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 너머 외계행성을 찾다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관측을 수행했다. 이때 쿠엘로 연구원은 박사과정 연구의 일환으로 분광기를 개발하기
시작
했다.1993년 이들이 완성한 고분산 분광기(ELODIE·엘로디)는 당시 최고의 정밀도를 보유한 장비였다. 초속 13m의 느린 속도로 별이 움직일 때 발생하는 별빛의 변화까지 검출할 수 있었다. 이들은 망원경에 ... ...
인공지능을 둘러싼 쟁점 I SF에 묻는다 ❹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인류의 자멸을 막기 위해 인간을 박멸한 존재이기도 합니다. 처음부터 새롭게
시작
하기 위해 딸을 철저하게 교육시키며 길렀던 거지요. 미래에 우리는 이와 같은 인공지능에 우리 자신 혹은 자녀를 맡기게 될까요? 자식을 길러 본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누군가를 돌본다는 건 그 사람의 뜻에 반하는 ... ...
모스크바에 현지사무소를 열다 나로호 설계 본격 스타트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988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전신인 천문우주과학연구소에서 과학로켓 개발을
시작
해 이후 30년 넘게 발사체 개발에 몸담았다. 1993년 1단형 과학로켓 KSR-Ⅰ개발에 주도적으로 참여했고, 1990년대 후반 KSR-III 사업부터 2002~2013년 나로호 사업까지 총 책임자를 맡았다. 2014~2017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을 ... ...
[언니오빠논문연구소] 질병 진단의 패러다임 전환 스마트 콘택트렌즈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질환뿐만 아니라 당뇨병과 같은 질병까지 진단할 수 있어 주목받고 있습니다.겨울이
시작
되는 11월은 당뇨 환자에게는 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 시기입니다. 겨울철 유행하는 독감에 걸리기라도 하면 혈당이 오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독감 치료제도 혈당을 올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 매서운 ... ...
[중국유학일기] 기말고사가 가장 중요 족보 집중탐구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부르는 기출문제 모음이다. 시험 기간이 가까워지면 교내 복사점에서 족보를 팔기
시작
한다. 학부마다 또는 과목마다 약 10년 전까지 시험지를 묶어서 판매한다.특히 족보는 중국 학생들의 공부법과 잘 맞는다. 중국 학생들의 공부법 중 ‘슈아티(刷题)’라는 게 있다. 여기서 ‘슈아(刷)’는 ... ...
2019 제주수학축전에 빠져들다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거대 행사로 발전했다. 지방자치단체가 아닌 교사와 학생이 먼저 행사를 자발적으로
시작
하고 이끌어간다는 점에서 다른 지역에서도 벤치마킹하는 우수 사례로 꼽힌다. 1회 때부터 함께한 김영관 제주 세화중학교 교감은 “20년 동안 해오면서 부담 갖지 말고 편한 마음으로 하자고 생각한다”며, ... ...
[SW진로체험] 맛있는 피자에 필요한 토핑은 '데이터'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해보자’는 마음 보다 ‘피자계의 맥도날드를 만들고 싶다’는 순수한 마음으로
시작
했죠. 경영공학은 무엇인가요? 수학과 사회과학을 이용해 경영에 필요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예측 및 평가하는 학문이에요. 마케팅은 주로 통계 이론과 프로그램을 많이 사용하죠. 고피자를 창업할 때 직접적으로 ... ...
노트르담 지킴이, 드론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경찰이 띄운 드론이 촬영한 것이었어요. 성당의 가장 높은 곳인 첨탑과 지붕에서 불이
시작
됐기 때문에 파리 경찰은 화재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드론을 띄웠지요.여기서 잠깐! 원래 프랑스 파리에서는 드론을 띄우지 못해요. 법으로도 드론을 아예 띄우지 못하도록 막고 있으며, DJI와 같은 드론 ... ...
[에디터노트] NASA와 여성, 그리고 노벨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우주인 크리스티나 코크와 제시카 메이어는 18일 오후 8시 38분(한국시간) 우주유영을
시작
해 7시간 17분 동안 ISS 바깥에 있는 고장난 전력 장치를 교체했다. BCDU(Battery Charge-Discharge Unit)로 불리는 이 장치는 태양전지판으로 얻은 전기를 전지에 모았다가 ISS의 모듈로 보낸다. 인류가 처음으로 ... ...
50년 만에 첨단 CG로 부활한 거대 타조공룡 데이노케이루스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먼저 데이노케이루스 두 마리(성체와 어린 개체)의 모든 골격을 3D CG로 만드는 작업부터
시작
했다. 큰 성체에서 보존되지 않은 흉추(등 척추)와 선추(골반 척추)의 신경배돌기, 미추(꼬리 척추) 뒷부분 등은 어린 개체의 보존된 부분들로 보충하기로 했다. 디지털로 재현된 3D 데이노케이루스의 골격은 ... ...
이전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다음
공지사항