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d라이브러리
"
논문
"(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비교체험 KAIST vs. 포스텍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실리는 일도 종종 있다.물리학과 출신인 김세중 씨가 2006년 학부를 졸업하며 발표한
논문
이 미국 물리학회가 발간하는 권위지인 ‘피지컬 리뷰 레터스’ 2007년 5월호에 실렸다. 2008년에는 ‘사이언스’나 ‘네이처’에서 내 이름을 볼 수 있지 않을까.2008학년도 KAIST 입학전형 어떻게 바뀌나정답 ... ...
과학하는 당신, 국가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중 학업우수자에게 대학 4년간 등록금 전액 지급).-대학원: 이공계대학원 연구장학생(
논문
계획서 심사 거쳐 연간 1000만원의 연구장려금 지급).2.취업단계 -이공계 병역특례제도: 전문연구요원 복무기간 3년으로 단축, 박사학위 소지자는 국방과학연구소에서 3년 근무 가능.-개도국 과학기술 지원단 ... ...
PART2 있다! 없다! BEST 5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수 있다. 지금까지 방사광가속기 연구소를 거쳐간 연구 인원은 1만명이 넘고 이들이 쓴
논문
만 무려 1700편이 넘는다.현재 기존 방사광원보다 100억배 더 밝은 빛을 내는 제 4세대 방사광가속기를 건설하고 있다. 이런 것도 있다!미스코리아부터 공포의 78계단까지KAIST●● KAIST에는 미스코리아가 있다 ... ...
화성이 뒤집혔어요?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대해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타일러 페론 교수팀은 ‘네이처’ 6월 14일자에 발표한
논문
에서 “과거 화성에서 거대한 화산이 폭발하거나 소행성이 충돌해 자전축을 움직였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연구팀은 수학적 모델을 이용해 화성 적도에서 멀리 떨어진 화산이 폭발하거나 소행성이 ... ...
거미줄 유전자의 비밀이 풀리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그의 시사(示唆)를 받아 공기성분 중 연소에 도움이 되지 않는 물질을 연구, 1772년 학위
논문
으로 제출했다밀폐된 용기에 양초와 인(燐)을 태우고 남은 기체에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이것을 알칼리액(液)으로 처리했으나 여전히 유독기체가 남았다그는 이것을 연소(燃燒, phlogiston)라고 ... ...
화학반응 고삐'미니 숯'으로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파고 있는 유 교수에게 지난 5월 낭보가 날아든 건 우연으로 보이지 않는다.‘과학기술
논문
인용색인’(SCI)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톰슨 사이언티픽 사가 세계수준의 연구영역을 개척한 한국의 과학자 7명 중 한 명으로 유 교수를 선정한 것이다. 그의 연구가 객관적으로 인정받은 셈이다. 한국 ... ...
우주기네스북 한판 대결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우주에서 가장 작은 별은? 2005년 4월 국제 저널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에 발표된
논문
에 따르면 목성보다 약간 큰 ‘OGLE-TR-122b’라고 한다. 천문학자들은 칠레에서 약 200개 별 앞을 지나는 외계행성을 관측하다가 태양과 비슷한 ‘OGLE-TR-122’라는 별 앞을 지나는 이 천체의 크기를 알아냈다. OGLE-TR-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꼬마펭귄의 행진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20년 이상 사는 ‘고령자’도 발견된다. 2005년 국제저널 ‘해양조류학’에 발표된
논문
에 따르면 최고령 펭귄은 25살로 드러났다.코알라 하루 20시간 잠만 자는 이유“여기에 한 마리가 있어요.”필립섬 한복판에 있는 ‘코알라 보존센터’에서 만날 수 있는 문구다. 이런 문구가 쓰인 푯말이 앞에 ... ...
PART2 기후 백년지대계(百年之大計)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실린‘지구온난화에 따른 우리나라 벼농사지대의 생산성 재평가’란
논문
에 따르면 조생종 오대벼, 중생종 화성벼, 만생종 동진벼 모두 2011~2040년 무렵 출수기가 1주일 빨라지고 2071~2100년에는 최대 20일까지 단축될 가능성이 있다. 산악지대에서도 벼의 발육속도가 빨라지며 수확량이 늘 수 있다.210 ... ...
유전자 상호작용으로 아토피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지난 2005년 2월 과학전문지 ‘네이처 면역학’에 게재한
논문
에서 답을 내놨다. 그는
논문
에서 우리 몸의 대식세포(세균을 잡아먹는 면역세포)에 있는 AP-1과 NF-kB라는 두 유전자가 병균이 침범한 직후 상호작용해 면역체계를 구성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혔다.그동안 면역반응은 일부 유전자의 ... ...
이전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