미국 로체스터대 연구팀의 연구성과를 두고 “마침내 확보했다”고 소개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코로나19 백신, 사이언스가 꼽은 올해의 과학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20.12.20
발견된 4만 4000년 전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가장 오래된 예술 벽화와 우리
은하
안에서 처음으로 포착된 ‘빠른 전파 폭발(FRB)’도 포함됐다. 15도에서 전기 저항이 0이 되는 상온초전도체 연구와 후천성면역결핍증(에이즈)을 일으키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를 스스로 치유한 이들을 분석해 ... ...
가장 가까운 지구형 행성 프록시마 b 생명체 서식 가능성 작아
연합뉴스
l
2020.12.10
생명체가 유지되고 있다. [ESO/M. Kornmesser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최근 연구에서는 우리
은하
내 태양과 비슷한 항성 중 절반가량이 지구와 비슷한 행성을 갖고있을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와있지만 이런 항성은 전체의 7%에 불과하다. 연구팀은 프록시마 켄타우리 주변 행성들이 대기가 파괴돼 강한 ... ...
우리
은하
항성 약 18억개 정보 담은 카탈로그 공개(종합)
연합뉴스
l
2020.12.04
굵기를 잴 수 있는 정확도로 측정 중"이라면서 "이 자료들은 천체물리학의 근간으로 우리
은하
의 기원과 미래에 관한 중요한 의문들을 풀어줄 것"이라고 했다. [ESA/Gaia/DPAC 제공] 당초 5년 활동을 목표로 발사된 가이아 위성은 적어도 2022년까지 관측을 계속할 예정인데, 이후에도 2025년까지는 연장 ... ...
은하
100만개 새로 추가된 남쪽하늘 새 지도 공개
연합뉴스
l
2020.12.02
을 통해 발표했다. 이 지도는 이전에 확인되지 않았던 100만 개를 포함해 총 300만 개의
은하
를 담고 있으며, 이전 남천 지도에 비해 두 배 더 자세하게 구성돼 있다. ASKAP은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주도 퍼스에서 북쪽으로 약 700㎞ 떨어져 있는 오지에 약 6㎞에 걸쳐 배치된 36개의 접시안테나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두 별이 합쳐졌을 때 일어나는 일들
2020.11.24
지금 만약 다시 별명을 붙인다면 ‘파란원뿔성운’이 아닐까. 옛사람들이 별들이 우리
은하
의 3차원 공간에 자리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면 아마도 밤하늘의 별들을 보며 별자리를 떠올리지는 못했을 것이다. 서로 관계가 없는 게 분명한데 우연히 지구에서 바라본 방향에서 가까이 놓인 것에 ... ...
정부·민간 협력하는 새로운 우주 산업 방향 모색하는 자리 마련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1
위험하다... 지속가능한 뉴스페이스를 위한 고민'을 주제로 발표에 나선다. 그는
은하
천문학 및 관측우주론 분야의 저명한 학자로 네이처를 비롯한 다수의 논문을 펴냈다. 동시에 단편 과학소설(SF)을 펴내는 등 작가로도 활동하고 있다. 최근에는 스페이스X의 우주인터넷 프로젝트 ‘스타링크’의 ... ...
달 모양 설명하는 SW·교구 만든 중학생 '전국과학전람회' 대통령상
동아사이언스
l
2020.11.10
SW와 교구를 통해 동시에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교구를 개발한 대전 갑천중 ‘우리
은하
대표’ 팀(윤세현, 이유진, 전영서 학생)이 수상했다. 윤세현 양은 “싱가포르에서 보이는 달이 한국에서와 다르게 옆으로 기울었다는 것을 보고 위도에 따른 달의 모양 변화를 알아보고자 실험을 했다”라며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