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사랑탐사대] 쉿! 조용히 귀 기울여 보세요♬ 소리모아 탐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소리를 듣자 지사탐 대원들은 마치 선물이라도 받은 것처럼 기뻐하며 서둘러 녹음을
시작
했어요. 이것이 바로 소리모아 탐사의 매력이지요! 탐사가 끝날 무렵, 장이권 교수님은 앞으로의 계획을 말씀해 주셨답니다. “저는 이 소리들로 두 가지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에요. 첫 번째는 ‘도시의 새 ... ...
백골 시체의 조용한 아우성 치아가 알려주는 진실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하지만 발굴 작업을
시작
하고 흙을 조금씩 걷어내면서 의문점이 하나둘 생기기
시작
했다. 일단 묘가 쓸려 내려온 것이라면 낡은 관의 파편이나 수의 등 장례의 흔적이 발견되기 마련인데, 그런 흔적이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처음 발견됐을 당시 시체의 자세도 이상했다. 매장된 묘가 비에 쓸려 ... ...
세포 서바이벌 결정하는 산소농도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학회 참석차 한국을 방문할 일이 있으니 만나자고 했다. 그렇게 서멘자 교수와의 인연은
시작
됐다.그동안 필자와 서멘자 교수는 공동연구자로서 10년 넘게 서로 도움을 주고 받아왔다. 단순히 온라인에서 연구에 관한 이야기를 주고받는 수준이 아니라, 서멘자 교수의 연구팀과 필자의 연구팀이 ... ...
Google 진실을 말해줘~ 1만 년 걸릴 연산 200초 만에 한 거 실화임?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초전도체 방식으로 큐비트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큐비트 개발은 ‘양자 전쟁’의
시작
일 뿐구글이 양자 우월성을 달성했다는 ‘정황 증거’는 올해 내내 여기저기서 목격됐습니다. 5월 열린 구글 심포지엄에서 하트무트 네벤 구글 양자인공지능연구실장은 “양자컴퓨터의 정보 처리 능력은 기존에 ... ...
로봇공학전공 홀로그램 기술과 딥러닝이 만나면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말했다. 문 교수는 최근 암을 진단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암세포 식별 연구도
시작
했다. 폐나 대장, 신장 등 신체 장기에서 발현되는 암세포는 각각 서로 다른 단백질 지표를 갖고 있다. 그는 “홀로그래픽 이미징 기법으로 암세포를 촬영해 특성을 분석하면 암세포가 어떤 상태인지, 어디에서 ... ...
2019 제주수학축전에 빠져들다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거대 행사로 발전했다. 지방자치단체가 아닌 교사와 학생이 먼저 행사를 자발적으로
시작
하고 이끌어간다는 점에서 다른 지역에서도 벤치마킹하는 우수 사례로 꼽힌다. 1회 때부터 함께한 김영관 제주 세화중학교 교감은 “20년 동안 해오면서 부담 갖지 말고 편한 마음으로 하자고 생각한다”며, ... ...
[통합과학 교과서] 형의 집이 위험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만들어지는 거예요. 콘크리트는 재료를 섞은 후 1시간이 정도 그대로 두면 굳기
시작
해요. 따라서 공장에서 콘크리트의 각 재료를 받아 목적지까지 콘크리트가 굳지 않도록 휘저어 줄 운송 수단이 필요해요. 바로 ‘레미콘 트럭’이지요. 운반하는 동안 드럼 통을 돌려 재료들이 굳지 않도록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현상을 보고 전기와 자기가 서로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아낸 것이 전자기력 연구의
시작
이었지요. 대부분의 물질은 전하를 띠기 때문에 거의 모든 상호작용을 전자기력으로 설명할 수 있어요. 박수를 치는 걸 예로 들어 볼까요? 박수를 칠 때 두 손이 부딪히는 건 양손을 이루고 있는 원자들이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왜 나만 고양이 없어? 고양이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이때 수증 기의 압력이 수증기를 누르던 기압을 이겨낼 정도로 커 \지면 물이 끓기
시작
하지요. 따라서 기압이 낮은 산에서 \는 낮은 온도에서도 수증기의 압력이 기압을 이겨내 끓 \는점도 낮아져요. 결국 산에서 라면을 끓이면 미지근한 물에 면이 설익어 맛이 없답니다. 그런데 2008년, 우리나라 ... ...
지능×뉴런 지능은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능력이 발휘될 때 뉴런의 네트워크가 어떻게 형성되고 변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이제
시작
단계일 수 있다. 인간의 신경 연결망은 무한하다고 표현해도 무방할 만큼 그 수가 많고 복잡하다. 이를 위해 2009년부터 미국의 주도로 뇌 속 뉴런 사이에 연결된 상태를 조사해 지도로 만드는 ‘휴먼 커넥톰 ... ...
이전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