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논문"(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핫이슈] 소떡소떡? 소쌀소쌀! 지구를 지키는 쌀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6호
- 이유는 뭘까요? 그냥 소 세포만 키우면 단백질과 지방 함량이 더 높을 텐데 말이에요. 논문에 참여한 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이미래 연구원은 “소 세포만으로 덩어리 고기를 만들려면 한 층으로 된 얇은 소고기를 아주 많이 쌓아야 하는데, 효율도 떨어지고, 별도의 기술과 첨가물이 ... ...
- [과학뉴스] 태양의 500조 배 역대 최대 밝기 등극한 퀘이사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흡수한다. 이 과정에서 블랙홀의 강착 원반이 뿜어내는 빛은, 태양보다 500조 배 밝다. 논문의 공동 저자인 사무엘 라이 호주국립대 천문학과 연구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이 빛은 지름이 7광년인 강착 원반에서 나오고 있다”며, “우주에서 가장 큰 강착 원반일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 ... ...
- [과학사 극장] 산소의 발견자는 라부아지에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라부아지에는 이들의 공로를 잊지 않았다. 라부아지에는 그가 쓴 가장 중요한 두 논문에서 장비 제작자 플레이스와 세귄을 공동 저자 또는 제1 저자로 넣었다. 라부아지에의 경쟁자들이었던 프리스틀리, 셸레 역시 그들이 실험했던 주변 지역의 장비 제작자들에게 크게 의존하고 있었다. 스티븐 ... ...
- [논문탐독] 모든 물질의 출발점에 다가서는 입자 생성 매커니즘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새로운 제약 조건을 제시해, 입자 생성 매커니즘의 이론을 더욱 발전시켰습니다. 이번 논문의 실험 결과를 설명하는 이론이 정립되면, 물질의 기원과 우주의 진화 과정에 대한 오랜 질문을 해결할 단서가 될 것입니다.*필자소개서진주. 인하대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물리학과 대학원에서 ... ...
- “공학도로서 연구자 평가제도 다각화에 기여하고파”_박충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내기 위해 연구자들은 임팩트 팩터(IF)가 높은 논문을 쓰는 데에 집중합니다. IF가 높은 논문을 쓰려면 새로우면서도 핫한 분야의 연구를 진행해야 하다보니 대학원생의 전공이 한국 제조업 기반 기업들의 기술과 많이 동떨어져 있습니다. 반도체를 전공하는 연구실이 몇 개 없는 것도 한 예죠. 그래서 ... ...
- [이달의 책] 은하 도슨트가 안내하는 우주의 걸작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공유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을 활용해 명확하고 매력적인 시각 자료를 만든다. 또한 과학 논문들엔 데이터를 해석한 이미지가 꼭 실린다. 이 시각화 이미지들의 기반과 정점을 ‘과학의 눈’에서 볼 수 있다. 우주 팽창의 증거를 최초로 제시한 허블의 선그래프, 지구 온난화 실태를 한눈에 보여준 ... ...
- [뉴럴링크] 마비 환자가 다시 걷고 말하다... BCI 기술의 현재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마비 환자가 걷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doi: 10.1038/s41586-023-06094-5 쿠르틴 교수팀이 논문과 함께 공개한 영상에는 교통사고로 하반신이 마비된 40세 네덜란드인 남성 게르트-얀 오스캄이 보행기를 이용해 걷는 모습이 담겼다. 뇌에서 만들어진 전기 신호는 척추 내부를 지나가는 중추 신경인 ... ...
- [기획] 아직 젊은 당신이 혈당을 관리해야 하는 이유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포도당은 보상, 쾌락과 관련된 도파민 분비도 촉진한다. 미국 임상영양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에 따르면 당을 먹으면 뇌의 보상 시스템이 활성화돼 도파민이 분비된다. 이는 즐거움과 만족감을 느끼도록 만든다. doi: 10.1093/ajcn/62.1.242S 하지만 이를 위해 지속적으로 과한 당을 섭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 ...
-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인간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습니다. 바로 Sox2 유전자입니다. doi: 10.1073/pnas.1612354113 논문에 따르면 Sox2 유전자는 4억 5000만 년 전, 인간과 상어가 공통의 고대 조상을 갖고 있던 이래 쭉 유지돼 왔습니다. 다만 인간은 유치가 빠진 뒤 영구치가 새로 날 때 상피 세포에서 Sox2 유전자가 발현된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연구가 잘됐는지 어떻게 평가할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질적 평가에서는 이런 방식을 적용해 중요한 학술지에 실리거나 피인용 수가 많은 논문인 경우 가중치를 둡니다. 너무 깐깐한 평가, 연구에는 방해? 여기까지만 보면 연구 평가는 당연히 필요한 것처럼 보입니다. 그런데 막상 연구자들과 과학행정가 사이에서는 ‘과한 연구 평가 제도가 오히려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