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사지마비 환자 벌떡 일으킬 뇌-컴퓨터 접속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발전했나요?뇌-컴퓨터 접속기술 연구는 수십 년 전 쥐, 원숭이 등 동물을 대상으로 처음 시작됐습니다. 그러던 2006년 미국 하버드대 의대 매사추세츠종합병원 연구원이던 레이 호치버그 박사팀이 척수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시험을 진행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그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doi: ... ...
- 신비한 양자컴퓨터, 영~롱한 샹들리에의 정체는?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구글 같은 대기업도 양자컴퓨터에 관심을 가지면서 본격적인 양자컴퓨터 전쟁이 시작됐어. Q왜 샹들리에처럼 생겼나요?양자컴퓨터가 작동하려면 중첩, 얽힘 같은 양자의 성질을 이용해 정보를 처리하는 ‘큐비트’가 필요해. 큐비트를 만드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구글과 IBM은 모두 ... ...
- 깨어나라 용사여! 빅데이터 시대의 도래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새로운 방법을 고민한다. 그때 스위치가 켜지듯 도시의 온갖 데이터가 쏟아져 들어오기 시작했다. 자각하지 못한 채 여기저기 퍼져있던 정보가 수동이 안에서 깨어난 것이다. 파아아앗~! 데이터는 근래에 갑자기 등장한 마법의 도구가 아니에요. 인류는 끊임없이 정보를 주고받아 왔고 데이터를 ... ...
-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지렁이로 실험을 진행한 결과 침수에 대한 내성이 낮은 종(Amynthas gracilis)은 폭우가 시작되자 곧바로 땅 위로 올라왔지만, 산소 소비량이 적은 종(Pontoscolex corethrurus)은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도 오래 버틸 수 있어 비가 쏟아지는데도 땅 위로 올라오지 않았다. doi: 10.1111/j.1744-7410.20 ...
- [중국유학일기] 한국보다 짧은 방학 ‘알바’ 대신 ‘열공’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전공 공부와 중국어 공부도 완전히 손을 놓을 수는 없어 틈틈이 해야 한다.어쨌든 방학이 시작되면 잠시라도 강의와 과제, 시험의 압박에서 벗어나 쉴 수 있어서 신이 난다. 그리고 설레는 마음으로 이것저것 계획을 세우곤 한다. 그런데 방학이 끝난 뒤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눠보면, 중국 학생이나 ... ...
- [과학뉴스] 틀린 그림 찾기? 다른 유전자 찾기!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유전체를 집중적으로 비교했다. 그 결과 약 11만 년 전인 플라이스토세에 시작돼 1만2000년 전에 끝난 마지막 빙하기 동안 흰물떼새의 개체수는 증가한 반면, 흰얼굴물떼새의 개체수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물떼새의 서식지가 합쳐졌다가 분리됐는데(2차 접촉), 당시 집단 간 유전자 ... ...
- 150만 년 전 지구의 기록 빙하코어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EPICA’ 프로젝트가 2016년 시작됐고, 마침내 올해 6월부터 남극에서 빙하코어 시추를 시작했다. 국제학술지 ‘네이처’와 ‘사이언스’는 올해 가장 주목해야 할 뉴스 중 하나로 이 프로젝트를 꼽기도 했다.시추는 2025년 5월까지 6년간 계속될 예정이다. 허 책임연구원은 “밑으로 내려갈수록 압력이 ... ...
- 탄소를 품어 지구를 지키다, 해안의 보물, 갯벌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매립됐다. 다행히 20여 년 전부터 갯벌이 해양생물다양성과 수산물 생산지로 관리되기 시작했지만, 이미 30%에 해당하는 갯벌이 육지화됐다. 지금은 상황이 역전됐다. 어떻게든 대기 중 탄소를 흡수하기 위해 갯벌에서 한 포기의 습지 생물이라도 늘리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독자 여러분도 ... ...
- 영웅의 탄생! 우리 손으로 그리는 빅데이터 도시의 미래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기다리고 있었어!”놀라고 떨린 마음에 수동이 대답을 잊은 순간, 하늘에서 눈이 내리기 시작한다. “화이트 크리스마스네”라고 동시에 말하고는 두 사람이 웃는다. 너에게 달려가는 시간, 앞으로 0분 ... ...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답을 틀러도 되는 신기한 수업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이런 어려움을 덜어내고자 지역별로 수학의발견을 사용하는 교사들이 모임을 가지기 시작했어요. 주기적으로 만나 교과서를 잘 활용하는 ‘꿀팁’을 공유하는 자리죠. “선생님들도 일반 교과서보다 수학의 발견을 사용하는 것이 훨씬 어려워요. 하지만 학생들이 수학에 재미를 붙이고, ... ...
이전2522532542552562572582592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