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d라이브러리
"
논문
"(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수괴가 있다어떤 저널에 게재된
논문
이 과학기술
논문
인용색인(SCI)급 저널에 실린 다른
논문
에 얼마나 많이 인용됐는가를 나타내는 지수월식 또는 일식에서 천체가 가려지는 정도를 수치로 표현한 값 일식은 태양의 지름, 월식은 달의 지름을 단위로 해서 지름이 가려진 부분의 비를 뜻한다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4호
부유한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천재로 유명했던 그는 18세에 독일의 수학 잡지에
논문
을 발표하는 등 어려서부터 천재성을 발휘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수학을 비롯해 게임이론, 수리경제학,컴퓨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큰 업적을 남겼다. 특히 그가 고안한 프로그램 방식은 ... ...
블럭으로 올록볼록 과학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3호
수학 이론을 레고 블록과 테트리스 게임으로 설명한
논문
을 2003년에 발표하셨어. 이
논문
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학술지에 여러번 소개됐단다. 미국 대학원생의 교과서에도 실렸지. 강석진 교수님은 수학 자체가 블록 놀이처럼 재미있는 것이라며 친구들에게 수학이재미있어지는 비결을 살짝 알려 ... ...
황우석 줄기세포, 처녀생식으로 만들어져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6호
핵이식이 아니라 처녀생식으로 만들어졌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어요. 황우석 박사의
논문
조작 사건을 조사한 서울대 조사위원회는 이 줄기세포가 처녀생식의 결과라고 발표했지만 황 박사는 체세포 핵이식이 맞다고 주장했지요. 미국 하버드대학교 의과대학 줄기세포연구소의 조지 데일리 교수와 ... ...
화성에 태평양만 한 바다가 있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4호
주장했어요. 지구의 태평양만 한 바다가 화성에 있었다는 거죠. 페론 교수는 최근 발표한
논문
에서“화성에서 거대한 화산이 폭발하거나 소행성이 충돌해 자전축이 크게 움직였고 이 때문에 커다란 지각 변동이 일어나 해안선이 육지보다 훨씬 위로 올라왔다”고 말했어요. 하지만 과거에 존재했던 ... ...
보이지 않는 위험, 디지털 질환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밝혔다. 지난해 3월 영남대 예방의학교실 사공준 교수팀이 한국예방의학회지에 발표한
논문
에 따르면 개인용 음향기기를 사용한 13~16세 6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하루 4시간 이상 사용한 경우, 사용기간이 4년 이상인 경우, 누적사용기간이 13(하루사용시간×년)인 경우 소음성 난청의 ... ...
물고기에게 '맞춤형 가옥'을 지어줍니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대학원에서 하던 연구를 회사에서도 계속할 수 있었다”며 “인턴 기간 동안 박사
논문
을 쓰는 데 필요한 실험결과를 얻을 수 있어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수산물을 즉시 냉동시키려면 바다로 가야 함은 당연한 일. 씨엔텍에서는 대학원을 다닐 때보다 더 자주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갔다. 그리고 ... ...
과학의 힘으로 장애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얼마 전 김 교수의 연구결과가 세계적으로 알려지며 DNA샘플 한개가 배달됐다. 1967년
논문
을 쓴 의사가 여전히 살아있는 자기 환자의 DNA샘플을 보낸 것. 분석 결과 그 환자의 PRPS1 유전자에서도 돌연변이가 발견됐다. 40년이 지난 뒤 한국의 한 의사 덕분에 자신의 병명을 알게 된 환자는 어떤 ... ...
PART1 호모 에렉투스는 인류 최초의 요리사?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있게 된 것. ‘네이처 지네틱스’ 10월호에는 이런 변화가 인류 진화에 미친 영향을 밝힌
논문
이 게재됐다.미국 캘리포니아대 진화 인류학자 나다니엘 도미니 교수팀은 녹말을 분해하는 효소인 AMY1을 분석했다. 침팬지처럼 주로 과일이나 잎을 먹을 경우 포도당과 과당의 형태로 탄수화물을 ... ...
머리카락 굵기도 유전자가 결정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컸다”며 “EDAR 유전자가 머리카락의 두께를 결정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논문
의 공동저자인 토카이의대 료스케 키무라 교수는 “고대인의 유골을 발굴했을 때 그가 어떤 인종인지 밝히는데 EDAR 유전자가 하나의 단서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연구의 의미를 밝혔다 ... ...
이전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