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뉴스
"
은하
"(으)로 총 648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 무게중심 100m 이내로 오차 줄여 블랙홀 연구 도약
연합뉴스
l
2020.07.06
태양계 무게중심도 100m 이내의 오차로 잡아낼 수 있었다고 한다. 테일러 박사는 "우리
은하
에 산재한 펄서를 정확히 관측함으로써 우주에서 우리의 위치를 이전보다 더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었다"면서 "(라이고를 비롯한) 다른 중력파 검출 장비에 더해 이런 방식으로 중력파를 찾아냄으로써 ... ...
'무거운 중성자별일까 가벼운 블랙홀일까' 중력파로 미지의 천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5
4600광년 거리의 중성자별로 태양 질량의 약 2.14배였다. 김 교수에 따르면, 현재까지 우리
은하
에서 발견된 중성자별은 약 2300개에 이르지만, 대부분 태양 질량의 1.3배 남짓으로 가볍고, 태양 질량의 2배가 넘는 중성자별은 극소수다. ... ...
초신성 폭발 휩쓸리지 않은 별 잔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9
Cas A) 초신성 잔해에서 별의 잔재를 발견했다. 지구로부터 1만 1000광년 떨어진 Cas A는 우리
은하
의 가장 젊은 초신성 잔해 중 하나다. 초신성 폭발에 가장 중요한 천체 중 하나로 꼽히나 폭발 전 별의 특성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Cas A는 태양 질량의 15~25배 되는 별이 폭발한 것으로 추정된다. ... ...
'암흑물질' 후보입자 검출? 국제연구팀 발표에 물리학계 떠들썩
동아사이언스
l
2020.06.19
때문에 보이지도 않고 관측하기도 힘들지만, 끌어당기는 힘(중력)은 내기 때문에 별과
은하
를 만들고 우주의 구조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우주의 탄생 역사, 구조를 설명하는 이론인 표준 우주모형에서는 이런 암흑물질이 전체 우주의 27%를 차지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물리학자들은 ... ...
"인류와 소통 가능한 외계문명 최소 36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16
우리
은하
에 4개에서 211개의 문명이 형성됐을 것으로 추산했다. 이같은 추산을 토대로
은하
계 항성 형성의 역사와 항성 내 금속 함량 등을 고려해 분석한 결과 최소 36개 이상의 소통 가능한 문명이 존재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같은 결론에 대해 콘슬라이스 교수는 “이 수치도 어찌 보면 ... ...
우주 미스터리 풀어줄 157일 주기 '빠른 전파 폭발' 확인
연합뉴스
l
2020.06.09
FRB 121102에 앞서 주기성을 가진 것으로 밝혀진 FRB는 지구에서 약 5억 광년 떨어진 나선
은하
외곽의 별 형성 영역에서 포착된 'FRB 180916.J0158+65'가 유일하다. 이 FRB는 16.35일 주기로 반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라즈와데 박사는 "전파폭발에서 이런 형태(modulation)를 볼 수 있는 시스템이 단 두 개밖에 ... ...
최초
은하
탄생, 25억 년 빨랐을 수도?
과학동아
l
2020.06.04
“차가운 기체 유입이
은하
형성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더 많은
은하
에서 관측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5월 20일자에 발표됐다. doi: 10.1038 /s41586-020-2276 ... ...
시민과학자 도움으로 원시행성 원반 가진 갈색왜성 찾아
연합뉴스
l
2020.06.03
WISE)이 포착한 천체 사진을 보고 원시행성 원반을 가진 별인지, 비슷하게 생긴
은하
인지를 가려내는 역할을 한다. 여러 명의 의견이 수렴되는 과정에서 집단지성이 발휘돼 합리적 결론에 도달하는 구조로 짜여있다. W1200-7845는 지난 2016년에 원반을 가진 갈색왜성으로 처음 분류됐으며 이후 ... ...
"태양,
은하
충돌로 태어났을 가능성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26
밝혔다. 궁수자리는 수억 년 전에 한 차례 더 우리
은하
와 충돌한 것으로 보이며 현재
은하
면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다. 연구팀은 “현재도 새로운 별이 탄생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초대질량블랙홀 뿜어내는 강력한 불꽃으로 먼 우주 거리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23
운영하는 초장기선간섭계인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을 활용해 더 먼 우주에 존재하는
은하
까지의 거리측정에 도전할 계획”이라며 “우주론 모형을 검증할 수 있는 새로운 열쇠가 되어 우주의 끝을 밝힐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및 한국연구재단의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