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d라이브러리
"
논문
"(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괴짜들이 만났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글쓰기는 하나의 기술”이라는 점을 강조했다.그가 생지화학적인 순환에 대한 두 편의
논문
을 세계적인 과학 전문지 ‘네이처’에 실을 수 있었던 데는 그의 유려한 필력도 한몫하지 않았을까.최정규_ 이기적인 경제, 이타적인 인간을 깨닫다 “놀이방에서 엄마들이 아이를 데리러 오는 시간이 5분 ... ...
[천문우주]태양계 밖 외계행성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것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이번 연구는 그 이론이 틀릴 수도 있음을 증명했다.한편 이
논문
에는 도올 김용옥 씨의 사위 크리스티앙 메누 교수가 공동연구자로 참여했다 ... ...
슈퍼독감의 조상, 조류인플루엔자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Nucleoprotein)에 들어있는 꼬리고리(Tail loop)가 증식을 일으키는 핵심이라는 사실이다.
논문
을 발표한 미국 라이스대 타오 이지 교수는 “꼬리고리는 대부분 A형 독감 바이러스에 들어있어 이를 표적으로 항바이러스제를 만들면 효과적”이라고 밝혔다.핵산단백질은 작은 고리가 쌓여 원기둥 모양을 한 ... ...
첨단 기술에 편한 옷 입히는 디자인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기술을 응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교수는 이 연구로 2005년 한국디자인학회 최우수
논문
상을 받았다.레이아웃만 바꿔도 글 읽는 속도 빨라져 “기술과 사람이 만나는 곳에 디자인이 있습니다. 아무리 좋은 기술이라도 디자인 때문에 사용하기 불편하면 기술의 가치는 떨어지기 마련이죠.”KAIST ... ...
40나노 반도체’올해 최고의 과학 뉴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메모리 개발❷ 아리랑2호 위성 발사 성공과 최초의 한국 우주인 배출❸ 황우석
논문
조작 확인 및 검찰 수사❹ 전기 흐르는 플라스틱 개발❺ 북한 핵실험 파문❻ 암세포 증식 촉진 단백질 발견❼ 타원 은하 기원 규명❽ 나노크기 영구 자석 원리 규명❾ 파킨슨병 메커니즘 규명❿ 차세대 X선 현미경 ... ...
2 놀라운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9호
또한 다윈은 30쪽 분량의
논문
으로 종의 기원에 대해 발표하려던 계획을 바꿔 월리스의
논문
보다 더 많은 자료와 증거가 있는 책을 출판하기로 마음먹게 됩니다. 결국 라이벌 월리스 덕에‘종의 기원’이라는 다윈의 위대한 책이 세상에 나오게 된 것이죠. 친구들도 라이벌을 미워만 하기보다는 더 ... ...
현미경과 망원경이 보여 주는 놀라운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3호
로버트 훅이 현미경을 만들었다. 훅은 ‘마이크로피아’라는 책에 현미경에 대한 상세한
논문
과 그림을 실었다. 훅은 대물렌즈는 볼록렌즈를 쓰고, 접안렌즈와 경통 안에 중간렌즈를 두었다. 그러나 이 상태로 관찰하면 색과 모양이 일그러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려고 조리개를 만들어 ... ...
파킨슨도 깜짝 놀랄 초파리 연구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질환과 암의 유전적 요인을 밝혀왔다. 그 결과 지난 2년간 네이처 같은 저명한 학술지에
논문
7편을 발표할 정도의 성과를 거뒀다.“수만 마리의 초파리를 키우는데 쓰이는 배지의 시큼한 냄새가 이제 달콤한 꿀 냄새 같다”는 정 교수. 오늘도 연구원들과 함께 초파리를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며 ... ...
무소음 항공기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밝혀졌다 1865년 G J 멘델이 발표한 유전법칙 7년간의 완두 재배실험에서 얻은 결과를
논문
《식물의 잡종에 관한 실험》에서 발표했으나 당시에는 인정받지 못하다가, 그가 죽은 지 16년 만인 1900년에 독일의 K E 코렌스, 네덜란드의 H 드브리스, 오스트리아와 S E 체르마크 등 세 사람에 의해 ... ...
수학 천재 이렇게 탄생했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그래서 몇 가지 조건 아래 행렬식에 대한 부등식을 증명하는 일은 그 자체로 한 편의
논문
이 되기도 한다. 예전에 필자도 이 부등식을 증명하고서 무척 기뻐했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이미 잘 알려진 결과여서 실망한 적이 있다.한태웅이 증명한 것은 주어진 문제보다 더 일반적인 부등식인 $det{(A+B)} ... ...
이전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